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75)
사전(327)
- 觀潮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7_D_0105 觀潮 하천 公主, 公主 西京, 昇天府 睿宗, 元宗, 忠烈王 並麗史 D_05_02_43 대동운부군옥 5권 2장 4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2장 4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綸組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O1_S_0011 綸組 요리 綸, 組, 宛轉繩, 青絲, 紃, 鹿角菜, 海中苔, 紫菜, 青角菜, 鹿角, 海衣, 石上苔 海中, 我國 爾雅, 緇衣, 說文, 內則, 通志 S_05_01_61 성호사설 5권 1장 61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5권 1장 6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관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이나 바다로 거슬러 올라오는 만조(滿潮)를 구경하는 일. [내용]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풍속으로 일종의 오락이라 할 수 있다. 관조는 조수의 간만(干滿)의 차를 보는 것인 바 그 기록은 ≪고려사 高麗史≫에 단편적으로 남아 있다.
- 관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편지를 봄. 頃因奴便奉一書矣 其能關照否, 박세채(朴世采), 3-14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금관조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박해용(朴海容)이 입었던 것으로 전해지는 의복. [내용]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5호. 금관조복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국가의 경사‧정조‧동지‧성절 등의 의식에 착용하였던 대례복이다. 소장자에 의하면 이 유물은 조선 말기 승지였...연계항목금관조복(金冠朝服)
단행본(1)
- 조선총독부의 조선사 자료수집과 역사편찬 [일제 식민주의 역사학의 연원과 기반에 관한 연구-朝鮮·支那·滿蒙·동남아 통합지배를 향한 ‘東洋史’와 식민사학 비판 | 서울대학교]저자 : 서영희 ... | 출판사 : 사회평론 | 출판일 : 202202일제시기 조선총독부는 방대한 조선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식민지의 역사편찬사업을 추진했다. 총독부가 조선의 역사편찬사업을 추진한 까닭은 무엇일까? 이 책은 조선총독부의 식민사학 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진행된 역사편찬사업의 추진 배경뿐 아니라 식민지 기초조사사업으로 시행된...
고서·고문서(1,540)
- 구관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관습조사일반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구관조사자료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민사 | 소장처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図書室,東京大学農学生命科学図書館,東京大学法学部,シェフィールド大学日本研究センター,青山学院大学図書館,跡見学園女子大学茗荷谷図書館,大阪教育大学附属図書館,大阪産業大学綜合図書館,沖縄大学図書館,お茶の水女子大学附属図書館,鹿児島国際大学附属図書館,京都女子大学図書館,京都大学人文科学研究所図書室,熊本学園大学図書館,高知大学総合情報センター(図書館)中央館,神戸大学附属図書館人文科学図書館,神戸大学附属図書館人間科学図書館,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ター,国立歴史民俗博物館図書室,佐賀大学附属図書館,札幌大学図書館,静岡大学附属図書館,昭和女子大学図書館,上越教育大学附属図書館,摂南大学図書館,総合地球環境学研究所図書室,大東文化大学図書館,千葉大学附属図書館,帝京大学図書館,東京家政学院大学附属図書館,東京女子大学図書館,東洋大学附属図書館朝霞図書館,同志社大学図書館今出川図書館,長崎大学附属図書館,奈良大学図書館,南山大学名古屋図書館,ノートルダム清心女子大学附属図書館,花園大学情報センター(図書館),姫路獨協大学附属図書館,兵庫大学情報メディアセンター図書館,福岡大学研究推進部,福島大学附属図書館,武蔵大学図書館,明星大学日野校舎図書館,立正大学情報メディアセンター(熊谷図書館),琉球大学附属図書館 | 출판사琉球政府
- 萬物門2_綸組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綸組 《爾雅》曰: “綸, 似綸; 組, 似組.” 《註》云: “海中草生彩理有象之者, 因以名.” 按, 《緇衣ㆍ疏》“綸, 如宛轉繩也”, 《說文》“靑絲綬也”, 《內則ㆍ註》“闊薄者, 爲組; 似繩者, 爲紃”. 又按, 《通志》: “綸, 鹿角菜; 組, 海中苔, 今之紫菜也.” 我國有俗...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혼인년령조사표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1917년에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조선인의 친족 상속에 관한 관습을 조사하고 새로운 관습법 정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추진한 혼인연령에 관한 전국적 조사표이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에는 함경남도, 함경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등 4개도에서 조사한 혼인연령표가 남...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韓官照會醫士規則案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한국 관료가 의사규칙에 관하여 보낸 조회문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900.02.
구술자료(1)
- 뱀이 많이 생겨난 이유(낑껑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엄마 흉내를 내라고 했다. 흉내 소리를 듣고 여자가 온 것이라 여긴 뱀이 밖으로 나오자 남자가 칼로 쳐 죽였다. 남편은 뱀의 머리는 대추나무에 걸고, 고기는 국으로 끓여서 아내에게 주었다. 모르고 국을 먹던 여자에게 구관조가 ‘네 남편을 먹고 있다’고 했다. 남편에게국가캄보디아 | 제보자디다넬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5년차] 포유미네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4)
- 高麗史 刑法志 公牒相通式 外官條의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경진, 게재일 : 200741136 윤경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용인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7 高麗史 刑法志 公牒相通式 外官條의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관조시집과 악의 꽃에서 나타난 모순어법의 배경과 여정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희경, 게재일 : 200922238 김희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어불문학회 2009 관조시집과 악의 꽃에서 나타난 모순어법의 배경과 여정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09
- 对沉重现实的清醒观照——评罗伟章的小说《我们的路》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원창칭, 게재일 : 200606880 원창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名作欣赏, Masterpieces Review 2006 对沉重现实的清醒观照——评罗伟章的小说《我们的路》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허윤석의 ≪구관조≫ 연구 -탈주와 열림의 서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주현, 게재일 : 201355982 송주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허윤석의 ≪구관조≫ 연구 -탈주와 열림의 서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유형논문 | 게재일2013
- 『三國史記』 職官志 武官條의 기재방식과 典據資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승우, 게재일 : 201545994 홍승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학회 2015 『三國史記』 職官志 武官條의 기재방식과 典據資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72)
- 日館照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졍부에셔 일공관으로 훈령기를 쟝원경 리용익이가 타국보호에 잇셔 직졉이나 간졉이 궁즁과 졍부무에 관계가된즉 일본 졍부에셔 심이 조치아니니 한졍부에 조회라지라 일공관에셔 등인야 외부로 조회기를 리용익으로 쟝원경을 환임엿시니 기타 긴즁관직은 졍지는...게재일1902년 1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免官照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헌병령부에 구슈얏던 위관등을 작일에 륙군 법원으로 압교말은 임의긔얏거니와 위관등은 엇더케 던지 일병면관은 여야 터인 륙군법률에 죠률면 팔십에지나지 못으로 위션졍쳐분으로 작일에 면관쥬본을 드렷 그 쥬본이 하되면 다시 륙군법률로 팔십에...게재일1907년 8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大官照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갈닌함흥 관찰 신긔션씨 관찰 임시에 뎡평군 죄인 삼명을 징역칠년에 셔고고 무삼쥬션이 잇셧든지 급기집에각기 일에방송지라 평리원에셔 그 건으로 구라심판다더니 징역칠년에 죠률야 검사가 공소야 아즉 션고 되지 안엇스나 엇지될지 알슈업스되 신씨...게재일1906년 8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淸官照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쳥국령가 한셩부로 죠회기를 동잇 쳥국상민 림슌옥이가 본월상슌에 봉젹야 포목이 삼십이필과 동화와 지화 몃쳔량을 견실엿시니 그젹한등을 긔어히 착득야 물건을 츄급케라 엿다더라게재일1903년 6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免官照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온릉령 김동일씨가 입번엿다가 참봉과번을 교쳬터인데 참봉이 입번기젼에 실을 비이고 집으로 도라갓다가 맛참 궁부젹간에 탄로가되야 김령을 면관야 법부로 착슈고 죠률징판 다더라게재일1902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0)
- 명관조;明觀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4289 북한 평남 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3-01 光成 제8호 1934―02―20 157면 1. 제14회 졸업생명부 1934년 (가나다 순) 108명 (현 재학) 명관조;明觀祚 평양부 장별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명관조;明觀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4687 남한 경성 감리교회신학교 1-01 神學世界 제21권 제3호 1936―05―13 85면 1. 감리교회신학교 소식;2) 1936년도 신입생 名祿(無順) 명관조;明觀祚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관조;金寬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7770 북한 평남 평양공립농업학교 교우회회보 창간호 1932―01―31 128면 1. 평양공립농업학교교우회 회원명부;6) 제2학년생 (46명) 김관조;金寬祚 용강군 용강면 방어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관조;全寬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5475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19면 전관조;全寬祚 평남 용강군 龍江面 芳演里 743 1937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관조;全寬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7723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20면 전관조;全寬祚 평남 용강군 龍江面 芳演里 742 1937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근현대 한국지성사(韓國知性史) 대계(大系): 자주적 근대화의 사상과 행동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웅진 | 한국외국어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3)
-
관조 / 觀潮 [생활/민속]
강이나 바다로 거슬러 올라오는 만조(滿潮)를 구경하는 일.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풍속으로 일종의 오락이라 할 수 있다. 관조는 조수의 간만(干滿)의 차를 보는 것인 바 그 기록은 ≪고려사 高麗史≫에 단편적으로 남아 있다. ≪고려사≫ 세가(世家) 권 제14 예종 경자
-
구관조 / 九官鳥 [문학/현대문학]
허윤석(許允碩)이 지은 장편소설. 1부는 1966년 8월부터 8회에 걸쳐 『문학(文學)』에 발표되었고, 2부는 1973년 8월에 『문학사상(文學思想)』에 게재되었다. 1979년 문학과 지성사에서 단행본으로도 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한 작가의 심리세계를 조명한 것이 특색
-
금관조복 / 金冠朝服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에 박해용(朴海容)이 입었던 것으로 전해지는 의복.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5호. 금관조복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국가의 경사·정조·동지·성절 등의 의식에 착용하였던 대례복이다. 소장자에 의하면 이 유물은 조선 말기 승지였던 박해용이 착용하던 유품이라고 하며 금관
-
심동신금관조복 / 沈東臣金冠朝服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 문신 심동신(沈東臣: 1824∼?)이 입었던 당상관용 조복(朝服) 의(衣)·상(裳)과 부속품 등 8점. 심동신 금관조복은 화·말을 제외한 8점으로 양관 1점, 의 1점, 중단 1점, 상 1점, 수 1점, 패옥(佩玉) 1쌍, 서대(犀帶) 1점, 홀 1개이다.
-
적초의 / 赤綃衣 [생활/의생활]
창덕궁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선조 말기 백관의 조복에 속한 의복. 적초의(赤綃衣)는 백관의 예복인 조복(朝服) 일습에 포함된 옷이다. 조복은 경축일, 정월 초하루, 동지, 조칙을 반포할 때 입으며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도 한다. 이 유물은 고종사제복(高宗紗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