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음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
사전(18)
- 관음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악가사. [구성 및 형식] 『악학궤범』에는 오언한시(五言漢詩)에 현토(懸吐)한 형태로 수록되어 있으나,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권45에 따르면 이 노래가 「처용가」와 더불어 고려시대부터 전승되어왔다고...
- 관음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곡은 예외없이 쓸는 소리로 부른다. 영산재(靈山齋)와 생전예수재(生前預修齋)에서 불리는데,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나 각배재(各拜齋)에서는「관음찬」대신「쇄수게(灑水偈)」를 홋소리로 부른다. 「관음찬」과 「쇄수게」는 사설은 다르나 관음보살을 찬탄한다는 뜻은 같다.
- 능엄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찬불가요. [구성 및 형식] 『악장가사』에 전한다. 「관음찬」과 같은 형식의 노래로서, 고려가요로 추정된다. 형식은 1연이 4행씩 전 2연으로 되어 있으며, 정형은 아니다. [내용 및 평가] 내용은, 제1...
- 청원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중이다. 남채봉이 여덟 살 때 채봉의 집에 보시를 청하고, 한씨부인이그린 관음화상에 채봉의 관음찬을 써 받는다. 글을 보고 남씨 집안에 전정 곤액을 예언한다. 채봉이 화예와 그의 후실인 교씨부인의 모함을 받고 자결하자, 관음의 지시에 따라 이인을 찾아가 회생단을 얻어...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본사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 궁중무용에서 불려지던 음악. [내용] 『악학궤범』에 의하면「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에서 ‘오방처용(五方處容)’의 춤이 끝날 무렵 여기(女妓)들에 의하여「미타찬(彌陀讚)」 다음, 맨 끝곡인「관음찬(觀音讚)」바로 전...
고서·고문서(1)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荷皇恩, 賀聖明, 澤聖, 六花隊, 曲破, 保太平, 定大業, 鳳來儀, 牙拍, 響鈸, 舞鼓, 鶴舞, 敎坊歌謠, 文德曲, 朝廷樂, 三調, 眞勺, 補製散樂十六首, 新羅八關會, 玉笛, 高麗八關會, 老人星, 昭代散樂, 除夕儺, 黃菊詞, 觀音讚, 陶山九曲歌, 石潭九曲歌, 關西別曲,...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관음찬 / 觀音讚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악가사. 『악학궤범』에는 오언한시(五言漢詩)에 현토(懸吐)한 형태로 수록되어 있으나,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권45에 따르면 이 노래가 「처용가」와 더불어 고려시대부터 전승되어왔다고 한다. 따라서, 원래 한문악장으로 지어진 찬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