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광재물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20)
- 광재물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언어적 특징을 보인다. 한자음에서 이미 구개음화가 완전히 이루어졌으며, ‘‧’음의 표기도 매우 혼란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대체로 20세기초 국어표기원칙에 따르고 있는 듯하다. 「광재물보 해제」(홍윤표, 『광재물보』, 홍문각, 1...
- 석(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경우에는 ‘석육(腊肉)’, 어포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어석(魚腊)’이라고 했다. 『광재물보(廣才物譜)』에 따르면, 석은 포(脯)의 이명(異名) 또는 속명(俗名)에 해당한다고 했으므로 석은 곧 포와 같은 말로도 인식되었다. [원산지 및 유통] 조선시대 왕실에서...관련어석육(腊肉), 어석(魚腊), 포석(脯腊)
- 설화지(雪花紙)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용] 설화지(雪花紙, 雪華紙)에 대해 『광재물보(廣才物譜)』에는 “색깔이 눈과 같이 하얗다”고 기록되어 있다. 종이의 색깔이 눈처럼 새하얗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으로 보인다. 1573년(선조 6) 모사용(模寫用) 종이로 설화지를 사용한 사례가 있는 것으로 보아 매우...상위어종이[紙] | 동의어설화지(雪華紙) | 관련어모사(模寫), 평강(平康)
- 백면지(白綿紙)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물(貢物) 및 시지(試紙)로 많이 이용되었던 품질이 좋은 흰 종이. [개설] 백면지(白綿紙)는 예폐(禮幣)·세폐(歲幣) 물품에 포함되었고, 한때 과거시험지로 사용되었던 희고 견고한 종이이다. 『광재물보』에 백추지(白硾紙)는 “백면지이며 고려에서 난다.”고 기록한...상위어종이 | 관련어백추지(白硾紙), 백면지전계(白綿紙廛契), 시지(試紙)
- 중의(中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안에 받쳐 입는 속저고리[中衣]나 속바지[單袴], 또는 최의(衰衣)의 받침옷. [개설] 안에 받쳐 입는 옷, 즉 중단(中單)이다. 『광재물보(廣才物譜)』에는 백삼(白衫)을 중의라고 하여 속저고리를 뜻하며, 『상례언해(喪禮諺解)』에는 단고(單袴)와 속...관련어상복(喪服), 속바지[單袴], 심의(深衣), 중단(中單), 최의(衰衣)
고서·고문서(1)
-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대표표제어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주제어사전(1)
-
광재물보 / 廣才物譜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편자 미상의 일종의 백과전서. 4권 4책. 필사본. 간행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798년(정조 22)에 이성지(李成之)가 엮은 『재물보』를 확대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그 보다는 후대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998년 홍문각에서 영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