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서지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대동강
- 신의주공업지구
- 평안도
연구성과물(146)
사전(131)
- 관서지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평안남북도와 황해도 북부 지역의 별칭. [내용] 동쪽으로는 낭림산맥, 남쪽으로는 대동강과 언진산맥(彦眞山脈)이 경계를 이룬다. ‘관서’ 는 고려 때 관내도(關內道)라고 불리던 서울‧경기 지방의 서쪽 지역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고 ...
- 홍임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그러나 늦게 깨달은 바 있어 당대의 명유 김원행(金元行)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에 침잠하였다. 실천을 위주로 하는 학문에 힘쓰며 여러 후진들을 훈도하였다. 선우협(鮮于浹) 이후로 학문이 크게 떨치지 못하던 관서지방에서 학풍을 진작시킨 공로가 컸다. ...이칭별칭 경윤(景尹)| 경직재(敬直齋)
- 당산의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른 이름이다. 본문의 내용으로 보아, 삼남지방과 관북지방의 의병은 정부의 포장(褒章)과 사우(祠宇)의 건립 등 관심을 많이 끌었던 데 비하여, 오직 관서지방만은 별로 알려진 바가 없어서 이 책을 지었던 것 같다. 내용은 기(記)ㆍ장계(狀啓)ㆍ비(碑)의 세 부분...이칭별칭관서의열록(關西義烈錄)
- 서한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다. 조수가 가장 많이 빠졌을 때에는 연안을 따라 간석지 또는 갯벌이 넓게 나타난다. 만내로는 청천강‧대동강이 흘러들며 이들 하천의 하구 부근에는 박천평야‧안주평야‧평양평야 등 광대한 평야가 펼쳐져 관서지방의 곡창지대를 이룬다. 서한만의 남부연안지역은 연강수량...
- 이희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수품을 요구하자 자신이 선봉장이 되어 청을 칠 계획을 구상한 소를 올리는 한편, 청의 재침략을 염려하여 방어태세 완비와 관서지방 변경지역의 주민 확보 및 안정을 위한 시책을 건의하는 소를 여러 차례 올렸다. 특히, 안주와 의주를 연결하는 최북단 국경방위선을 형...이칭별칭 형재(馨哉)| 대명거사(大明居士)
고서·고문서(10)
- 記録材料・宮内省省報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1932년 11월 23일부터 29일까지 李鍝公은 關西地方과 大分縣을 여행하였다. 장신 2015. 12. 04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2. 04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記録材料・宮内省省報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1926년 3월 1일부터 13일까지 왕세자 李垠(영친왕)과 왕세자비 方子女王(이방자)는 조선을 다녀왔고, 다시 28일부터 關西地方으로 여행을 떠났다. 장신 2015. 12. 01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2. 01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記録材料・宮内省省報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왕세자 李垠(영친왕)과 왕세자비 方子女王(이방자)은 4월 1일 關西地方 여행에서 돌아와서 6일 조선 京城으로 떠났다. 장신 2015. 12. 01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2. 01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記録材料・宮内省省報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李王垠(영친왕)은 1933년 11월 5일부터 11일까지 關西地方으로 출장을 떠났다. 11월 6일 李鍝公은 栃木縣, 茨城縣 출장에서 돌아와서 25일에 조선 경성으로 여행을 떠났다. 장신 2015. 12. 04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2. 04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한국 황태자전하 제국제마 주식회사 삿포로 공장 행계 기념 촬영엽서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년 12월 25일까지 일본 유학을 했으며 그 사이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는 황태자의 여름 방학을 이용하여 일본 국내 순계를 계획했다. 순계는 2차례로 나누어 실시되었는데, 1908년 8월 8일부터 21일까지는 관서지방을, 다음해 8월 1일부터 23일까지는 도호쿠,...자료명한국 황태자전하 제국제마 주식회사 삿포로 공장 행계 기념 촬영엽서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5)
- 민세안재홍전집 : 郭山講演盛況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359 1927 12 1 1 1 關西地方 郭山講演盛況 신문 동아일보 4면10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郭山, 講演會 A19271201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龍岩浦 講演會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363 1927 12 3 1 1 關西地方 龍岩浦 講演會 신문 동아일보 4면12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龍岩浦, 講演會 A19271203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출판경찰보 071호 반전신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本大阪工人致反戰大會信)”이라는 제목의 일본 전노통일전국회의(全勞統一全國會議) 관서지방협의회(關西地方協議會) 대판항남지구(大阪港南地區)가 상해 반전대회로 보낸 반전선언의 게재를 중심으로 금지. 극동반전대회 제군들에게 보냄 친애하는 남녀동지 제군들, 전 세계인류평화...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71호 반전신문 | 출판물명반전신문(反戰新聞) 1933년 9월 22일
- 투사신문_1950_0526_0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공장 및 관서지방의 각 학교들에서 5월 30일부터 동맹휴학을 단행할 것과 또한 6월 3일에는 전국적으로 동맹휴학을 전개할 것을 결정하였다. 그런데 동 련맹은 25만명의 학생을 망라하고 있다.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26_04_02 | 책임주필한효
- 조선급만주_1934_32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목차 광고2 (화보) 九月二十一日關西地方を荒した暴風雨の跡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주제어사전(24)
-
관서지방 / 關西地方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와 평안북도의 별칭. 주요 도시로는 신의주·평양·남포·사리원·송림(松林)·마동(馬洞) 등이 있다. 2009년 기준으로 평안남도에는 6개 시 19개군에 31개 노동자구가 있으며, 평안북도에는 3개 시 22개 군에 31개 노동자구가 설치되어 있고, 자강도에는 3개
-
관서팔경 / 關西八景 [지리/자연지리]
관서지방, 곧 평안남북도에 있는 여덟 곳의 명승지. 강계의 인풍루(仁風樓), 의주의 통군정(統軍亭), 선천의 동림폭(東林瀑), 안주의 백상루(百祥樓), 평양의 연광정(練光亭), 성천의 강선루(降仙樓), 만포의 세검정(洗劍亭), 영변의 약산동대(藥山東臺) 등을 가리킨다
-
가릉령 / 加陵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후창군 칠평면 대흥동과 함경남도 장진군 군내면 삼포리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1,440m. 예로부터 아득령(牙得嶺)·검산령(劍山嶺)·거차령(巨次嶺)·기린령(麒麟嶺) 및 마식령(馬息嶺) 등과 함께 낭림산맥을 넘어 관북지방과 관서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의
-
검산령 / 劍山嶺 [지리/자연지리]
드는 김진천(金津川) 상류 계곡으로 통한다. 이 고개는 낭림산맥의 험준한 지형으로 차단된 관서지방과 관북지방의 교통로로, 예로부터 국도가 개통되어 동해안의 함흥과 흥남, 평안남도의 영원·덕천·평양 등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
관북지방 / 關北地方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와 함경북도를 아우르는 별칭. 문화적 특징으로 낭림산맥이 관북과 관서지방의 구분 경계선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함경도와 평안도의 방언 구분과 관북형·관서형의 가옥 구조 구분의 경계가 되고 있다. 따라서, 낭림산맥 동쪽의 관북 지방은 사회적·문화적 공동체를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