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청색”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를 맡았다. 회계의 근거를 남겨야 하므로 모든 식용품의 조달 및 지출을 매일 기록하는 등 업무가 매우 복잡하였다. 정약용(丁若鏞)은 『목민심서』에서 지방행정개혁의 일환으로 보다 간편하고 합리적인 의 관리개선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
    이칭별칭주리(廚吏)
  • 곤양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방(吏房)‧호방색(戶房色)‧공례리(公禮吏)‧육병방색(陸兵房色)‧형방(刑房)‧공방색(工房色)‧도서원(都書員)‧대동색(大同色)‧사창색(司倉色)‧하급색(下給色)‧보민창색(補民倉色)‧수병방색(水兵房色)‧의생(醫生)‧()‧별포색(別砲色)‧군기색(軍器色)‧균세색(...
  • 사근역(沙斤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근역에는 이방(吏房) 1명, 병방(兵房) 3명, 호방(戶房) 2명, () 2명, 공방(工房) 2명, 형리(刑吏) 3명, 승발(承發) 2명, 통인(通引) 3명, 관노(官奴) 3명, 시사역비자(時使役婢子) 3명, 사령(使令) 10명, 번장(番長) 1명, 구종(驅...
    상위어사근도(沙斤道) | 관련어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역리(驛吏), 일수(日守), 역노(驛奴), 함양군(咸陽郡)
  • 호남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초색(歲抄色)‧형방(刑房)‧()‧무판색(貿販色)‧전세색(田稅色)‧호적색(戶籍色)‧황육포저구질(黃肉脯猪狗秩)‧치계질(雉鷄秩)‧건어질(乾魚秩)‧생어질(生魚秩)‧염어물질(鹽魚物秩)‧실과질(實果秩)‧잡종질(雜種秩)‧공고(工庫)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 읍지...
  • 역리(驛吏)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본역대기(本驛垈基)에서 콩을 징수하여 역마를 기르고 대동고(大同庫)를 관리하며, 찰방의 월급과 성정미(詳定米)의 대전(代錢)을 수납하는 일을 맡았다. 그리고 형방은 각종 문부(文簿)를 수보(修報)하는 일을, 승발(承發)은 문첩(文牒)을 수보하며 전관(傳關) 등...
    관련어전명(傳命), 역민(驛民), 이서층(吏胥層), 역정호(驛丁戶), 원악향리(元惡鄕吏), 역호(驛戶), 역역(驛役), 입역역리(立役驛吏), 신공전(身貢錢), 납공역리(納貢驛吏), 관군(館軍), 참리(站吏)

고서·고문서(15)

  • 직산군 이북면, 일서면, 이서면에 소재한 훈둔은 이미 승총하였으니 결세는 작인에게 징수하고 도미는 둔감 김홍식에게 출급하되, 일전에 의 보폐를 칭하며 아전들의 주머니를 채우니 이번에 이액을 줄이고 이료를 배정한 후에야 다시 이런 습속이 없을 것이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원주세무관 엄주완의 보고에 새로 인제군에 부속된 기린면은 옛날 춘천군 이 소뢰로 잉여가 있어 수서기 당과로 관용에 진배하다가 인제군에 이속된 뒤 진배할 비용이 없다며 단지 총액만 보내고 소명성책가 없어 정리하기 어렵다고 하니, 결부와 결민소명성책을 세색 김석조 편으로 원주세무서에 보내어 인계하라는 훈령의 기안문.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1885년 전대순(全大淳) 차첩(差帖)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85년 7월에 순창군수가 전대순을 에 임명하면서 내린 차첩이다. 은 조선시대 지방관서의 주방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던 향리이다. 작성연대는 관련문서를 통해 추정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순창장류박물관
  • 1819년 이영하(李瀯夏)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19년(순조9) 11월 7일 이영하(李瀯夏)가 은율현감(殷栗縣監)인 이규진(李奎鎭)에게 보낸 서찰로, 하리(下吏)인 김철강(金喆剛)은 다년간 자신을 모신 ()이니 잘 부탁한다는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884년 전대순(全大淳) 차첩(差帖) 1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84년 10월에 순창군수가 전대순을 공해색에 임명하면서 내린 차첩이다. 은 조선시대 공무를 집행하는 청사와 부속 건물 등의 관리를 담당하던 향리이다. 작성연대는 관련문서를 통해 추정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순창장류박물관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관서의 주방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던 향리. 관아의 주방을 관청 또는 관주라 하였는데, 수령과 그 가족들의 식생활 및 공사 빈객의 접대와 각종 잔치에 필요한 물품의 조달 및 회계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