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상감 측우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관상감측우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로 59.7㎝, 가로 94.5㎝이다. 본래 서울 매동국민학교에 있던 것을 기상청으로 옮겨놓았다. 관상감 측우대 높이 87.6cm. 보물 제843호. 기상청 소장. 측우기를 안정하게 올려놓고 우량 측정을 편하게 하...연계항목관상감측우대(觀象監測雨臺)
- 측우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즉, 관상감 측우대‧대리석 측우대‧선화당 측우대‧통영 측우대‧평양 측우대‧함흥 측우대‧함평 측우대‧강릉 측우대‧경성 측우대이다. 그리고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 2기(공주‧춘천)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 남한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의 측우대는...
- 측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05㎜, 103㎜이고 조립할 때 겹쳐지는 부분이 3㎜이며, 전체의 무게는 6.2㎏이다. 이 밖에 측우대만 확인된 것이 지금까지 8기이므로 1800년대 말기에는 최소한 8기의 측우기가 더 있었던 것이 확실하다. 그러나 관상감 측우기는 국권 상실 무렵에 없어졌고,...
- 측우기(測雨器)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측우기 측우기 測雨器 감영(監營), 서운관(書雲觀), 와기(瓦器), 자기(瓷器), 주척(周尺), 측우대(測雨臺) 문화과학/천문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정성희 강우량 측정 금속(철, 구리) ...관련어감영(監營), 서운관(書雲觀), 와기(瓦器), 자기(瓷器), 주척(周尺), 측우대(測雨臺)
- 천문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를 답사하여 창덕궁 금호문(金虎門) 밖에 다시 옛 관상감을 복구시켰다. 여기에는 청사(廳事)‧관천대(觀天臺)‧흠경각(欽敬閣)‧일구대(日晷臺)‧측우대(測雨臺)‧천문직려(天文直慮)‧삼력청(三曆廳)‧취길청(趣吉廳)‧일과청(日課廳)‧관청(官廳)‧인력소(印曆所)‧인출소(...
주제어사전(1)
-
관상감 측우대 / 觀象監測雨臺 [과학/과학기술]
조선 초기 광화방 관상감에 설치되었던 측우기를 놓았던 대석. 보물 제843호.관상감 측우대는 높이 87.6㎝, 두께 59.7㎝, 너비 94.5㎝의 화강암 석대로서 위쪽 면의 가운데에는 직경 16.5㎝, 깊이 4.7㎝의 구멍이 뚫려 있다. 전상운의 연구에 의해 측우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