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서별곡”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西)과 출관사(出關詞)」(고경식, 『국어국문학』36, 1967) 「고이(西攷異)」(김동욱, 『국어국문학』30, 1965) 「연구(西硏究)」(이상보, 『국어국문학』26, 19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55년 백광홍(白光弘, 1522-1556)이 지은 기행가사.
    정의1555년 백광홍(白光弘, 1522-1556)이 지은 기행가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wanseo byeolgok | MR표기Kwansŏ pyŏlg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백광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辭)인 「(西)」을 지었다. 이듬해 1556년(명종 11) 가을에 병이 들어 벼슬을 내놓고, 귀성하는 도중 음력 8월 전라북도 부안에서 35세의 나이로 객사하였다. 그는 천생자질이 뛰어나고, 뜻이 높아 효성과 우애가 극진하며 행실이 올바른 성품이었다...
    이칭별칭 대유(大裕)| 기봉(岐峯)
  • 기성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 이 작품은 「향산별곡(香山別曲)」과 함께 ‘’으로 일컬어진다. 이주홍(李周洪)에 의해 발굴되고, 『국어국문학』 제13호(1955)에 소개되었다. 형식이 정연한 사대부가사로서, 단군조선‧기자조선‧고구려 때의 도읍지인 고도 평양의 역사적 배경과 대동...
  • 기봉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칠언절구‧칠언사운‧칠언고시와 시산잡영(詩山雜詠)‧(西), 권5는 부록으로 관서증별시(關西贈別詩)‧만사‧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는 「부귀재천(富貴在天)」 등 8편으로 모두 명문이다. 특히 「봉래산사(蓬萊山辭)」는 금강산의 여름철 절경을 읊은 것으로...

고서·고문서(4)

  • 西 九十二句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3849 잡가 잡가 13060 西 九十二句 [5] 關西 名勝地예 王命으로 보내실 行裝을 닷「in」리니 칼 나 이로다 迎恩門 내라 대오개 너머가니 歸心이 야긔니 故鄕을 각랴 迫曙驛 구버 보고 碧蹄에 몰를 라 臨津에 을
    구분잡가
  • 03844 잡가 잡가 13060 잡가 목차 雇工歌 五十二句 荅歌 四十二句 指路謌 一百五十四句 關東別曲 一百四十九句 西 九十二句 星山別曲 八山十六句 俛仰𠅘歌 七十九句 牧童歌 六十九句 答歌 七十句 樂貧歌 五十四句 歸田歌 三十三句 ...
    구분잡가
  • 時受玦天涯遠隔君親實無以寓懷乃於澤畔行吟之暇聊取三篇正訛繕寫時一諷誦其於排遣不爲無助蓋亦僭擬於朱夫子楚辭集註之遺意云爾庚午元月上澣□□□人李選書于車城之幽蘭軒 李芝峯睟光賞論東方歌曲曰退溪歌南冥歌□□樞純俛仰亭歌白評事光弘西鄭松江澈關東別曲思美人曲續美人曲將進酒詞{ }歌詞雜以方言故不能中朝樂...
    구분잡가 | 편저자송계연월옹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荷皇恩, 賀聖明, 澤聖, 六花隊, 曲破, 保太平, 定大業, 鳳來儀, 牙拍, 響鈸, 舞鼓, 鶴舞, 敎坊歌謠, 文德曲, 朝廷樂, 三調, 眞勺, 補製散樂十六首, 新羅八關會, 玉笛, 高麗八關會, 老人星, 昭代散樂, 除夕儺, 黃菊詞, 觀音讚, 陶山九曲歌, 石潭九曲歌, 西,...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7)

  • / 西 [문학/고전시가]

    1555년(명종 10)백광홍(白光弘)이 지은 기행가사. 지은이가 평안도 평사(評事)가 되었을 때 그곳의 자연풍물을 두루 돌아다녀 보고, 그 아름다움을 노래한 작품이다. 우리나라 기행가사의 효시로, 작자의 문집 『기봉집(岐峰集)』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의 영향을 받아 2

  • 잡가 / 雜歌 [언론·출판]

    편자미상. 필사본. <잡가>는 가사집이다. 책의 구성은 1책 56장 이다. 목차는 고공가, 답가, 지로가, 관동별곡, , 성산별곡, 면앙정가, 목동가, 답가, 낙빈가, 귀전가, 어부사, 장진주사, 권주가, 맹상군가, 은사가, 처사가, 용저가, 호남곡, 팔사기,

  • 기봉집 / 岐峰集 [문학/한문학]

    언사운·칠언고시와 시산잡영(詩山雜詠)·(西), 권5는 부록으로 관서증별시(關西贈別詩)·만사·묘갈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는 「부귀재천(富貴在天)」 등 8편으로 모두 명문이다. 특히 「봉래산사(蓬萊山辭)」는 금강산의 여름철 절경을 읊은 것으로 대표적인 작

  • 출새곡 / 出塞曲 [문학/고전시가]

    정철(鄭澈)의 「관동별곡(關東別曲)」, 백광홍(白光弘)의 「(西)」과 같은 가사를 지어오라는 권고를 받고, 서울에서 경성까지 가는 도중의 지리·풍물과 그곳 생활의 애환을 읊은 가사로, 제작 연대는 부임하던 이듬해인 1617년일 가능성이 가장 많으며, 그곳

  • 가사유취 / 歌詞類聚 [문학/고전시가]

    미인곡〉의 異本), (落張), (11) 〈(西)〉(岐峰) 등이다. 이어 ‘退溪曰’이라 하여 퇴계의 〈농암어부사발문(聾巖漁父詞跋文)〉이 수록되고, 맨 마지막 장에 「생황보(笙簧譜)」라 하여 생황 타는 법과 〈中兒葉〉·〈時調〉·〈勸酒歌〉에 대한 생황의 구음(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