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26)
사전(124)
- 관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기잡는 것을 구경하거나 물고기를 보고 즐기는 일. [내용] 오락의 일종으로 고려시대에는 관어를 위한 관어대(觀魚臺)가 있었다. 관어의 유래는 중국의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 은공(隱公) 5년조에 “5년 봄에 은공은 상(裳)에서...
- 觀魚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Q2_D_0005 觀魚 놀이 孤岸淵, 西京大同江 太祖王, 睿宗 勾史, 麗史 D_02_03_01 대동운부군옥 2권 3장 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3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행호관어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의 화가 정선(鄭敾, 1676-1759)의 화첩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에 수록된 그림.정의조선 후기의 화가 정선(鄭敾, 1676-1759)의 화첩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에 수록된 그림.[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aengho gwaneo | MR표기Haengho kwan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觀魚臺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0_D_0060 觀魚臺 지리(기타) 寧海府, 海岸 牧隱 勝覽, 本集 D_03_04_45 대동운부군옥 3권 4장 4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4장 4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觀魚臺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0_D_0156 觀魚臺 지리(기타) 游魚, 可數, 東臨, 大海, 石崖下 賦序 D_10_01_46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4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韓國學硏究論文集(一)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김정배 외...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2.01.분야교육 | 유형단행본당악과 한국 사문학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불교어계 한자어에 대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표현 교수방안 日帝末期韓國文學과 地方主義 關於高句麗始祖朱蒙生母柳花夫
논문(1)
- 최근 중국 통화 정책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關於近年來中國貨幣政策有效性的實證分析 [중한 전략적 동반자 협력관계 시각에서 복합형 한국학 인재 양성 모델 추진방안 | 遼寧大學 (Liaoning University)]저자 : Zhang ShengYu | 게재정보 : 접경지역통일연구
고서·고문서(1,351)
- 任內有關漁業貿易卷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어업무역과 관련한 내용의 문서철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900.11.
- 次(李公輔)觀魚臺韻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次(李公輔)觀魚臺韻 39_121_108.jpg 次(李公輔)觀魚臺韻 小閣孤臨杜若洲, 憑軒照影碧波頭。 非關渭曲無鉤趣, 只玩濠梁得意遊。 釣澤猶煩天子聘, 如棠空使世臣憂。 相忘江海君爲最, 此樂人閒不見儔。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十二月。 禮官於仁聖王后禫祭日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十二月。 禮官於仁聖王后禫祭日 30_189_075.jpg 十二月。 禮官於仁聖王后禫祭日, 定爲受賀之儀。 兩司啓曰: “哭泣行祭, 而遽受賀禮, 吉凶相襲, 非禮也。 請勿受賀。” 上曰: “舊例 例: 대규에는 “禮”.不可改。” 兩司爭之累...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營下判官於上營,宜恪恭盡禮,不可忽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230 牧民心書 卷三 ITKC_MP_0597A_1230_030_0050 營下判官於上營,宜恪恭盡禮,不可忽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권차명牧民心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日軍官於長春新安鎮招撫鬍匪在局外界內騷擾希照日使趕緊撤回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일본 군관(軍官)이 장춘(長春) 신안진(新安鎮)에서 토비를 모집하여 중립 지역 내에서 소요가 발생함에 따라 일본 사신이 조속히 철수시킬 것을 일본 사신에게 희망함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光緒31年01月29日;1905-03-04
기초학문(3)
- 盛清时期城鎭地方鬼神空间的裁决者:以『閱微草堂筆記』中關於城隍神的描述為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71935 한국연구재단 중국사학회 2012 盛清时期城鎭地方鬼神空间的裁决者:以『閱微草堂筆記』中關於城隍神的描述為例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關於「通俗」概念的歷史考察─以1900年代至二十世紀三〇年代韓國為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8591 한국연구재단 政大出版社 2014 關於「通俗」概念的歷史考察─以1900年代至二十世紀三〇年代韓國為例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4
- 日本關於中國天台宗的研究與動向 『維摩経玄疏』と別行本―「三観解釈」と『三観義』の比較考察を中心として―日本關於中國天台宗的研究與動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64259 한국연구재단 宗教文化出版社北京 2009 日本關於中國天台宗的研究與動向 『維摩経玄疏』と別行本―「三観解釈」と『三観義』の比較考察を中心として―日本關於中國天台宗的研究與動向 https://www.krm.or.kr/krmts/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33)
- 社無關於日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공셕조씨가 농상공부 인가로 일신샤를 셜시고 일인과 계약야 말과 되와 를졔조되 회샤젼권을 그일인 뎐즁상태랑씨에게 위임지라 뎐즁씨가 되와 일만오쳔를 졔조야 농상공부에 밧치고 갑을라 고로 농부에셔 루월 상지더니 공셕조씨가 농부에 쳥원야 일신샤를 혁파...게재일1902년 6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光栄皇后陛下朝鮮館御成り (고에이 황후폐하 조선관 오시다)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기사명_원문光栄皇后陛下朝鮮館御成り | 기사명_한글고에이 황후폐하 조선관 오시다 | 부제_원문朝鮮風俗に御注目種々御下問を賜う | 부제_한글조선풍속에 주목 종종 하문 하시어 | 게재일19220525 | 게재판무 | 게재면05 | 게재단3-4
- 출판경찰보 103호 관어국민경제5년계획적지령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03호 관어국민경제5년계획적지령 관어국민경제5년계획적지령(關於國民經濟五年計劃的指令) 미기재 미기재 모스크바 일본_1937년 3월 30일 금지 안녕 중국어 소련, 사회주의, 1...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03호 관어국민경제5년계획적지령 | 출판물명관어국민경제5년계획적지령(關於國民經濟五年計劃的指令)
- 출판경찰보 097호 「대평양직공 비서처관어국민당제국주의습격상해변사처적선언」이라고 모두한 책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097호 「대평양직공 비서처관어국민당제국주의습격상해변사처적선언」이라고 모두한 책자 「대평양직공 비서처관어국민당제국주의습격상해(上海)변사처적선언(大平洋職工秘書處關於國民黨帝國主義襲擊上海辨事處的宣言)」이라고 모두(冒...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97호 「대평양직공 비서처관어국민당제국주의습격상해변사처적선언」이라고 모두한 책자 | 출판물명「대평양직공 비서처관어국민당제국주의습격상해(上海)변사처적선언(大平洋職工秘書處關於國民黨帝國主義襲擊上海辨事處的宣言)」이라고 모두(冒頭)한 책자(冊子)
- 以兵護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쳐에 소위 만인계니 건등계니 는것을 군경량쳥에셔 엄금더니 일젼에 삼 부상임방에셔 건등계를 츌통는 친위 관어담춍 병뎡 십오명을 령솔고 나가셔 보호얏더라게재일1903년 1월 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3)
- 목은 이색선생 생가지 일대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문서의 번역을 통하여 자료를 채취함으로서 무가정과 침향지, 침향정 등 생가지 관련 유적 및 관어대의 위치를 추적, 복원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함이다. 유허비:비각은 약간 퇴락했으나 보존상태가 괜찮은 편인데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쇠로 만든 울타리가 녹슬어 볼품이 없다...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대구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북도
- 고연수 고혜진 등이 당에 귀부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咸宜收其俊才 嗣鳥官於郯子 錄其成效 映龜組於梅鋗 延壽可鴻臚卿 惠眞可司農卿 (冊府元龜 170 帝王部 170 來遠) 【원문】 西戎賢相 寵光秦冊 北夷嗣子 榮珥漢貂 羈以長纓 用表元功之大 掩玆宏網 式昭天覆之博 高麗位頭大兄理大夫後部軍主高延壽大兄前部軍主高惠眞等 幷馬韓酋長 鯷海...대표표제어고연수 고혜진 등이 당에 귀부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5년(乙巳/신라 선덕왕 14 仁平 12/고구려 보장왕 4/백제 의자왕 5/唐 貞觀 19/倭 皇極 4, 大化 1)
- 당 태종이 주필산 전투에서 승리한 후 3일간의 酺祭를 하사하는 조서(破高麗賜酺詔)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事設奇 因機制變 行軍大總管李勣 率總管虢國公張士貴等馬歩軍十四總管 當其西南面 又命趙國公無忌 率馬歩軍二十六總管 馳自東谷 合其來道 抵背扼喉 塞其歸路 朕乃潛師偃旆 登於北山 候彼交鋒 於玆聳轡 若處中天之闕 俯周官於目前 如登太岳之岑 觀魯封於掌內 出其不意 凶徒遂擾 初爲一陣 四拒勣軍 及...대표표제어당 태종이 주필산 전투에서 승리한 후 3일간의 酺祭를 하사하는 조서(破高麗賜酺詔) | 주제분류외교문서
- 대당통사 장건충이 발해국인 최종좌 등의 내항 사유를 심문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八日庚午 先是 大宰府馳驛言 渤海國人崔宗佐 門孫宰等漂着肥後國天草郡 遣大唐通事張建思復問事由 審實情狀 是渤海國入唐之使 去三月着薩擊國逃去之一艦也 仍奉進宗佐等日記 幷所䝴蠟封函子 雜封書 弓劒等 是日 勅討復宗佐等申狀 知是渤海人 亦其表函 牒書 印封 官御等讎校先來入覲 在此間者 符合如一...대표표제어대당통사 장건충이 발해국인 최종좌 등의 내항 사유를 심문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73년(癸巳/신라 경문왕 13/발해 현석 4/唐 咸通 14/日本 貞觀 15)
- 고려가 백제에 편지의 답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淸川之時 直心等四五輩授首 桐藪望旗而潰散 京山銜璧以投降 康州則自南而來 羅府則自西移屬 侵攻若此 收復寧遙 必期泜水營中 雪張耳千般之恨 烏江岸上 成漢王一捷之功 竟息風波 求淸寰海 天之所助 命欲何歸 况承吳越王殿下 德洽包荒 仁深字小 特出綸於丹禁 諭戢難於靑丘 旣奉訓謀 敢不尊奉 若足下祗...대표표제어고려가 백제에 편지의 답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8년(戊子/신라 경순왕 2/후백제 견훤 29/고려 태조 11, 天授 11/後唐 天成 3/日本 延長 6)
연구과제(5)
-
연행록 정본화 및 DB 구축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희목 | 성균관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연행록 정본화 및 DB 구축 (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희목 | 성균관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조융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Ⅱ) - 19세기 연행록 148종을 대상으로 -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신익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Ⅲ) - 17세기 이전 연행록 230종을 대상으로 -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신익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22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6)
-
관어 / 觀魚 [생활/민속]
고기잡는 것을 구경하거나 물고기를 보고 즐기는 일. 오락의 일종으로 고려시대에는 관어를 위한 관어대(觀魚臺)가 있었다. 관어의 유래는 중국의 ≪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 은공(隱公) 5년조에 “5년 봄에 은공은 상(裳)에서 고기잡는 연장을 갖추고 고기잡이를 구경하였다(五
-
관어대소부 / 觀魚臺小賦 [문학/한문학]
고려 말기에 이색(李穡)이 지은 부(賦). 『목은시고(牧隱詩藁)』 권1에 실려 있다. 『동문선(東文選)』 권3에는 ‘관어대부(觀魚臺賦)’로 줄여져 전한다. 「관어대소부」 서(序)에 따르면 관어대는 영해부(寧海府)에 있다. 그곳에 자기의 외가가 있으므로, 작은 부를 지
-
김도현 / 金道鉉 [역사/근대사]
1852(철종 3)-1914. 조선 후기의 의병장. 일제의 침략 의도가 드러나자 의병을 모아 함창·태봉·삼척 등지에서 일본군과 접전하였다. 을사늑약이 체결된 뒤에도 의병을 일으켰으나 결국 영해의 관어대(觀魚臺)에서 투신하였다. 저서로 <벽산선생창의전말>이 있다.
-
호아곡 / 呼兒曲 [문학/고전시가]
역한 한시와 함께 서산채미(西山採薇)·동간관어(東澗觀魚)·남묘궁경(南畝躬耕)·북곽취귀(北郭醉歸) 등으로 그 작품 내용이 밝혀져 있다. 개별 작품의 주제를 살펴보면, 첫째수는 고사리나 캐먹으며 사는 물욕(物慾)을 모르는 작자의 자세를, 둘째 수는 강물에 낚시나 드리우며
-
긍와집 / 肯窩集 [종교·철학/유학]
자연의 풍경을 화폭에 그리듯 묘사하고 있으며, 「관어(觀魚)」·「초부(樵夫)」·「형화(螢火)」 등에서는 전원적인 정취를, 「광가(狂歌)」·「대주(對酒)」에서는 풍류적 감회를 격조 높게 표현하고 있다. 그는 당시(唐詩)의 영향을 많이 받은 듯하며, 「새하곡(塞下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