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북지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함경도
연구성과물(99)
사전(93)
- 관북지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함경남북도 마천령 북쪽의 별칭. [내용] 동쪽으로는 동해안, 서쪽으로는 남북 방향으로 주향하는 낭림산맥, 남쪽으로는 추가령지구대의 북부 지역, 북쪽으로는 중국과의 국경선이 경계를 이룬다. 한편, 관북의 의미는 오늘의 서울 경기 지방을 고려...
- 북새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812년(순조 12) 9월에 관북지방 암행어사로 임명되어 고산석왕사원산영흥함흥황초령삼수이송령구절령강팔령허항령무산회령종성경홍경원온성종성회령부령북청홍원함흥영흥고원덕원안변석왕사철령왕십리 등지를 돌아 이듬해 3월에 복명하고서...
- 이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용지(容之), 호는 회은(晦隱). 무안대군(撫安大君) 방번(芳蕃)의 후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관북지방에서 33년간이나 돌면...이칭별칭 용지(容之)| 회은(晦隱)
- 안택굿무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망묵이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내용] 1965년 임석재(任晳宰)‧장주근(張籌根)이 함흥에서 월남한 김복순(金福順) 무녀의 보유자료를 채록하여 『관북지방무가』(1965)에 수록하였다. 안택굿은 ‘성주알림’이라고도 하는데 가...이칭별칭성주알림
- 북정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영조 때 이용(李溶)이 지은 관북지방 기행가사. [구성 및 형식] 필사본. 2음보 1구로 헤아려 모두 260구이다. 형식은 주로 3‧4조의 연속이며, 자수율(字數律)의 율격이 잘 다듬어진 수작이다. 한시문집(漢詩文集)인 『적의(適宜...
고서·고문서(6)
- 동유록(東遊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경계에 있는 고개이다. 이 고개의 북쪽은 관북지방, 동쪽은 관동지방이라 했다.에서 흘러오고, 북쪽은 풍악산(楓岳山)에서 흘러와 구불구불 굽이져 기색정 아래에서 만난다. 기색정에 올라 휘파람을 불기도 하다가 시도 읊조리니 상쾌하고 청량한 느낌이 좋았다. 후계(后溪)가 시...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길보(李喆輔)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유산록(遊山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다.”라고 했다. 또 말하기를 “명로가 관북지방으로 난 길을 따라-‘관북지방의 길’은 구룡연을 경유하여 곧장 고성으로 가는 지름길이다.-고성으로 돌아가려 했지만, 얼마 후 길을 잃어 부득이 돌아왔습니다.”라고 하였다. 서로 이끌고 가서 묘길상암(妙吉祥庵)에 들어갔다가,...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명준(李命俊)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유금강소기(遊金剛小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단발령을 넘어 금강산의 유점사(楡岾寺)에 다다를 수 있었다. 북쪽으로는 회양(淮陽)을 지나 철령을 넘어 관북지방으로 갈 수 있었다. 지금의 통구면 지역으로 추정된다.는 금강산으로 들어가는 입구이다. 경계가 넓게 트였지만 사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행궁(行宮) 터와 어정...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신익성(申翊聖)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금강도로기(金剛途路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저녁에 통구창(通溝倉) 통구창(通溝倉) : 통구는 강원도 김화지역의 옛 지명이다. 조선시대는 이곳에 창(倉)이 있어 지역의 산물을 모아 수입천(水入川)을 통하여 북한강을 따라 춘천에 이를 수 있었으며, 북쪽으로는 회양(淮陽)을 지나 철령을 넘어 관북지방으로 갈 수 있었...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하진(李夏鎭)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동유일기(東遊日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수입천(水入川)을 통하여 북한강을 따라 춘천에 이를 수 있었으며, 북쪽으로는 회양(淮陽)을 지나 철령을 넘어 관북지방으로 갈 수 있었다.의 마을-금성(金城) 땅으로 현과 60리 떨어져 있다.-에 이르니, 밤은 2경(二更) 2경(二更) : 밤 9시부터 11시 사이의 시간...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송환기(宋煥箕)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26)
-
관북지방 / 關北地方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와 함경북도를 아우르는 별칭. 문화적 특징으로 낭림산맥이 관북과 관서지방의 구분 경계선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함경도와 평안도의 방언 구분과 관북형·관서형의 가옥 구조 구분의 경계가 되고 있다. 따라서, 낭림산맥 동쪽의 관북 지방은 사회적·문화적 공동체를 형성
-
이용 / 李溶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온성현감, 경성현감, 첨정 등을 역임한 무신. 무안대군(撫安大君)이방번(李芳蕃)의 후손이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관북지방에서 33년간이나 돌면서 영흥·북청·경흥·종성·온성·경성 등지의 현감을 지냈고, 중앙으로 올라와서는 첨정을 지내기도 하였다. 1776년
-
북정가 / 北征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영조 때 이용(李溶)이 지은 관북지방 기행가사. 필사본. 2음보 1구로 헤아려 모두 260구이다. 형식은 주로 3·4조의 연속이며, 자수율(字數律)의 율격이 잘 다듬어진 수작이다. 한시문집(漢詩文集)인 『적의(適宜)』에 실려 전한다. 작자는 일찍이 무부(武夫)
-
마식령 / 馬息嶺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咸鏡南道) 문천군(文川郡) 풍산면과 문천면 사이에 있는 고개. 마식령의 동남쪽에 있는 철령이 서울을 비롯한 영서지방과 관북지방을 연락하는 교통의 요지라고 한다면, 마식령은 관북지방과 평안남도의 동부지역 및 황해도 등의 관서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였다. 특
-
가릉령 / 加陵嶺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후창군 칠평면 대흥동과 함경남도 장진군 군내면 삼포리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1,440m. 예로부터 아득령(牙得嶺)·검산령(劍山嶺)·거차령(巨次嶺)·기린령(麒麟嶺) 및 마식령(馬息嶺) 등과 함께 낭림산맥을 넘어 관북지방과 관서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