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광덕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
사전(49)
- 광덕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쪽에 백운산(白雲山, 904m), 서쪽에 명성산(鳴聲山, 923m) 등이 솟아 있으며, 산의 모습이 웅장하고 덕기(德氣)가 있다 하여 이름이 광덕산이 되었다 한다. 자등리에서 발원한 수계(水系)는 거의 직선으로 북쪽으로 흘러, 와수리에서 한탄강의 지...
- 정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41(영조 17)∼1804(순조 4). 조선 후기의 승려. [내용] 성은 윤씨. 자는 만리(萬里), 호는 운담(雲潭). 경상도 상주 출신. 7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12세에 출가하여 광덕산(廣德山) 덕총(德聰)의 제자가 되었으며, 17...이칭별칭 만리(萬里)| 운담(雲潭)
- 광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태종 때 승격된 수원도호부의 5개 속현 중 하나가 되었다가 광덕면으로 바뀌었다. 조선시대에는 안성천(安城川) 하류의 해안지방에 발달했던 취락으로 광덕산(廣德山)을 등지고 있었으며, 부근의 계두진(溪頭津)을 통하여 아산과 통하였다. 당시에는 아산만 부근에...
- 심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덕목리 광덕산(廣德山)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고려시대의 사찰이라고 전한다. 창건 이후...
- 광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광덕산에 있는 절.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역사적 변천] 652년(진덕여왕 6) 자장(慈藏)...
고서·고문서(12)
- 경기 포천 일동 광덕산, 간첩 3명 침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경기 포천 일동 광덕산, 간첩 3명 침투 대한민국(남북한) 합동참모본부 단행본 국방백서의 『북한의 대남침투/국지도발 일지』에 수록된 사건으로 국방부가 국회...대표표제어경기 포천 일동 광덕산, 간첩 3명 침투 | 저작권자합동참모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 포천 일동면 광덕산 3명 침투(생포 1, 도주 2)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포천 일동면 광덕산 3명 침투(생포 1, 도주 2) 대한민국(남북한) 육군본부 단행본 『대침투작전사③(1961년~1970년) 상』은 1961년부터 1970...대표표제어포천 일동면 광덕산 3명 침투(생포 1, 도주 2) | 저작권자육군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생포
- 달산(達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375 B039375 달산 達山 산악 大東地誌 권1 경기도 水原府 山水 八達山府西小山特起野中城緣其上下有屛岩藥泉花山南二十里舊治鎭山○龍珠寺光敎山北十里龍仁廣州界有觀魚洞洞中有瀑舞鳳山一云萬義山東四十里雉岳山西二十里花山主幹廣德山南一百里有望雲臺前臨大海雙阜山西八十里通望西南海總水山...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경양포(慶陽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881 B020881 경양포 慶陽浦 군사교통忠淸道邑誌 天安郡誌 天安郡 山川 治西南三十里自廣德山北行爲望京臺又東北行爲溫陽白雲臺臺之右支東行爲此山有烽臺 邑前川 前坪水派自泰祖山馬點山諸洞後坪水派自甲峙西南鳳棲山下諸洞到水潮山南合流過郡南面與大川合流溫陽蓬川 大川 方言謂之間川間卽大也...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달산(達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水菴(在三聖山) 迦支寺(在荒達山今癈) 新福寺(在廣德山) 萬峯菴(在工以鄕葛洞) 栢山菴(在雙阜山)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石礦認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부 려현광덕산 부근텰로 련변에잇난 셕광을 탁지부에셔 삼십년위한고 굴기로마런야 농상공부에 인허을 쳥야 인허가되얏다더라게재일1907년 3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度支石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군 과현리 광덕산 부근디와 그남변 텰도가에잇돌광은 탁지부에셔 임의굴기에 착수야 기수를파송야 구역을 측량며 표목을셰운후 농상공부에죠회야 외국인간에 일졀인허치말나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3월 2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8)
-
광덕산 / 廣德山 [지리/자연지리]
山, 923m) 등이 솟아 있으며, 산의 모습이 웅장하고 덕기(德氣)가 있다 하여 이름이 광덕산이 되었다 한다. 광덕산과 명성산 사이에 있는 자등현(自等峴)을 통하여 자등리와 도평리가 연결되고, 광덕산과 복주산 사이에 있는 하오현(荷吾峴)을 통하여 화천군 근남면 잠곡리
-
광덕 / 廣德 [지리/인문지리]
하나가 되었다가 광덕면으로 바뀌었다. 조선시대에는 안성천(安城川) 하류의 해안지방에 발달했던 취락으로 광덕산(廣德山)을 등지고 있었으며, 부근의 계두진(溪頭津)을 통하여 아산과 통하였다. 당시에는 아산만 부근에 많은 해창(海倉)들이 집중되어 있어서 광덕 부근은 주변 지
-
복주산 / 伏主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상서면·사내면과 철원군 근남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52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남서쪽에 광덕산(廣德山, 1,046m)·명성산(鳴聲山, 923m), 북동쪽에 대성산(大成山, 1,175m)이 솟아 있다. 남서쪽의 광덕산과
-
두문동 / 杜門洞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광덕산(廣德山) 서쪽의 골짜기. 고려의 유신인 신규(申珪)ㆍ조의생(曺義生)ㆍ임선미(林先味)ㆍ이경(李瓊)ㆍ맹호성(孟好誠)ㆍ고천상(高天祥)ㆍ서중보(徐仲輔) 등 72인이 끝까지 고려에 충성을 다하고 지조를 지키기 위해 이른바 부조현(不朝峴)이라는 고개
-
명성산 / 鳴聲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과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22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동쪽에 광덕산(廣德山, 1,046m)과 동남쪽에 백운산(白雲山, 904m), 남쪽에는 사향산(麝香山, 736m) 등이 솟아 있다. 서남쪽 기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