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역사” 에 대한 검색결과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 고려시대 지방의 관역을 관장하던 외관직. [내용] 국초에 제도순관(諸道巡官)이라 하였으나, 1028년(현종 19) 현종의 휘가 순(詢)이었으므로 같은 음을 피하기 위하여 제도(諸道使)라고 개칭하였다. 고려시대의 참역(站驛...
    이칭별칭제도순관|제도관역사
  • 송원화동사합편강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항로(李恒老)의 주도로 편찬된 고려‧송‧원대의 역사서. [개설] 33권 33책. 목판본. 주자(朱子)의 강목체(綱目體)를 따랐다. 33권 중 원편(原篇)이 29권이고 부편(附篇)이 4권이다. 송시열(宋時烈)의 정...
  • 조선문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3년 안확(安廓)이 쓴 한국사 개설서. [개설]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간행하였다. 조선정치사라고도 한다. 저자는 당초 조선문명사를 『조선민족사고』‧『조선미술사개론』‧『조선학예사』‧『조선문학사』‧『조선정치사』‧『조선경제사』‧『...
  • 조선세가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39년에 서계수(徐繼洙)가 지은 우리나라 역대 왕조의 각 왕실 세가에 관한 책. [개설] 총 8권 1책. 순한문 활자본. 당시 전라남도 나주군 봉황면 각동리에 있던 일성당(日省堂)에서 발행하였다. 서계수가 편차(編次)하고 조선사편찬위원...
  • 조선해관연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5년부터 1893년까지 조선 해관에 관련된 보고와 통계를 담은 보고서. [편찬/발간 경위] 조선이 1876년 일본과 체결한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와 그 부록에는 관세조항이 없었다. 국제조약에 어두웠고 일본과의 전통적 교린(交隣) ...

고서·고문서(19)

  • 《大明律》:“凡一戶全不附籍,有賦役者,家長杖一百,無賦役者,杖八十,附籍當差。○若將他人隱蔽,在戶不報,及相冒合戶附籍,有賦役者,亦杖一百,無賦役者,亦杖八十。若將另居親屬隱蔽,在戶不報,及相冒合戶附籍者,各減二等,所隱之人,竝與同罪。改正立戶,別籍當差,其同宗伯ㆍ叔ㆍ弟ㆍ姪及壻,自來不曾分居者,不在此限。○其見在使辦事者,雖脫戶,止依漏口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隱蔽,在戶不報,及相冒合戶附籍者,各減二等,所隱之人,竝與同罪。改正立戶,別籍當差,其同宗伯ㆍ叔ㆍ弟ㆍ姪及壻,自來不曾分居者,不在此限。○其見在使辦事者,雖脫戶,止依漏口法。”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
    권차명經世遺表 卷十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撫恤安接, 其察訪不完恤, 以致逃散者, 觀察使啓聞科罪。 且私賤逃止本道者, 亦令觀察使推刷, 從本主情願, 以下三道亂臣奴婢相換, 量給諸使。” 從之。 刑曹又啓: “全羅道觀察使宋處寬不奉旨, 擅進乾魚卵, 請上裁施行。” 命勿論。
    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새끼를 얻었기에, 아이를 시켜 벌레를 잡아다가 기르게 했다. 十四日癸酉, 晴。 十四日癸酉, 晴。 ○宿堂護兒。兒頻苦臍痛, 腰筋急亦數發。當午乃甚, 令飮馬通湯。○朝夕下見共食食。家人盡役摘蠶, 自今日不採桑。○二道前伻告高郞金、夫叱石等勿定。許諾。○吉得肖鷂之雛, 令兒取...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 臣前任義州牧使時, 李克均亦欲塞鴨綠岐流處, 導注于狄江, 使黔同島連陸, 以便耕作啓, 令臣與觀察使, 同審便否以啓。 臣其時審其便否, 鴨綠與狄江, 不相接, 地勢亦高, 不可導注合流, 若西江則可以導注矣。 今三浦船軍, 常無緊, 令其人防塞移注似便。 令其道觀察使, 同義州牧使,...
    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後, 招見其帶去軍, 詳問本州之事情, 軍解事, 而言端偶及官吏治否, 金·李守身·許昇治績, 俱極可嘉, 而至於金, 則尤爲卓絶。 其淸白之操, 慈惠之政, 導民化俗之效, 革弊興利之事, 島民至今追思, 至有尸祝之擧云。 金, 以嶺南孤蹤, 無歷官淸顯之事, 而曾任江界·沃川, 皆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덕국령 와이벽씨가 공관 건츅 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덕국령 와이벽씨가 공관 건츅 셕를 용 건으로 한셩부로 죠회고 아공관 건츅에 허급든 젼례를 의지야 우쳔동 셕를 허가라엿더니 부에셔 쥰치 안지라 덕국령가  한셩부로 죠회기를 셕를 쥰허치아니면 공가 년에도 쥰공치 못시니
    게재일1901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1)

  • / 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지방의 관역을 관장하던 외관직. 국초에 제도순관(諸道巡官)이라 하였으나, 1028년(현종 19) 현종의 휘가 순(詢)이었으므로 같은 음을 피하기 위하여 제도라고 개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