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죽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속대전
연구성과물(10)
사전(4)
- 관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국가기관의 수용에 충당하기 위하여 금죽(禁竹)하는 특정한 대밭. [내용] 마치 소나무의 재목을 키우기 위하여 금송(禁松)을 설치한 경우와 같은 것이다. 언제부터 어느 지역에 설치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에 관한 것이 법...
- 남도왜한필어창화(藍島倭韓筆語唱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권말에 ‘正德辛卯季秋, 竹田定直書’라고 쓰여 있다. 현재 후쿠오카현립도서관 다케다문고(福岡縣立圖書館竹田文庫)과 규슈대학(九州大學) 히가키문고(檜垣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高橋昌彦,「朝鮮通信使唱和集目錄稿」(一), 福岡大学, 2007. デジタル版 日本人名...유형분류문헌
- 임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南大川官竹田 경남 진주 왕대 보안 山淸林藪 경남 산청 상수리 굴참 느티 보건 보안 군사 ...
- 장흥군(전라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유적은 연지리의 탑산사지(塔山寺址)‧관죽전(官竹田) 등이 있다.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 교, 중학교 1개 교, 고등학교 1개 교가 있다.신월(新月)‧연정(蓮亭)‧연지(蓮池)‧도청(都廳)‧잠두(蠶頭)‧분토(分土)‧신(新)‧옹암(甕巖)‧가학(駕鶴) 등 9개 리가 있다....
고서·고문서(6)
- 《續大典》曰:“靑竹田ㆍ官竹田ㆍ楮田,敬差官ㆍ都事,加意察處。不勤護養者,監考刑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120 經世遺表 卷七 ITKC_MP_0597A_1120_020_0090 《續大典》曰:“靑竹田ㆍ官竹田ㆍ楮田,敬差官ㆍ都事,加意察處。不勤護養者,監考刑推。”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권차명經世遺表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대죽(大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8559 B048559 대죽 大竹 경제산업 全羅道邑誌 光陽縣邑誌 光陽縣 竹田 靑大竹田在縣東六十里箭竹田在縣東七十里官竹田在縣東五十里又在縣東五十里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돌산도(突山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8286 B068286 돌산도 突山島 도서 전라남도 全羅道邑誌 順天府邑誌 順天府 孝子 ...南山之下種竹一邱至今爲官竹田世稱侍中竹田石塔在府南二里路傍蓋設府時所置今至半圯造山在府南五里凡五其下鑿四池今廢只有二池俗傳始設府治時以南方虚疏故置之云麗水廢縣在府東六十里本百濟㧼村縣新羅改海邑縣...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山以爲書塾寓戀闕之忱前臨大海後有泉石今廢有古址淸香㙜在府西七十里富有村高麗副正趙瑜肇開之墓而臺有八景侍中竹田在府南五里高麗侍中蔡珙哲居于南山之下種竹一邱至今爲官竹田世稱侍中竹田石塔在府南二里路傍蓋設府時所置今至半圯造山在府南五里凡五其下鑿四池今廢只有二池俗傳始設府治時以南方虚疏故置之云麗水廢縣在府東...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 {第十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蔚山母寺婢正月率子長守年 -----大貴年貳癸亥率同生愛玉各戶去等辛酉戶口相准 第三戶良人官竹田直李云生年伍拾玖丙寅本迎日父弘亂祖元己曾祖不知外祖姜善正本長只母良女莫乃妻府案付司僉寺婢得今年 伍拾參壬申本蔚山父寺奴得立母寺婢士介祖寺奴銀玉曾祖不知外祖尹石龍本蔚山率同生府案付司僉寺婢古音進年肆拾 陸...연도_면이름1684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一東門內里
주제어사전(1)
-
관죽전 / 官竹田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국가기관의 수용에 충당하기 위하여 금죽하는 특정한 대밭. 마치 소나무의 재목을 키우기 위하여 금송을 설치한 경우와 같은 것이다. 18세기 영조 때 편찬된 ≪속대전≫안을 통해 법제로서 정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