[전체] “교남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16)
- 박세통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중기의 문신 박세통에 관한 설화. [내용] 동물을 구해주고 보은을 받았다는 동물담이 박세통과 결부된 인물전설이다. 문헌설화는 이제현(李齊賢)의 『역옹패설(櫟翁稗說)』과 『영해군읍지』와 『교남지(嶠南誌)』에도 실려 있다. 구전설화는
- 박사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방목(國朝榜目)』 『순영록(巡營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삼가읍지(三嘉邑誌)』 『교남지(嶠南誌)』이칭별칭 경현(景賢)| 매계(梅溪)
- 여대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목(國朝榜目)』 『룡사일기(龍蛇日記)』 『김산읍지(金山邑誌)』 『교남지(嶠南誌)』이칭별칭 위수(渭?), 성우(聖遇)| 감호(鑑湖)
- 무이서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교남지(嶠南誌)』 『용포선생문집(龍浦先生文集)』 『여주이씨족보(驪州李氏族譜)』 『문화재안내문안집(文化財案內文案集)-대구직할시(大邱直轄市)‧경상북도편(慶尙北道篇)』상(上)-(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0) ...연계항목무이서당(武夷書堂)
- 성주성산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관아. [내용] 정면 5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3호.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교남지(嶠南誌)』 성주편에는 객관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연계항목성주성산관(星州星山館)
고서·고문서(11)
- 교남지(嶠南誌)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지리-지지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271 B06927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慶尙道邑誌 機張郡邑誌(1899년) 機張郡 道路 (自官門東距海岸八里西距雙橋十里自雙橋至梁山界二十里自雙橋南至東萊界十二里自官門北距佐村里二十里自佐村至蔚山界火鐵嶺二十里)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口碑尙在, 蓋績庸之夙彰, 嶠南之牙纛已還, 矧踐歷之殆遍。 風彩在等列咸推, 自在羽林之班, 才器方遠大可期, 合試盤錯之地。 玆授卿以京畿水軍節度使兼三道統禦使喬桐府使, 卿其祗服寵命, 勉恢良圖。 璧壘明組練之規, 常若對敵, 牗戶勤綢繆之策, 孰敢侮予。 於戲, 江漢之裘帶自閑, 儻追元凱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구선(龜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9716 B029716 구선 龜船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18年 9月 6日_044 ○敎統制使李得濟書。 王若曰。 揀一代制?之器而難其人, 委三道管轄之權, 最重是任, 予心惟簡, 僉議攸同。 眷玆海東之關防, 最彼嶠南之都統。 明組練備陰雨, 設施餘數百年, 峙?糧據要衝, 管領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30년 영양향교(英陽鄕校) 부교안(副校案)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알려준다. 이들 성씨는 20세기 초에 작성된 『교남지』에도 동일하게 기재되고 있는데, 이것은 영양의 대표적인 양반사족들이 큰 변화없이 지역사회를 주도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영양 영양향교
기타자료(1)
- 함안 칠원면 도로개설구간내 칠원읍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같은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높이 1m 이상의 가구식 기단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붕에는 대와(大瓦)가 올라간 점은 읍성 내에서 이 건물의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교남지의 기록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건물지는 칠원...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함안군/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3)
-
교남지 / 嶠南誌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정원호(鄭源鎬) 편, 신연활자본, 이근영방(1940), 76권 15책. 영남 군현지를 모아 편찬한 지리서이다. 1940년 대구의 이근영방에서 발행한 책이다.
-
영남지방 / 嶺南地方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와 경상남도, 경상북도를 아우르는 별칭. 북부 지역은 산지가 많아 미곡 생산과 함께 각 지역마다 특산물이 다양하고 농업의 지역차가 나타난다. 즉 논농사 지대·밭농사 지대·논밭 혼합농업 지대·원예 농업지대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남부
-
박세통설화 / [문학/구비문학]
고려 중기의 문신 박세통에 관한 설화. 동물을 구해주고 보은을 받았다는 동물담이 박세통과 결부된 인물전설이다. 문헌설화는 이제현(李齊賢)의 『역옹패설(櫟翁稗說)』, 『영해군읍지』와 『교남지(嶠南誌)』에 실려 있다. 구전설화는 박세통의 출생지인 경상북도 영해에서 전승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