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광제산봉수대” 에 대한 검색결과 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덕무리에 있는 봉수대. [내용] 경상남도기념물 제158호. 광제산 봉수대는 진주를 통과하는 남해안의 위급한 상황을, 서울로 전달하는 내륙의 중요한 통신수단 역할을 한 조선 세종 때에 축조된 것이다. ...
    연계항목광제산봉수대(廣濟山烽燧臺)
  • 연조(烟竈)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晋州 』, 경남발전연구원, 2006. 김주홍, 『조선시대 봉수연구』, 서경문화사, 2011. 김주홍, 『조선시대의 연변봉수』, 한국학술정보, 2010. 우리문화재연구원, 『昌寧 餘通山烽燧臺 遺蹟』, 우리문화재연구원, 2007.
    상위어봉수(烽燧) | 동의어연굴(烟窟), 봉조(烽竈), 아궁이 | 관련어내지봉수(內地烽燧), 방호벽(防護壁), 복리봉화(腹裏烽火), 오거화제(五擧火制)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덕무리에 있는 봉수대. 경상남도기념물 제158호. 광제산 봉수대는 진주를 통과하는 남해안의 위급한 상황을, 서울로 전달하는 내륙의 중요한 통신수단 역할을 한 조선 세종 때에 축조된 것이다. 이 봉수대는 남으로 망보산(望普山)봉수, 북으로 단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