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광제비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25)
- 광제비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두종, 탐구당, 1979) 광제비급 1790년(정조 14)에 이경화가 간행한 의서. 규장각도서. 광제비급
- 시질(時疾)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시질 시질 時疾 광제비급(廣濟秘笈) 문화의학·약학/병세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원보영 [정의] 계절적 특성을 띠는 질병. [내용] 『광제비급(廣濟秘笈)』에 등장하는 ‘시질두통(時疾...관련어광제비급(廣濟秘笈)
- 이경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었으며, 침구(鍼灸)에 능하고 경사백가(經史百家)에도 정통하였다. 저서로는 ≪광제비급 廣濟祕笈≫과 ≪풍계집≫이 있다. 肅宗實錄
- 귀비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우리나라의 기록으로는 『동의보감』‧『제중신편』‧『광제비급(廣濟祕笈)』‧『방약합편』 등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용안육(龍眼肉)‧산조인(酸棗仁)‧원지(遠志)‧백출(白朮)‧백복신(白茯神)‧당귀‧인삼 각 4g, 목향 2g, 감초 1g, 생강 3쪽, 대추 2개로 이루어...
- 감두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농본초경』에서 첫 기록을 보이며, 우리나라의 기록으로는 『동의보감』‧『의종손익(醫宗損益)』‧『광제비급(廣濟秘笈)』‧『제중신편』‧『방약합편』 등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감초‧검은콩 각각 20g으로, 다른 처방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편이다. 특히, 굵은콩[黃大豆...
고서·고문서(2)
- 광제비급향약오십종치법(廣濟秘笈鄕藥五十種治法)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민속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抄撮諸家姓氏書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平君】 任瑞鳳《壬申方》 李獻吉《乙未新詮》 【字夢叟,朝鮮人】 趙廷俊《及幼方》 李景華《廣濟秘笈》 【其有一姓多人者,取其大家標,云某氏。如萬全ㆍ張介賓ㆍ朱之黯ㆍ李梴ㆍ龔廷賢ㆍ吳學損ㆍ王肯堂ㆍ黃廉ㆍ錢謙等,得稱某氏。餘皆書名書號以別之】 47 ~ 53쪽권차명麻科會通 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3)
-
광제비급 / 廣濟秘笈 [종교·철학/유학]
1790년(정조 14)에 이경화가 간행한 의서. 4권 4책. 목판본. 정조 때 함경도관찰사인 이병모가 지방 사람들의 의료혜택을 위하여 이경화에게 이 책을 편술하게 하였다. 다른 의서와 다른 점은 주로 임상과 직결되는 구급·잡병·부인병·소아병에 역점을 두었으며, 특히 단
-
이경화 / 李景華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706(숙종 32). 조선 후기의 의학자. 송시열의 문인이다. 1660년(현종 1)에 생원이 되었으며, 침구에 능하고 경사백가에도 정통하였다. 저서로는 ≪광제비급≫과 ≪풍계집≫이 있다.
-
감두탕 / 甘豆湯 [과학/의약학]
기록으로는 『동의보감』·『의종손익(醫宗損益)』·『광제비급(廣濟秘笈)』·『제중신편』·『방약합편』 등에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