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광평대군” 에 대한 검색결과 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

사전(59)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다섯째아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2년(세종 14) 으로 봉해지고 1436년에 신자수(申自守)의 딸과 혼인하였다. 그 해 성균관에 입학하여 학문에 힘써 『효경』ㆍ『소학』ㆍ사서삼경ㆍ『좌전(左傳)』 등에 능통하였고, 『문선(文選)』과 이백(李白)ㆍ두보(杜甫)ㆍ구양수(歐陽修)...
    이칭별칭 환지(煥之)| 명성당(明誠堂)| 장의(章懿)|이여(李璵)
  • 묘역일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다섯째 왕자 과 그 후손인 종중 묘역. [내용]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48호. 대모산(일명 광수산) 북동쪽 기슭(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산 10번지 1호)에 위...
    연계항목광평대군묘역일원(廣平大君墓域一圓)
  • 이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8(선조 1)∼1645(인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선초(善初), 호는 화암(花巖). 세조의 5남인 ()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우춘(遇春)이다. 평소 광해군의 패륜 행위에 불만...
    이칭별칭 선초(善初)| 화암(花巖)
  • 이승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7(영조 43)∼1829(순조 2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뇌연(雷淵). 자는 문계(文階) 또는 태초(太初), 호는 연재(衍齋). 세종의 별자(別子)인 ()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칭별칭 문계(文階), 태초(太初)| 연재(衍齋)

고서·고문서(14)

  • 76266 B076266 동래 東萊 정치행정 端宗實錄 二年(1454) 二月 단종실록_10202004_002 ○釋充軍丁善奇、金良貴、周陽復。 初, 璵夫人申氏擅往東萊溫井, 皆良貴等從臾之也。 議政府啓, 令憲府推劾充軍, 至是, 以經赦釋之。 議政府啓曰: “良貴等奸邪, 毋...
    출처전거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6279 B076279 동래 東萊 정치행정 端宗實錄 元年(1453) 夏四月 단종실록_10104024_004 ○諭慶尙道觀察使李崇之曰: “夫人浴東萊溫井, 至今未還, 非徒諸邑有弊, 且倭人沐浴者數多停留, 弊亦不小, 卿可促令還京。”
    출처전거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6280 B076280 동래 東萊 정치행정 端宗實錄 元年(1453) 六月 단종실록_10106008_003 ○舍人羅洪緖將堂上議啓曰: “婦有三從之道, 夫人, 義當從父, 今歸東萊溫井, 至使倭人皆知其遠來, 而父申自守以家長不能禁止, 不可不懲, 請罷職。” 從之。
    출처전거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7481 B027481 광진 廣津 군사교통 英祖實錄 四十四年(1768) 三月 영조실록_14403022_002 ○命致祭于墓, 故相李濡墓, 輦路所經也。 辭陵禮後回鑾。 命承旨招問牟麥豐歉於道傍農人。 詣晝諪所, 命旗鼓迎接。 歷臨東關王廟, 行拜禮, 命訓局御營軍挾輦軍挾輿...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6277 B076277 동래 東萊 정치행정 端宗實錄 元年(1453) 夏四月 단종실록_10104024_003 ○舍人李禮長將堂上議啓曰: “夫人浴于東萊溫井, 今已累月, 諸邑支待有弊。 又聞倭人不得沐浴, 留待者頗多, 尤爲不可。 女有三從之道, 在家從父, 旣嫁從夫, 夫死...
    출처전거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역사/조선시대사]

    1425(세종 7)∼1444(세종 26). 조선 전기의 왕자.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1432년(세종 14)으로 봉해지고 1436년에 신자수의 딸과 혼인하였다. 그 해 성균관에 입학하여 학문에 힘써 『효경』·『소학』·사서삼경·『좌전』등에

  • 이후원 / 李厚源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7세손, 한 증손, 할아버지는 인건, 아버지는 욱, 어머니는 황정욱의 딸이다. 김장생의 문인이다. 김집·조속·송준길 등과 교류하였다. 태인현감, 병조참지, 충청도관찰사, 대사헌, 형조참판, 예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