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광주부읍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광주부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9년에 편찬된 경기도 광주부(지금의 광주군) 읍지. [내용] 표지에는 ‘光武三年五月日廣州府邑誌(광무3년 5월일 광주부읍지)’로 되어 있다. 1책. 필사본.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
- 정시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되어 『선원록』의 잘못을 교정하기도 하였다. 보학(譜學)을 깊이 연구하여 『동국제성(東國諸姓)』 18권을 지어 우리나라 씨족과 인물의 정리작업을 시행하였다. 『광주부읍지(廣州府邑誌)』 『...이칭별칭 여치(汝癡)| 우은(寓隱)
- 중정남한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밖에도 『광주부읍지』가 규장각도서에 있다. 내용구성은 남한(南漢)ㆍ성도(星度)ㆍ분야(分野)ㆍ산천(山川)ㆍ형승(形勝)ㆍ건치(建置)ㆍ성지(城池)ㆍ강역(疆域)ㆍ방리(坊里)ㆍ군명(郡名)ㆍ성씨(姓氏)ㆍ직관(職官)ㆍ궁실(宮室)ㆍ관해(官廨)ㆍ누정(樓亭)ㆍ능침(陵寢)ㆍ...이칭별칭南漢志(남한지)
- 낙생역(樂生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역으로 되어 있다. 역이 이설되면서 역명이 혼용되었거나, 혹은 중간에 잠시 이름이 바뀌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낙생역의 위치는 『여지도서』와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광주부 남쪽 30리,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와 『광주부읍지(廣州府邑誌)』에는 광주부 남쪽 40리...상위어양재도(良才道), 영화도(迎華道) | 동의어돌마역(突馬驛) | 관련어속역(屬驛), 정역찰방(程驛察訪), 역노비(驛奴婢), 주정소(晝停所), 광주목(廣州牧), 전운노비(轉運奴婢)
주제어사전(1)
-
광주부읍지 / 廣州府邑誌 [지리/인문지리]
1899년에 편찬된 경기도 광주부(지금의 광주군) 읍지. 표지에는 ‘光武三年五月日廣州府邑誌(광무3년 5월일 광주부읍지)’로 되어 있다. 1책. 필사본.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形勝)·성지(城池)·관직(官職)·산천(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