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60)
사전(929)
- 관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화살’을 의인화한 것이다. 생성씨(生成氏)가 ‘관씨팔룡(管氏八龍)’이라한, 관자허의 여덟 아들 중 하나이다. 돌이켜 볼 줄 모르는 꿋꿋함이 있으나, 그 때문에 일찍 꺾여 부러진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관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마련하기 위해 지급된 토지가 관전인 것이다. 따라서, 관전은 넓은 의미로는 구분전‧마위전‧공수전(公須田, 또는 衙祿田)을 총칭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토지의 지급 실태를 살펴보면, 고려시대에는 대체로 대로관은 5결(結), 중로관은 4결, 소로관은 3결씩 지급...
- 관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관가에서 차려주는 제사상. 李主簿涑鄭正言必東 令有雅分否 李之子鄭之弟得參蓮 今將歸榮先壟 願得官奠 要弟先容其意 欲生松楸光彩, 민진장(閔鎭長), 6-8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관전(官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관전 관전 官箭 화살 사전(私箭) 정치군사·국방/병기 물품 도구 심승구 [정의] 나라에서 공식적으로 만든 화살. [개설] 화살의 종류는 개인이 사사로이 만든 사전(私...상위어화살 | 관련어사전(私箭)
- 대관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정궁(正宮)인 연경궁(延慶宮) 내에 있었던 전각. [내용] 초기에는 건덕전(乾德殿)이라 부르던 것을 1138년(인종 16)에 이 이름으로 개칭하였다. 왕이 정무를 보던 정전(正殿)이다. 5칸 크기의 건물로 선경전(宣慶殿) ...
단행본(1)
-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7 [한반도 문화예술 개념의 분단사 | 북한대학원대학교]저자 : 구갑우, 김성경, 김성수, 배인교, 이우영, 이지순, 이하나, 전영선, 천현식, ... | 출판사 : 사회평론 | 출판일 : 20210325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총서. 자생적 근대와 번역된 근대가 충돌하던 시점부터 해방공간을 거쳐, 문학예술이 분단의 역사와 어떻게 접속하는지 탐색한다. 남과 북으로 분단된 현 상황이 사실은 개념의 분단으로 매개되고 강화되고 있음을 밝히는 작업으로, 현대사의 ’잃어버린...
고서·고문서(1,705)
- 寬奠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31권, 선조 25년 10월 7일 계사 8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25년 10월 7일 계사(1592) 1592 寬奠 海島 江華 喬桐 宣沙浦 豊川 椒島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寬奠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 6월 11일 기해 7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25년 6월 11일 기해(1592) 1592 寬奠 義州 寬奠堡 義順館 倭賊 義州 平壤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寬奠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 6월 14일 임인 7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25년 6월 14일 임인(1592) 1592 寬奠 寬奠堡 寬奠 義順館 同兩院 義州 외교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寬奠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 6월 26일 갑인 7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25년 6월 26일 갑인(1592) 1592 寬奠 寬奠堡 義州 외교 聞天朝見本國內附咨,將處本國於寬奠堡空廨,上...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寬奠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49권, 선조 27년 3월 30일 무신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27년 3월 30일 무신(1594) 1594 寬奠 倭 開城 唐人 東大門 倭 倭 寬奠...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구술자료(1)
- 중국의 이부상서를 배출한 관전리 명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2월 23일(수) | 조사장소순창군 동계면 동심리 526-1번지 오동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이종엽
기초학문(18)
- 프로야구 관중 성향 및 관전행동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 게재일 : 199600730 김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 1996 프로야구 관중 성향 및 관전행동 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1996
- 入關前 만주의 몽골 인식과 지배_pr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노기식, 게재일 : 200510795 노기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5 入關前 만주의 몽골 인식과 지배_pre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9b9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식민지 대만 관전의 대만 거주 일본인 심사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4101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식민지 대만 관전의 대만 거주 일본인 심사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임진왜란시기 벽제관전투 관련 자료와 전적현창에 대한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동철, 게재일 : 200635734 김동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6 임진왜란시기 벽제관전투 관련 자료와 전적현창에 대한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이덕무 문집 『청장관전서』소재(所載) 인물일화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균태, 게재일 : 200829663 김균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이덕무 문집 『청장관전서』소재(所載) 인물일화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159)
- 兩官轉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륙군법원상 엄슈익씨가 군부협판으로 젼임에 군무국장 셩긔씨가 피임고 그에 참장김승규씨가 피임얏다더라게재일1907년 4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法官轉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리원검 윤갑병씨 비셔승으로 젼임고 그 평리원판 리건호씨가 젼임고 그 비셔승리규환씨가 젼임다더라게재일1906년 5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旅舘餞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폐현일본춍리대신 셔원씨일이 작일경부텰도로 귀국 각대신이 즌고려관에 젼왕야 젼별엿다더라게재일1906년 5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文官銓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부에셔 문관임용령을시로젼고문졔을마련엿데 년긔 이십이상으로야 쵸시험에글와 속법으로 시고 에 법학통론과 디지산슐로시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法官銓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법부에셔 법관 젼고는규졍을 반포엿데 각판쇼에 판와 검 좌쟈격이잇쟈로 되 젼고를 경유후에 셔임다데 일은 법관양셩쇼에 만일년이상의 죨업쟈 외국법률학교에셔는 삼년이상의 죨업쟈 이 각판쇼판와 검 일년이상을 계속시무쟈 삼은 법부민형 국쟝...게재일1906년 11월 1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47)
- 리가원의;李家元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217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54면 리가원의;李家元義 강원도 철원읍 관전리 156 제19회 194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양재희;梁在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584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61면 양재희;梁在喜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 제31회 1937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청목정구;靑木政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231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54면 청목정구;靑木政久 강원도 철원읍 관전리 47-3 4년 수료생 194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난시;金蘭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3828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43면 (2) 졸업생일람 김난시;金蘭時 철원읍 관전리 34 고보1회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덕준;金德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1569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100면 김덕준;金德俊 강원도 철원군 철원면 官田里 150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86)
-
관전 / 館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 시대에 역관에 지급된 토지. 조선시대에 들어와 역참으로 개편되면서 역과 같이 대로·중로·소로에 따라 공수전 또는 아록전, 관둔전이 지급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경작 방법은 스스로 경작하는 자경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관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사는 자가 관군이
-
문관전고소 / 文官銓考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판임문관의 임용에 관한 사무를 담당하던 관청. 1905년 2월 26일 '문관전고소규제'가 반포되면서 의정부 내에 설치되었다. 관원으로는 위원장 1인, 위원 5인, 서기 약간인을 두었다. 1905년 4월 24일 의정부령으로 '문관전고소규칙' 및 '문관전고소세
-
청장관전서 / 靑莊館全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덕무의 저술 총서. 33권 71책. 아들 광규가 편집, 이완수가 교정하였다. 권1·2에 영처시고, 권3∼5에 영처문고, 권6∼8에 영처잡고·예기억, 권9∼20에 아정유고(권13·14·17·18은 결본), 권21∼24에 편서잡고, 권25·26에 기년아
-
서대관전보좌후장무일도상 / 書大觀殿黼座後障無逸圖上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김인경(金仁鏡)이 지은 한시. 오언절구로 대관전 보좌 뒤 가리개에 그려진 무일도 위에 씌어졌던 작품이다. 약칭 ‘서보좌후장상(書黼座後障上)’으로도 알려져 있다.‘무일(無逸)’이란 안일에 흐르지 않아야 함을 뜻하며, 이는 임금을 경계한 말이다. 최자(崔滋)
-
부사잉차문후관전진보정부연유북양아문자 / 副使仍差問候官轉進保定府緣由北洋衙門咨 [정치·법제]
자문. 1882년 고종이 이전에 문후관 이재덕(李載德)을 청에 파견하여 대원군의 환국을 위해 노력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자, 연공 부사로 파견된 예조판서 민종묵(閔種默)에게 문후관을 겸임하에 하여 사절로서 일을 마친 뒤 곧장 보정부로 가서 대원군의 건강을 살필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