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형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55)
- 관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체언을 꾸미는 뜻에 따라 ① 뒷 체언의 멀고 가까움을 화자가 주관적으로 나타내는 지시관형사(이 사람, 그 학생, 저 산, 어떤 사람, 어느 학생, 무슨 사람 등), ② 뒤에 오는 체언이 가리키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제한하는 성질 혹은 형용관형사(새 옷, 사회적 동물...이칭별칭매김씨|어떤씨
- 관형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을 자세히 꾸며 주는 품사정의체언 앞에 놓여서, 그 체언의 내용을 자세히 꾸며 주는 품사 | 문광부표기gwanhyeongsa | MR표기kwanhyŏng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수식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체언(體言)이나 용언을 수식하는 말. [내용] 관형사와 부사를 그 기능이 수식적인 데 있다 하여 묶어서 부르는 품사 분류상의 상위개념으로 ‘꾸밈씨’라고도 한다. 수식언은 후행하는 단어의 의미를 수식‧한정해 주는 기능을 갖는다. 일...이칭별칭꾸밈씨
- 복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서술어가 명사형 어미나 관형사형 어미와 통합되어 다른 문장의 성분절이 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명사형 어미에는 ‘‧(으)ㅁ’, ‘‧기’가 있으며, 관형사형 어미에는 ‘‧(으)ㄴ’, ‘‧는’, ‘‧(으)ㄹ’, ‘‧던’이 있다. 명사형 어미와 통합될 때는 “...
- 시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문장이 지시하는 상황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 [내용] 일반적으로 시제는 용언의 활용으로 표시된다. 국어의 시제는 선어말어미 ‘-았/었-, -겠-, -더-……’ 등에 의해서 표시되거나 용언의 관형사형어미 ‘-(으)ㄴ, -는,...
논문(1)
- 중국인 중급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존명사 구성 교육 방안 - ‘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이다’ 구성을 중심으로 [중국 화남지역 한국학 교육연구 특성화 및 플랫폼 구축 | 吉林大学珠海学院]저자 : 박진하 | 게재정보 : 동방학술논단
고서·고문서(2)
- 〈이두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어찌씨(副詞) (3) 매김씨(冠形詞) (4) 토씨(助詞) (5) 이음씨(接續詞) (6) 맺음씨(結語詞) (7) 움직임씨의 과거 시간 적는 법(動詞過去時間表記法) (8) 높임말 쓰는 법(敬語法)다음으로 자료편은 이 사전의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총 2,039개의 이...대표표제어〈이두사전〉 해제 | 편저자장지영, 장세경 | 권수1책
- 상춘완경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成人]의 최초의 형태는 15세기의 ‘얼운’이다. ‘얼운’은 어원적으로 ‘어르-[交合]+-우-(사동접사)+-ㄴ(관형사형 어미)’로 분석되는데, ‘얼우-’라는 용언은 문헌에 자주 나타나지 않는다. 중세 문헌에서는 ‘아비 怒야 구여 얼우려커늘 孫氏 마니 댓수헤에 가 목...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김구현 | 시대해방이후
기초학문(13)
- 관형사의 품사 설정 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정택, 게재일 : 200310245 이정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말연구학회 2003 관형사의 품사 설정 문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51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국어 관형사의 범주와 기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영희, 게재일 : 200111236 장영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의미학회 2001 국어 관형사의 범주와 기능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부사절과 관형사절의 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건희, 게재일 : 201251876 김건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회 2012 부사절과 관형사절의 수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관형사의 사용 양상과 한국어 교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유종, 게재일 : 200725854 임유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화학회 2007 관형사의 사용 양상과 한국어 교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수사와 수관형사의 형태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구본관, 게재일 : 200106724 구본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출판 박이정 2001 수사와 수관형사의 형태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3)
- 法訓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감옥셔에갓친 수△인즁에 한셩판소소관형상미결슈가 팔십여명이라 한졀옥에 그졍셰가 극히긍측고 오판결치아니이 심히개탄즉 죄슈등을곳망야판결야 가히방셕만면 즉시방셕케라고 법부에셔 한셩판소에훈칙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연변교육_1981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지력발전에 주의를 돌리고 교수방법을 개진하여야 한다 김명숙 36 관형사에 대하여 류은종 38 까다롭고 어려운 조선말 발음지도 3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1
- 교원신문_1949_1110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것을 표로 보였으며 인칭 단수 맞춤에 『내』를 넣어도 좋을 것이다. 타칭은 『이 사람 그 사람 저 사람』 『이 그이 저이』들을 개괄해서 말한 것이다. 『12 수사』에 있어서는 수사의 개념과 량수사와 서수사의 차이를 말하였다. 또 수사가 관형사로 전성되는 것을 46페지...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49_1110_03 | 날짜1949년 11월 10일
주제어사전(15)
-
관형사 / 冠形詞 [언어/언어/문자]
의 멀고 가까움을 화자가 주관적으로 나타내는 지시관형사(이 사람, 그 학생, 저 산, 어떤 사람, 어느 학생, 무슨 사람 등), ② 뒤에 오는 체언이 가리키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제한하는 성질 혹은 형용관형사(새 옷, 사회적 동물, 갖은 고생, 오른 손, 헌 옷,
-
부사 / 副詞 [언어/언어/문자]
품사의 한 갈래. 일반적으로 용언이나 다른 부사를 수식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문장·체언·관형사 등도 수식한다. 부사는 그 기능이 주로 다른 성분 앞에 쓰여 그 성분의 내용을 수식(한정)한다는 점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사와 함께 수식언에 속한다. 부사는 문장내에서
-
동명사 / 動名詞 [언어/언어/문자]
명사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사·형용사, 즉 용언의 한 활용형. 알타이(Altai) 언어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로서의 동명사는 부가어적(附加語的) 용법과 명사적 용법의 어미를 모두 포괄하는 것인데, 국어 문법에서는 전자를 관형사형 어미라고 하고 후자를 명사형 어
-
한영문법 / 韓英文法 [언어/언어/문자]
to Korean)으로서 총 10장(章)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1부에서는 짤막하게 한국어 학습의 특징을 언급한 후 한글 자모와 발음을 소개하고 이어서 명사, 대명사와 지시 관형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경어법, 문장 구조 순으로 한국어의
-
수식어 / 修飾語 [언어/언어/문자]
문장성분의 하나. 학자에 따라서는 관형사와 부사를 합하여 수식어라 부르기도 하나, 이런 경우는 ‘수식언(修飾言)’ 또는 ‘불변어(不變語)’로 부르는 일이 많고, 일반적으로는 문장성분의 의미로 쓰는 일이 많다. 문장성분이라고 하여도 학자에 따라 용법이 다르다. 명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