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교관겸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9)
- 교관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는 여기에 선사상(禪思想)까지를 귀납시켜 종합적인 일승을 제창하고 교관겸수의 사상을 주창하였다. 이때 의천은 천태와 화엄의 양종을 통한 종합적인 불교관을 세워 교와 관을 함께 닦는 것이 불교수행의 바른 길이라고 하였다. 교만 닦고 선을 없애거나 선만 주장하고...
- 교관겸수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시대의 승려 대각 국사 의천의 주장으로, 경전 공부와 참선 수행을 함께 하여 진리를 깨우치는 것정의고려 시대의 승려 대각 국사 의천의 주장으로, 경전 공부와 참선 수행을 함께 하여 진리를 깨우치는 것 | 문광부표기gyogwan gyeomsu | MR표기kyogwan kyŏms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각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嚴宗旨)를 배웠다. 1646년 희언(熙彦)과 속리산 법주사에 은거하다가 화엄사에서 입적하였다. 나이 86세, 법랍 73세였다. [학문세계와 사상] 한국불교의 전통선을 깊이 익혀 정혜쌍수(定慧雙修)‧교관겸수(敎觀兼修)를 실천하였고, 간화선(看話禪)에...이칭별칭 징원(澄圓)| 벽암(碧巖)
- 대한불교일승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법화경』의 회삼귀일사상을 본지로 하여 교관겸수(敎觀兼修)하고 보살행을 실천하여 나라를 지키며, 불교를 널리 전파하는 것을 종지로 삼고 있다. 본존불은 석가모니불이다. 주요행사로는 음력 2월 15일의 열반법회, 4월 8일의 탄생법회, 7월 15일의 백중법회, 1...이칭별칭일승종|대한불교일승종포교원
- 대한불교법화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一心三觀)과 교관겸수(敎觀兼修)를 익혀 중생을 교화하고 널리 불법을 펴서 호국함을 종지(宗旨)로 삼고 있으며, 신라의 원효(元曉)와 고려 제관(諦觀)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근본경전은 『법화경』이며, 본존(本尊)은 석가모니불과 십계만다라(十界曼多羅)이다. 주요...이칭별칭법화종
기초학문(1)
- 섭산계 삼론사의 정혜쌍수설과 천태사의 교관겸수설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차차석, 게재일 : 201043912 차차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학회 2010 섭산계 삼론사의 정혜쌍수설과 천태사의 교관겸수설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1)
-
교관겸수 / 敎觀兼修 [종교·철학/불교]
고려 대각국사 의천의 주장으로, 불교에서 교리체계인 교(敎)와 실천수행법인 지관을 함께 닦아야 한다는 사상. 선종과 교종이 자기의 것만을 주장하는 폐단을 타파하고 모든 종파가 대동단결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를 담은 것이 교관겸수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