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상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4)
사전(434)
- 삼력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별을 관측하는 일을 맡았던 관상감(觀象監) 소속의 관원. [내용] 처음에는 정원이 없었으나 1741년(영조 17) 30명으로 정하고, 다음해 5명을 더하여 35명으로 하였다가 1789년(정조 22) 5명을 감하여 다시 30명으로...
- 별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관상감에 소속된 하급 전문직 관원. [내용] 천문학 별선관이 24인, 지리학 별선관이 6인, 명과학(命課學) 별선관이 4인이었다. 이들의 직임은 명확하지 않으나, 각기 해당분야의 전문지식을 수습중인 예비관원으로 생각된다.
- 관상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太火局)을 두었다가 뒤에 사천대(司天臺)‧사천감(司天監)‧관후서(觀候署)‧서운관(書雲觀) 등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조선시대에는 1425년(세종 7)에 이를 관상감이라 개칭해 예조에 속하게 하였다. 연산군 때에는 사력서(司曆署)로 개칭했다가 중종 때에 다시 관상...
- 관상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천문‧지리‧역수(曆數)‧점산(占算)‧측후(測候)‧각루(刻漏) 등에 관한 일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정의조선시대 천문‧지리‧역수(曆數)‧점산(占算)‧측후(測候)‧각루(刻漏) 등에 관한 일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wansanggam | MR표기Kwansang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관상감(觀象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관상감 관상감 觀象監 서운관(書雲觀), 사력서(司曆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조선 정성희 1446년(세조 12) 1894년(고종 31) 예조(禮曹) [정의] 조선시대에 천문을...관련어서운관(書雲觀), 사력서(司曆署)
단행본(1)
- 한국의 술수과학과 문명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박권수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920‘술수과학(術數科學)’이라는 말은 과연 가능한가? ‘술수과학’이라는 용어는 그 자체로 모순적인 말처럼 들릴 수가 있다. ‘술수’와 관련된 지식들은 통상 비과학적인 것으로만 취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술수의 지식들은 일종의 과학적 지식이면서 동시에 비과학적 지...
고서·고문서(147)
- 觀象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160 觀象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內需司]庄土文績_제14책 : 圖書文績類 201. 前觀象監正鄭壽昌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7980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14책 : 圖書文績類 14-201 201. 前觀象監正鄭壽昌 소지 1 14-197~210 19.5x37.5 한지, 관인, 한성부 당상의 押과 題音 1장, 19.5x37.5cm(가...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40책(1)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景祐宮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42. 觀象監主簿林承業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3898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40책(1)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景祐宮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40(1)-043 42. 觀象監主簿林承業 소지 1 40(1)-037~044 26x38.5 한지, 관인, 일부 탈락 1장,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40책(1)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景祐宮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43. ( )(康熙元?)年-壬寅-四月十一日觀象監主簿林承業前成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3899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40책(1)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景祐宮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40(1)-044 43. ( )(康熙元?)年-壬寅-四月十一日觀象監主簿林承業前成文 토지매매문기 1 40(1)-037~044 46x47...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588 B07358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4年 9月 7日_009 ... , 其代右參贊鄭弘淳除授牌招, 傳授命召。 右參贊代, 前兵判韓光會除授, 亦爲牌招察任。 出傳敎 再進湯劑, 弘淳趨出。 上曰, 兵判之處事善矣。 進湯後出去矣。 上曰, 注書出去, 觀象監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북셔 관상감 사 리화졍이가 리감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북셔 관상감 사 리화졍이가 리감찰 승집에게 밧을돈이 잇 리승집이가 빗시 만어셔 갑흘수업다고 긔사든 화집 여달간반을 삼쳔오량에 졀가여 영 양으로 기기로 리화졍이가 그집에 들어살더이 그젼에 리승집이가 타국 사의게 집문셔를 뎐당거시 잇라고 시비가게재일1898년 12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徽文開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보국 민영휘씨가 본몃십만원을 담야 문의슉을 관상감에 건츅고 학도를다슈히 모집고 만권셔젹을 발간되 활판만쥰비엿다더니 명일에교식을 셜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0)
-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 작하는 전통시대 한국의 천문학 관련 활동을 살피고, 과거로부터 전해진 천문도와 각종 천문 의기를 설명 1주 고대 동아시아인들의 시간과 달력 2주 고려로의 이행과 천문학 3주 조선 전기 천문학 발전과 관상감 4주 17세기 이후 서양천문학의 전래와 영향 5주 하늘을강좌제목하늘의 길을 무다, 천문과 역산 | 강의자박권수 교수, 남경욱 연구관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王陵 擇地의 과정과 風水: 17-18세기를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박권수 | 충북대학교 | 2013 | 국내 | 충북
주제어사전(33)
-
관상감 / 觀象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천문·지리·역수·점산·측후·각루 등에 관한 일을 담당했던 관서. 조선시대에는 1425년(세종 7)에 이를 관상감이라 개칭해 예조에 속하게 하였다. 연산군 때에는 사력서로 개칭했다가 중종 때에 다시 관상감으로 환원하였다.
-
영관상감사 / 領觀象監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상감 소속의 정1품 관직. 관상감의 명목상 책임관이다. 정원은 1인이다. 영의정이 당연직으로 겸임하였다. 관상감은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기까지 서운관으로 불리었고 장관으로 판사 2인을 두었으나, 1466년(세조 12) 관상감으로 개칭하였다. 명목상의 책임
-
관상감 측우대 / 觀象監測雨臺 [과학/과학기술]
조선 초기 광화방 관상감에 설치되었던 측우기를 놓았던 대석. 보물 제843호.관상감 측우대는 높이 87.6㎝, 두께 59.7㎝, 너비 94.5㎝의 화강암 석대로서 위쪽 면의 가운데에는 직경 16.5㎝, 깊이 4.7㎝의 구멍이 뚫려 있다. 전상운의 연구에 의해 측우대로
-
부봉사 / 副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봉상시·내의원 등 여러 관서의 정9품 관직. 봉상시에 1인, 내의원에 2인, 군기시(軍器寺)에 1인, 군자감(軍資監)에 1인, 제용감(濟用監)에 1인, 선공감(繕工監)에 1인, 관상감(觀象監)에 3인, 전의감(典醫監)에 4인, 사역원(司譯院)에 2인, 풍저
-
천문학훈도 / 天文學訓導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천문학 생도의 교육을 담당한 정9품 관직. 1466년(세조 12) 관제경정때 정원 1인으로 설치되어 조선 말기까지 변동없이 존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