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향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독향사
- 박규희 철산부사 해유문서
- 김용락 은산현감 해유문서
연구성과물(107)
사전(30)
- 관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한 경계를 위하여 군인들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한 모병(募兵)의 선행조건으로 군량의 확보가 시급하였는데, 군량을 저축하고 그것을 관리하는 관원을 두어 이를 관향사라고 하였다. 초기에는 전국적으로 이들을 파견하였으나, 오랑캐와의 관계가 복잡하여지면서부터 관서지방...
- 독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향사(管餉使) 또한 충청‧전라도에 파견되었으며, 독향사‧관향사의 명령은 군령(軍令)에 준하였다. 독향사는 이괄의 난이 평정되자 폐지되었다. 『인조실록(仁祖實錄)』이칭별칭독군향어사(督軍餉使御史)
- 관향(管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관향 관향 管餉 재정(財政) 관향사(館餉使), 관향고(館餉庫) 평안도(平安道) 경제재정/환곡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후기 문용식 1623(인조 1) 평안도 [정의] 평안도에서 군량으로상위어재정(財政) | 하위어관향사(館餉使), 관향고(館餉庫) | 관련어평안도(平安道)
- 성준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듣고 안산(安山)으로 달려가 그곳에서 사재를 털어 의병을 모집하였다. 난이 평정된 후 군자감정에 이어 선천부사가 되어 양서(兩西)의 관향사(管餉使) 및 찬획사(贊劃使)를 겸하였다. 정묘호란 때 기근이 심하자 기민의 진휼에 힘써 공적을 쌓았으며, 백성들이 청천...이칭별칭 덕보(德甫)| 장곡(藏谷)
- 남이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하다 파직되어 평산(平山)‧해주(海州)‧송화(松禾) 등지에서 유배 생활을 하다가 1621년 풀려나와 전감군접반사(田監軍接伴使)에 이어 체찰사 이경전(李慶全)의 부사(副使)가 되었으나 1623년 인조반정으로 다시 파직당했다. 1624년 관향사(管餉使)로 기용되었...이칭별칭 자안(子安)| 설사(雪蓑)
고서·고문서(77)
- 가도(椵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10 B000610 가도 椵島 도서 평안북도 承政院日記 仁祖 5年 7月 24日_003 ○管餉使書目, 椵島潛商田松山, 依事目梟示, 物貨屬公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767 B064767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10年 4月 8日_026 管餉使時, 管餉使不能詳對, 金時讓之以爲虛疏者, 亦其宜矣, 所謂未收三千餘石云者, 常平倉及各衙門相換用之, 大槪, 輸運下三道糧於西邊者, 以其重西糧也。 相換之事, 似甚不便矣。 上曰, 此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869 B064869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10年 4月 8日_026 管餉使時, 管餉使不能詳對, 金時讓之以爲虛疏者, 亦其宜矣, 所謂未收三千餘石云者, 常平倉及各衙門相換用之, 大槪, 輸運下三道糧於西邊者, 以其重西糧也。 相換之事, 似甚不便矣。 上曰, 此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777 B00477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10年 4月 16日_014 移用於黃州築城時事, 曾蒙聖敎, 而管餉使以靑布給之, 則猶可用之, 若以雜物貨充數送之, 則雖多, 不可用也。 庚午條作木二百九十八同十四疋, 則勿爲相換, 以本色推用, 而管餉使鉛價, 則使戶曹推...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411 B064411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8年 10月 9日_005 ○平安監司書目, 宣川報島中乏食, 李見出來, 恐喝萬端, 仍向管餉使處事。 劉將十二三日間出獵麟山云云事。 入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관향사 / 管餉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의 식량을 관리하던 관원. 1623년(인조 1) 군사의 식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인조반정 후의 상황은 북으로는 오랑캐와 싸우는 명나라를 돕는 원병을 공급하여야 했고, 남으로는 임진왜란 이후 왜에 대한 경계를 위하여 군인들이 필요하였다.
-
독향사 / 督餉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서울의 도성민에게서 호별로 군량을 거두다가 소요가 발생하자 그 대신 충청도에 독향사가 파견되었던 것이다. 독향사 외에 관향사 또한 충청·전라도에 파견되었으며, 독향사·관향사의 명령은 군령에 준하였다. 독향사는 이괄의 난이 평정되자 폐지되었다.
-
김용락 은산현감 해유문서 / 金龍洛 殷山縣監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김용락 은산현감 해유문서. 1840년(헌종 6) 후임관이 겸순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1월 29일 행평안도관찰사겸병마수군절도사도순찰사관향사평양부윤이 호조에 문서를 이관, 1841년(헌종 7) 4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 동년 4월 초9일에 이조에서
-
박규희 철산부사 해유문서 / 朴珪熙 鐵山府使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874년(고종 11) 10월 14일 후임관이 평안도관찰사에게 첩정을 올렸고, 동년 11월 초1일에 평안도관찰사겸병마수군절도사순찰사관향사평양부윤이 호조에 문서를 이관, 1876년(고종 13) 12월 일에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 이관, 동년 12월 13일에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