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괴산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67)
사전(181)
- 괴산군(槐山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괴산군 괴산군 槐山郡 충청도(忠凊道) 잉근내(仍斤內), 괴양(槐壤), 괴주(槐州), 시안(始安)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용한 1413년(태종 13) [정의]상위어충청도(忠凊道) | 동의어잉근내(仍斤內), 괴양(槐壤), 괴주(槐州), 시안(始安)
- 괴산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편찬연대 미상의 충청북도 괴산군 읍지. [내용] 1책. 필사본. 방리조의 호구(戶口) 기록에 신유식(辛酉式)을 쓰고 있으며, 환적조의 김희순(金羲淳, 1757∼1821)의 생몰연대로 보아 1801년경에 작성된 읍지를 후대에 필사한 듯하...
- 괴산군(충청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면적은 842.11㎢이고, 인구는 3만 6,566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0개 면, 279개 리가 있다. 군청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서부리에 있다. [자연환경] 군의 남동부는 소백산맥이 북동에서 남서로 달리고 있어 조령...
- 연풍현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9년에 편찬된 충청북도 연풍현(지금의 괴산군 연풍면) 읍지. [내용] 2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2책 중에 1책은 지도첩이며, 1책은 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원본사기가 1901년인 『연풍현읍지』가
- 백악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과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걸쳐 있는 산. 일명 百岳山. [내용] 높이 858m. 속리산 국립공원 북부에 솟아 있는 고봉들 중의 하나이다. 산의 남쪽에는 고봉인 문장대(文藏臺, 1,033m)‧관음봉(...이칭별칭백악산(百岳山)
고서·고문서(530)
- 槐山郡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四十九 忠淸道 槐山郡 56 本高句麗 仍斤內郡新羅改槐壤郡高麗改爲槐州顯宗戊午屬忠州任內後置監務本朝太宗三年癸未陞爲知槐州事十三年癸巳例改爲槐山郡別號始安【淳化所定】四境東距延豐二十一里西距陰城二十里南距淸州十七里北距忠州九里戶四百四十五口一千三百三軍丁侍衛軍六十六船軍...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괴산군읍지(槐山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801년경에 편찬된 충청도 괴산군 읍지이다. 괴산군은 현재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소수면, 사리면, 문광면, 칠성면 일대에 해당하며, 읍치는 괴산읍 서부리 일원에 있었다. 괴산은 본래 고구려의 잉근내군(仍斤內郡) 지역으로, 신라 때 괴양군(槐壤郡)...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괴산군읍지(槐山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902년에 편찬된 충청북도 괴산군 읍지이다. 괴산군은 현재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소수면, 사리면, 문광면, 칠성면 일대에 해당하며, 읍치는 괴산읍 서부리 일원에 있었다. 괴산은 본래 고구려의 잉근내군(仍斤內郡) 지역으로, 신라 때 괴양군(槐壤郡)...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충청북도괴산군읍지(忠淸北道槐山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899년(광무3)에 편찬된 충청북도 괴산군 읍지이다. 괴산군은 현재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소수면, 사리면, 문광면, 칠성면 일대에 해당하며, 읍치는 괴산읍 서부리 일원에 있었다. 괴산은 본래 고구려의 잉근내군(仍斤內郡) 지역으로, 신라 때 괴양군...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군부 제56호 조회를 받고, 청주지방대의 괴산군 주둔비 1,438원 90전의 외획 훈령을 다시 괴산군으로 발송한다는 조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구술자료(65)
- 충청북도 괴산군_잘하네 못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2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잘하네 못하네 잘하네 못하네 논 이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1988.6.16 素88-6-16②A 이광영, 이상모 이광영(1917년생.남.토민), 이상모(193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손으로 이듬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대허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3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대허리 대허리 논 이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1988.6.16 素88-6-16②A 이광영, 이상모 이광영(1917년생.남.토민), 이상모(193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슬슬 대허리 멕받형(선후창)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얼럴럴 상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4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얼럴럴 상사 얼럴럴 상사 상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1988.6.16 素88-6-16②A 이광영, 이상모 이광영(1917년생.남.토민), 이상모(193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잦은 상사 류 멕받형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1리 | 녹음날짜1988.6.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잘하네 못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7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잘하네 못하네 잘하네 못하네 이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1리, 2리(소리실, 길골) 1995.12.14 素95-12-14①A 박종순, 김진호, 김승복, 최기준, 김태형, 유용현, 우용구 (메) : 박종순(19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1리, 2리(소리실, 길골) | 녹음날짜1995.12.14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충청북도 괴산군_대허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3_008 충북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괴산군_대허리 대허리 이듬소리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 2리(소리실, 길골) 1995.12.14 素95-12-14①A 박종순, 김진호, 김태형 (메) : 박종순(1919년생.남. 2리 소리실 토민) (받) : 김진호(1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 2리(소리실, 길골) | 녹음날짜1995.12.14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신문·잡지(41)
- 괴산군사 김슌일이가 거즛 슌검이로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괴산군사 김슌일이가 거즛 슌검이로라고도 고 혹 춍슌이라고도 며 그 족인 김셩방의 집의 가셔 죄목을 얼거가지고 돈 삼 여금을 토다가 츙쥬 경무셔에 피착 엿더라게재일1900년 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괴산군셔 금광시작 후로 장뎡을 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괴산군셔 금광시작 후로 장뎡을 시힝치 안코 뎐답을 파고 갑도 주지 안니며 소위 광군들이 셩의 집을 앗고 들어가 악이 무쌍야 셩이 모다 폐농지경이 되엿스니 막즁 공납을 어셔 것을지 답답다더라게재일1900년 7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五倅轉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쥬군슈 권직상 진쥬군수 민병셩 평양군슈 리즁옥씨등 삼인은 즁츄원 부찬의로 쳬임고 괴산군슈 장긔연 강릉군슈 리화씨등 량인은 면관쥬본다더라게재일1906년 12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槐倅去處不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괴산군슈 쟝긔연씨 의병의 습격을 당후에 어로 피신얏지 쳐로 탐문야도 그죵젹을 알슈업다고 츙북관찰 리호셩씨가 군쥬의 보고인야 부에보고얏다더라게재일1907년 9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槐郡幾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북도 괴산군 동면칠셩암에셔 의병과 일병이 교젼은 젼보에도 긔얏거니 군 인의 젼셜을들은즉 의병이 상금둔취야 인심이 쇼요 안이라 일경이거의 뷔일지경이 되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50)
- 86괴산군 주요업무계획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86괴산군 주요업무계획 86괴산군 주요업무계획 86槐山郡 主要業務計劃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괴산군 교육청 | 사료철명충북교육
- 괴산군교원연수원설치조례개정조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괴산군교원연수원설치조례개정조례 괴산군교원연수원설치조례개정조례 교육 문헌 교원 재교육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범주1교원 | 형식문서 | 사료철명조례원본
- 괴산군교육비특별회계소속회개관관리공무원제정보증조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괴산군교육비특별회계소속회개관관리공무원제정보증조례 괴산군교육비특별회계소속회개관관리공무원제정보증조례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사료철명조례원본
- 괴산군립국민학교사증개축비적립금설치및관리조례개정조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괴산군립국민학교사증개축비적립금설치및관리조례개정조례 괴산군립국민학교사증개축비적립금설치및관리조례개정조례 교육 문헌 교육재정 지방교육재정 교육법령범주1교육재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미상 | 사료철명조례원본
- 괴산군교육장소속지방공무원복무조례번호부여(767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괴산군교육장소속지방공무원복무조례번호부여(767호) 괴산군교육장소속지방공무원복무조례번호부여(767호)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괴산군교육청 | 사료철명조례
주제어사전(42)
-
괴산군 / 槐山郡 [지리/인문지리]
(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0개 면, 281개 행정리(126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서부리에 있다.
-
괴산군읍지 / 槐山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편찬연대 미상의 충청북도 괴산군 읍지. 1책. 필사본. 방리조의 호구(戶口) 기록에 신유식(辛酉式)을 쓰고 있으며, 환적조의 김희순(金羲淳, 1757∼1821)의 생몰연대로 보아 1801년경에 작성된 읍지를 후대에 필사한 듯하다. 내용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
-
백악산 / 白岳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과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858m. 속리산 국립공원 북부에 솟아 있는 고봉들 중의 하나이다. 산의 남쪽에는 고봉인 문장대(文藏臺, 1,033m)·관음봉(觀音峰, 985m)이 있으며 서쪽으로는 낙영산(落影山, 681m)과
-
김남일 / 金南一 [종교·철학/유학]
시봉사, 사섬시봉사, 사포서별검, 군자감직장으로 있다가 부친상을 당하여 벼슬에서 물러났으며, 1693년(숙종 19)에 괴산군수를 지냈다. 1696년(숙종 22) 9월 괴산군수로 있을 때 62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었다. 문집으로《지남선생문집》1책이 전한다.
-
달천 / 疸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俗離山, 1,058) 부근에서 발원하여 괴산군을 지나 충주시 서쪽에서 남한강에 합류되는 하천. 남한강 수계의 최남부에 있는 지류로, 길이는 약 116㎞. 괴산군 칠성면의 쌍천(雙川)과의 합류지점까지 40.2㎞는 지방하천이다. 충주에서 서북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