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광양민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광양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9년(고종 6) 3월 전라남도 광양 에서 일어난 민란. [개설] 주모자들은 모두 전라도 출신으로 광양의 민회행(閔晦行)‧이재문(李在文), 태인의 전찬문(田贊文), 남원의 권학여(權鶴汝...
- 광양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9년 9월 전라도 광양 에서 일어난 민란. [내용] 난의 원인은 백지홍(白智洪)이 그의 형을 좌수(座首)로 삼으려 하였고, 공금을 횡령하였으며, 안핵사의 조사를 엿보고서 민소(民訴)를...
- 순천진(順天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0섬, 생물가미(生物價米) 64섬’이었다. 순천진영은 영장순력(營將巡歷)을 통해 속읍 속오군 등의 훈련과 무기·복장 상태를 점검하였다. 1869년(고종 6) 광양민란이 진압된 뒤에도 만약을 대비하여 성에 군병을 주둔시켜 방어에 참여하였다[『고종실록』 6년 4월 1일...상위어주진(州鎭), 병영(兵營), 순영(巡營) | 하위어제진(諸鎭), 속읍(屬邑) | 동의어거진(巨鎭), 순천진관(順天鎭管), 순천진영(順天鎭營), 순천토포영(順天討捕營) | 관련어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 순천영장(順天營將), 순천토포사(順天討捕營),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衛), 순찰사(巡察使)
주제어사전(1)
-
광양민란 / 光陽民亂 [역사/근대사]
1869년 3월전라남도 광양에서 일어난 민란. 70여 명의 난민과 가담자 등 300여 명이 광양현성을 침입하여 군기고를 습격하고 현감 윤영신을 사로잡고 인부(印符)를 탈취한 뒤 사창(社倉)을 부수고 백성들에게 곡식을 나눠주었던 내용이다. 주모자들은 서울로 압송되어 모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