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광평성” 에 대한 검색결과 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5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며, 소속 관원으로 고려의 시랑(侍郎)격인 서사(徐事)와 원외랑(員外郎)격인 외서(外書)를 두었다. 아래에 병부(兵部)‧대룡부(大龍部)‧수춘부(壽春部)‧봉빈부(奉賓部)‧의형대(義刑臺)‧납화부(納貨府)‧조위부(調位部)‧내봉성(內奉省)‧금서성(禁書省)‧남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전기 백관을 총괄하던 중앙관부. [내용] 고려 태조는 태봉의 관제를 이어받아 그 장관을 시중(侍中)이라 하고, 백관을 총괄하게 하였다. 신라의 화백회의(和白會議)의 전통을 이어받고, 뒤에는 중서문하성으로 변모되어갔다. 신라의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태봉(泰封)과 고려 전기 백관을 총괄하던 중앙관청.
    정의태봉(泰封)과 고려 전기 백관을 총괄하던 중앙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wangpyeongseong | MR표기Kwangp’yŏng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2_D_0247 관직 總領, 百官, 侍中, 侍郞, 尙書都省, 尙書令, 左右僕射 麗太祖, 成宗 百官志 D_12_02_14 대동운부군옥 12권 2장 1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2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4_D_0214 정책-제도 廣評, 百官, 侍中, 侍郞, 尙書都省, 尙書令 弓裔, 王太祖, 成宗 百官志 D_07_01_22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2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7)

  •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263권, 성종 23년 3월 30일 경자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성종 23년 3월 30일 경자(1492) 1492 大坡兒鎭 平安道 碧潼 大坡兒城 小坡兒城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263권 성종 23년 3월 30일 경자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성종 23년 3월 30일 경자(1492) 1492 小坡兒鎭 平安道 碧潼 大坡兒城 小坡兒城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263권, 성종 23년 3월 30일 경자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성종 23년 3월 30일 경자(1492) 1492 方山鎭 平安道 碧潼 大坡兒城 小坡兒城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263권 성종 23년 3월 30일 경자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성종 23년 3월 30일 경자(1492) 1492 水口鎭 平安道 碧潼 大坡兒城 小坡兒城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6180 일본 편저 日本紀略 093 태조(太祖) 22 939 3 11 日本紀略 後篇2 天慶二年三月 十一日癸丑 大宰府牒 高麗却歸使人 일본, 일본, 天慶 2년은 태조 22년(939)에 해당하므로, 태조 22년 3월 11...
    국가일본 | 서명日本紀略 | 왕대태조(太祖)  22

구술자료(1)

  • 요. 저 태어난 건 중부에 있는 광빈성(Tỉnh Quảng Bình, )베트남 중부 해안지대에 위치한 성으로 거주지는 성도는 동호이를 중심으로 일부분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농경지와 정글로 이루어져있다.에서 태어났고, 중학교 때 가족이 남부로 옮겼어요. 잘라이성으로
    국가베트남 | 제보자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백관을 총괄하던 중앙관부. 고려 태조는 태봉의 관제를 이어받아 그 장관을 시중이라 하고, 백관을 총괄하게 하였다. 장관인 시중이 2인인 것은 왕명을 받들어 행하는 행정기구이기보다는 호족세력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 병관 / 兵官 [정치·법제/법제·행정]

    . 그러나 어사6관인 선관·민관·예관·공관이 모두 국초에 설치된 것같이 보이지만, 국초에는 신라와 태봉의 구관제를 이어받아 ·병부·창부·의형대·도항사 등의 국무분담기관이 여전히 설치되고 있어, 6전체제가 아직 성립되지 못하고 있었으므로 6전체제의 시초라고 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