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서문기”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6)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계문권(稅契文券) 백문문기(白文文記), 전계문기(傳繼文記) 정치행정/문서·행정용어 개념용어 조선 조선 문숙자 [정의] 관의 공증을 거친 문기(文記). [개설...
    동의어세계문권(稅契文券) | 관련어백문문기(白文文記), 전계문기(傳繼文記)
  • 백문(白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백문 백문 白文 경관문기(經官文記), 관서(官署), () 정치행정/문서·행정용어 개념용어 대한민국 문숙자 [정의] 관인(官印)이 없는 문서라는 말로서 관을 경유하지 않은
    관련어경관문기(經官文記), 관서(官署), 관서문기(官署文記)
  • 묘직노(墓直奴)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는 규정이 수록되었다. 즉 사대부 가운데 자식이 없는 사람이 노비를 묘직으로 삼아 이를 통해 봉사하고자 하면 ()를 작성하여 원하는 대로 하도록 해 줄 것을 명시한 것이다. 단, 이때 묘직노의 수는 대부(大夫)는 6명, 사(士) 이하는 4명으로 한정하였...
    동의어산직노(山直奴) | 관련어묘직봉사(墓直奉祀), 시사(時祀)
  • 분재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사실 및 동참에 대한 진술서가 첨부되는 것이 다르다. 이와 같이 관의 입안을 받는 분재문기를 ()라고 하고, 관을 거치지 않는 문기를 백문문기(白文文記)라 하였다. 분재문기의 대부분이 백문문기이나 재주와 수급자와의 관계가 혈족 사이가 아닐 수도...
  • 사천조(私賤條)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규정을 수록하였다. 부자(父子) 등 직계 친족과 부와 처첩(妻妾), 형제자매들이 상속을 할 때에는 특별한 형식이 필요 없는 문서인 백문기(白文記)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자들에 대해 상속을 시킬 때에는 ()로 하여야 했다. 는 당사자 외에...
    관련어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형전(刑典), 장례원(掌隸院)

고서·고문서(1)

  • ○二道前乞留方席二座。前夕所置猶在故請之。卽行下所司云。○呂孺伻□…□。○玄培投鄕校, 述賦則明日爲之云。○牧伯來見以慰喪事, 當扶之。但內助病弱云, 須□…□勸云云。以果物來, 饋之。吾請李得荃所犯須貰之。欲借力護喪云云, 則當酌處云云, 乃□□南亭去。○敎足疾。○李得天來見去。○白麟祥來...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관에서 작성하여 서명한 문서. 1406년(태종 4) 6월에 노비상속에서의 활용법을 처음 세웠다. 대소인원의 자식·수양자·시양자에게 허여 또는 증여되는 노비는 모두 소재 관사에 보고토록 하여, 관사에서 그 재주의 본의를 열고한 다음에 문안을 발급하여 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