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복” 에 대한 검색결과 1,5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18)

사전(602)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김종옥이 서울로 가던 중 만난 하인이다. 김성진의 명으로 서울로 올라가는 길목을 지키고 섰다가 종옥을 만나 ‘아버지의 병이 쾌차하였으니 다시 원주로 돌아가 학문에 힘쓰라.’는 거짓 편지를 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團領)의 포(袍)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의 역사는 삼국시대로 거슬러올라 갈 수 있으며, 관식(冠飾)이나 옷의 색으로 품계를 구별하였다. 그러나 중국식 제도가 습용된 것은 648년(진덕여왕 2) 신라 김춘추(金春秋)가 당나라 태종으로부터 의대(衣帶)를 받...
    연계항목관복(관복)
  • TD_N3_D_0056 복식제도 華制, 改章服, 內出, 珍服, 還國, 華制 唐 金春秋, 太宗, 帝 羅史 D_14_02_91 대동운부군옥 14권 2장 9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2장 9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N3_D_0073 복식제도 羅舊, 草創 開國初 王太祖 輿服志 D_17_04_29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2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809)

  • 三加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ES_00011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 三加 三加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1:12Q 《家禮》“三加”之節, 亦有先後之序. 初加冠巾、深衣, 用古道也; 再加帽子、皁衫, 用常服也; 三加幞頭、襴衫, 用盛...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고목(告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고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고목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人事門9_仙人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仙人 樵夫觀棋而爛柯, 則惟煉氣服液者, 可以長生久視, 而在物不然也. 然古今飛昇者, 自在, 此物何故不卽不朽爛, 而恒爲其用? 若曰上界原有久存之物, 又又: 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人’으로 되어 있다. 誰爲而織造待用? 然則上界亦有衣食之憂, 如人世事耶? 此未可曉. 程...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大祥 一 【ㆍ居處ㆍ飮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810 喪禮四箋 卷五 ITKC_MP_0597A_0810_010_0010 大祥 一 【ㆍ居處ㆍ飮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
    권차명喪禮四箋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3)

  • 유교식 으로 만들어진 허약한 양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야기가 잠시 중단되었다. 점심때가 가까워 오자 자리를 뜨는 이도 있었다. 이렇게 술렁거리는 판에 제보자가 나서며 ?주원장이 조선에 갓 만들어 씌우는 이야기를 하겠다.?고 좌중의 관심을 돌렸다. 우리 민족이 중국과 일본에 유린당한 원인을 중국에서 만들어 보낸 의관...
    조사일시1981-07-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시 목성동 | 제보자김을동
  • 이 한 벌뿐이었던 황희 정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수군 계남면의 박수섭이 김순홍을 소개해 주어 김순홍의 사무실을 방문했다. 일의 취지를 말하자, 김순홍은 어떤 이야기를 듣고 왔는지를 물었다. 박수섭에게 들은 이야기를 대략 전하자 김순홍은 역사는 구전을 기록함으로써 역사화 되는 것 아니냐며 이야기의 운을 떼었다...
    조사일시2009. 5. 4(월) | 조사장소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 176-7번지 장수군 애향교육진흥재단 사무실 | 제보자김순홍
  • 니까 드러누워 계신 거지. 거 오빠 네는 그렇게 해서 따루 떨어져서 약사동까지는 같이 있었는데, 헤어진 거지. 헤어져서 이제 오빠 네는 그렇게 네 식구가 광판리까지 가서 포위가 되니까 어떡해. 을 벗어가지구서 안에다가 바지 저고리고 갈아입고, 그거를 여기다(위를 가
    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8일

기초학문(9)

  • 조선시대 보예(步藝) 망수의(蟒繡衣)의 실질적 운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가영, 게재일 : 2014
    56663 박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복문화학회 2014 조선시대 보예(步藝) 망수의(蟒繡衣)의 실질적 운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발해 건국 초기 에 대한 小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현실, 게재일 : 2007
    20942 전현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복식학회 2007 발해 건국 초기 에 대한 小考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음서의 어린이에 관한 예수말씀을 통해서 본 "어린이 신학"의 과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금희, 게재일 : 2012
    07403 양금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공음서의 어린이에 관한 예수말씀을 통해서 본 "어린이 신학"의 과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폴란드 전통 의상 콘투쉬(kontusz)와 장신구 연구 조형 요소에 나타난 동양 모티브와 조선 시대 과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성은, 게재일 : 2004
    50195 최성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 폴란드 전통 의상 콘투쉬(kontusz)와 장신구 연구 조형 요소에 나타난 동양 모티브와 조선 시대 과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https://www.k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폴란드 전통 의상 콘투쉬(kontusz)와 장신구 연구: 조형 요소에 나타난 동양 모티브와 조선 시대 과의 유사성을 중심으로_pr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성은, 게재일 : 2004
    02948 최성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 폴란드 전통 의상 콘투쉬(kontusz)와 장신구 연구: 조형 요소에 나타난 동양 모티브와 조선 시대 과의 유사성을 중심으로_pre http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80)

  • 司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소관 평리원이하 각판소 법관과 쥬의 북쟝규측을 임의 상 쥬하지라 위션 평리원과 한셩판소 관리의 판관졍북비칠륙십환을지발라고 법부에셔 탁지부로 쳥구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4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監獄式改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쳥소관 감옥셔 셔장과 간슈장은 단지 감옥관인 그복장이 경무쳥 졍관리와 달음이 업슬슈 업다야 감옥셔장과 간슈장의 례복과 장복을 졍로 그복장 식량을 부에셔 장상쥬가 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南署火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오후시경에 남셔 동 졍규찬씨집에셔 실화야 와간이 몰쇼되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請認汚穢塲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북셔 오예물 젹치긔디를 북셔삼쳥동 츈문외공허디로 뎡고 경무김묵씨가탁지로 보고야 그긔디를 인허라 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4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俸給不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상공부에셔 소 고빙 외국인의 봉급지발 돈 이삼십환이 부죡되야 다른관항즁에셔 라이야 지발다고 탁지부에 쳥구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5)

  • 훈령발령(82호)(강원도교육위원회공사감독무규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훈령발령(82호)(강원도교육위원회공사감독무규정) 훈령발령(82호)(강원도교육위원회공사감독무규정)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법령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강원도교육위원회교육감 | 사료철명훈령
  • (UR과 교육 정책) 교육 개방의 현황과 대책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류 잡지 김 1994 1 교육월보 145호 교육부 78...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관복 | 사료철명교육월보
  • 【번역】 겨울 11월에 왕의 동생을 파견하여 당에 들어가 하정하였다. 좌청도솔부원외장사를 제수하고 녹색 ·은으로 장식한 띠를 하사하여 돌려보냈다. (『三國史記』 9 新羅本紀 9 景德王 2年) 【번역】 천보 2년 11월 을사(10)에 신라왕이 동생을 파견하여 와서...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하정사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43년(癸未/신라 경덕왕 2/발해 문왕 7 大興 7/唐 天寶 2/日本 天平 15)
  • 위(魏) 효문제(孝文帝)가 사신을 보내 고(구)려왕을 책봉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수레 깃발의 장식을 주었다. (󰡔三國史記󰡕 19 高句麗本紀 7 文咨明王 1年) 【원문】 魏孝文帝遣使 拜王爲使持節都督遼海諸軍事征東將軍領護東夷中郞將遼東郡開國公高句麗王 賜衣物車旗之飾 (󰡔三國史記󰡕 19 高句麗本紀 7 文咨明王 1年)
    대표표제어위(魏) 효문제(孝文帝)가 사신을 보내 고(구)려왕을 책봉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92년(壬申/신라 소지마립간 14/고구려 문자명왕 1/백제 동성왕 14/齊 永明 10/倭 仁賢 5)
  • 대무예의 동생 대호아(大胡雅)가 내조하여 숙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 발해 발해→당 【번역】 (개원17년) 3월 갑자, 발해말갈왕 대무예의 사신으로 그 동생 대호아(大胡雅)가 내조하였다. 유격장군(游擊將軍)을 제수하고, 자포금대(紫袍金帶) 자포금대(紫袍金帶): 자색 두루마기와 금색 띠를 말한다. 당의 을 사여함으로써 신...
    대표표제어대무예의 동생 대호아(大胡雅)가 내조하여 숙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29년(己巳/신라 성덕왕 28/발해 무왕 仁安 11/唐 玄宗 開元 17/日本 聖武天皇 天平 1)

연구과제(1)

  • 무예도보통지 영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노영구 | 국방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5)

  • / [생활/의생활]

    관원의 정복으로 관에서 지급한 제복. 고려시대에는 제복, 조복, 공복으로 나뉘고, 조선시대에는 더욱 세분화되어 제복, 조복, 공복, 상복, 융복 등으로 구별되었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공복과 상복을 뜻하는 것으로 단령(團領)의 포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 색 /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때 백관의 을 연구하고 제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원래 태종이 건국 초기 의례를 정비하기 위하여 예조 외에 1410년(태종 10)에 의례상정소를 설치하였다. 광범위한 의례상정 중에서도 계급적 신분사회의 표상이 되는 백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1

  • / 百 [생활/의생활]

    관원의 정복. 은 의례의 성격에 따라 나라의 대사·경축일·원단·동지·조칙을 반포할 때나 진표할 때에 착용하는 조복, 왕이 종묘·사직에 제사할 때 착용하는 제복, 공사와 사은의 관계로 왕을 배알할 때 착용하는 공복, 평상 집무시에 착용하는 상복으로 구분된다. 이

  • 암시고 / 庵詩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숭겸의 시 「우음」·「월야」·「범주」등을 수록하여 1709년에 간행한 시집. 1권 1책. 교서관활자본. 서문으로 보아 1709년(숙종 35) 그의 숙부 창흡(昌翕)에 의하여 처음 편집, 간행되었으나, 간기에 의하면 1739년 중간된 것으로 되어 있다.

  • 적의 / 翟衣 [생활/의생활]

    왕비의 법복. 원래 중국에서 후부으로 착용하던 예복이다. 우리 나라에서 왕비가 법복으로 적의를 착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 말기인 1370년(공민왕 19) 명나라 태조후인 효자황후가 중국을 보내온 데서 비롯한다. 조선 말기까지 착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