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습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4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 음악에 관한 행정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예조 밑에 두었던 관아의 하나. 1393년(태조 2)에 설치된 은 1457년(세조 3) 악학(樂學)과 병합될 때까지 60여 년 동안 봉상시(奉常寺)‧전악서(典樂署)‧아악서(雅樂署)‧악학 등 예조 산하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연(內宴), 전악서(典樂署), 아악서(雅樂署), 장악서(掌樂署), 장악원(掌樂院)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고려말~조선초기 배인교 [정의] 고려...
    관련어내연(內宴), 전악서(典樂署), 아악서(雅樂署), 장악서(掌樂署), 장악원(掌樂院)
  • 악학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궁중음악을 관장하기 위하여 예조 아래 두었던 음악기관. [내용] 1457년 (세조 3) 악학과 을 통합하여 세운 것으로, 1466년 장악서(掌樂署)로 흡수될 때까지 10년 동안 존속하였다. 악학과 ...
  • 재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봉상시(奉常寺)와 ()에서 임시로 연주활동을 맡았던 어린 소년. [내용] 원래 이조에 소속되었던 20세 미만의 소년들이었으며, 서반(西班)에 들었던 이들은 모두 양인 출신이었다. 임무는 제례의식 때 등가(...
    이칭별칭무랑(武?)
  • 악서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律調), 악기와 보법(譜法) 등을 그림과 함께 글로 설명하였다. 여러 질을 만들어 대내(大內)‧예조‧봉상시(奉常寺)‧악학(樂學)‧()‧아악서(雅樂署)에 각각 한질씩 수장(收藏)하였다. 『세종실록(世宗實錄)』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음악에 관한 행정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예조 밑에 두었던 관아의 하나. 1393년(태조 2)에 설치된 은 1457년(세조 3) 악학과 병합될 때까지 60여년 동안 봉상시·전악서·아악서·악학 등 예조 산하의 음악기관과 함께 음악에 관한 업무를 나누어

  • 악학 / 樂學 [예술·체육/국악]

    조선 전기 음악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기관. 1406년(태종 6)에 음악이론을 학문적으로 다루기 위해 10학의 하나로 설립된 이후 1457년(세조 3) 과 통합되어 악학도감으로 개칭될 때까지 음악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기능은 음악에 관한 옛 문헌들을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