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광주산맥” 에 대한 검색결과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

사전(6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00m 전후의 구릉지로 낮아진다. 포천과 화천 사이의 광덕현(664m)과 금곡과 마석 사이의 마치고개(242m)가 주요 고개이다. 은 팔당 협곡을 건너 남쪽으로 이어지며, 한강을 건너 하남시의 검단산(685m), 광주의 청량산(480m)‧문형...
  • 용문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과 옥천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높이는 1,157m이다. [명칭 유래]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에 속한 산이다. 미지산(彌智山)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조선 태조가 등극하면서 용뮨...
    이칭별칭미지산
  • 화악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과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1,468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에 속하는 산으로 서쪽에 국망봉(國望峰, 1,168m), 동쪽에 응봉...
  • 복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사내면과 철원군 근남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1,152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에 속하는 산으로, 남서쪽에 광덕산(廣德山, 1,046m)‧명성산(鳴聲山, 923m), 북동쪽에 대성산(...
  • 어은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양구군 수입면에 있는 산. [내용] 높이 1,277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중의 한 산으로, 북쪽에는 용문산(龍門山, 1,068m), 동쪽에는 문필봉(文筆峯, 1,008m), 남쪽에는 백석산(白石山, 1,14...

신문·잡지(1)

  • 6 영석 오락산 윤문성 ―수리산― 안양을 등에 지고 안산을 옆에겐 의 한 토막 높은 봉 수리산 4차 타격전에 승리의 고리지인전략의 요점 이곳 수리산 방어의 “영”은 우리에게 나려졌다. 이산을 빼앗으려 적의 무력 무려 십 수배 발광하는 놈들...
    대표표제어승리를위하여_1951_0307_02 | 책임주필영석

주제어사전(12)

  • / [지리/자연지리]

    태백산맥(太白山脈)의 금강산(金剛山) 부근에서 시작하여 남서방향으로 서울부근까지 이르는 산맥. 산맥의 북서쪽은 추가령구조곡(楸哥嶺構造谷), 남동쪽은 북한강(北漢江)이 경계를 이룬다. 즉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臨津江) 유역 사이의 산줄기라고 알려져 있다. 서울 부근의 북

  • 대성산 / 大成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과 철원군 근남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75m. ()에 속하는 산으로서 북쪽의 백암산(白巖山, 1,179m)·적근산(赤根山) 등과 함께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1,073m)·화악산(華岳山, 1,468m), 서남쪽으로 수피령·복

  • 석룡산 / 石龍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과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걸쳐 있는 산. 석룡산은 북위 38°59′52″, 동경 127°28′44″에 위치하며 지리적으로 북쪽에서 발달한 의 지맥이 남동방향으로 발달하여 있다. 식물구계 지리학상으로볼 때 한반도 중부아구에 속한다. 정상에 꾸

  • 광덕산 / 廣德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과 철원군 서면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46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에 속하는 산으로, 동쪽에 복주산(伏主山, 1,152m)·대성산(大成山, 1,175m), 남쪽에 백운산(白雲山, 904m), 서쪽에 명성산(鳴聲

  • 명성산 / 鳴聲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22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에 속하는 산으로, 동쪽에 광덕산(廣德山, 1,046m)과 동남쪽에 백운산(白雲山, 904m), 남쪽에는 사향산(麝香山, 736m) 등이 솟아 있다. 서남쪽 기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