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음시식”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불교에서 행하는 관세음보살의 자비에 의지하여 망인(亡人)의 명복을 비는 제사의 한 형태. [내용] 이 의식은 망인을 위하여 재(齋)를 올린 뒤에 행하거나 망인의 제삿날과 명절날에 행한다. 재와 시식은 모두 망인에게 베푸는 의식이지만, 재는...
  • 요집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의식절차인 신중대례작법(神衆大禮作法), ⑨ 모든 신중을 함께 초청하는 의식절차인 신중약례 등이다. 이밖에도 독성(獨聖)ㆍ현왕(現王)ㆍ산신(山神) 등을 의식도량에 초청하는 의식절차도 수록하고 있다. 이어 ()을 비롯한 불교의 각종 제사법의 의식절...
  • 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忌日)에 죽은 사람을 위하여 올리는 불교식 제사이다. ()ㆍ전시식(奠施食)ㆍ구병시식(救病施食)ㆍ화엄시식(華嚴施食) 등의 구분이 있다. 은 선망부모 등의 친족의 제사시에 많이 행하고, 전시식은 일체의 고혼에게 제사시에 행한다. 구병시식...
  • 승가예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 중요한 의식문만 모은 것이다. 내용은 먼저 상주권공(常住勸供)을 비롯하여 각 단의 예불의식을 수록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상용영반(常用靈飯)‧종사영반(宗師靈飯)‧()의 절차를 수록하여 사찰에서 행하는 제사에 대비하였고, 염향식(拈香式)을 수록하여...
  • 다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다. 체재는 국문과 한문‧범어가 함께 섞여 있으며, 진언(眞言)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앞부분에 천수경(千手經)‧사자단작법(使者壇作法)‧제불통청(諸佛通請)‧중단권공(中壇勸供)‧대령(對靈)‧()‧구병시식(救病施食)‧화엄시식(華嚴施食) 등을...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불교]

    불교에서 행하는 관세음보살의 자비에 의지하여 망인(亡人)의 명복을 비는 제사의 한 형태. 이 의식은 망인을 위하여 재(齋)를 올린 뒤에 행하거나 망인의 제삿날과 명절날에 행한다. 재와 시식은 모두 망인에게 베푸는 의식이지만, 재는 망인의 천도를 위하여 불보살(佛菩薩)이

  • 다비문 / 茶毘文 [종교·철학/불교]

    諸佛通請)·중단권공(中壇勸供)·대령(對靈)·()·구병시식(救病施食)·화엄시식(華嚴施食) 등을 싣고, 뒷부분에 다비문을 수록하고 있다. 『다비문』에서는 죽은 이의 신분에 따라서 위패 쓰는 방법을 달리함을 밝히고, 신분을 대종사(大宗師)·염불인(念佛人)·좌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