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동와주”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문인 안축(安軸)의 시집. [내용] 저자가 47세(1328년) 때 강릉도존무사(江陵道存撫使)가 되어 그 이듬해까지 관동 명승지를 살펴보고, 그 감회를 한시로 읊은 기행시들이다. ≪≫가 실린 ≪근재집 謹齋集≫ 함주본 권1...
  • TD_I3_D_1229 시 按廉, 詩文名 江陵 安謹齋 東賢事略 D_14_01_12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1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0778 安軸 인물 當之, 謹齋, 表箋詞命, 贊成事 興州, 元朝 忠宣王, 輔, 輯, 文貞, 宗源 集 D_04_04_08 대동운부군옥 4권 4장 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4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근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말기의 문인 안축(安軸)의 문집.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판본. [편찬/발간 경위] 안축의 사위 정양생(鄭良生)이 1364년(공민왕 13)청주에서 판각한 ≪ ≫를 현손 안숭선(安崇善)이 보유를 붙...
  • 안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를 측량하는 일)에 참여했다. [저서] 경기체가 「관동별곡(關東別曲)」과 「죽계별곡(竹溪別曲)」을 지어 명성이 높았다. 강원도존무사로 있을 때에 나라에 충성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내용을 담아 『()』라는 문집을 남겼다. 또 감춘추관사(監春秋...
    이칭별칭 당지(當之)| 근재(謹齋)| 문정(文貞)

고서·고문서(2)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宗唱和集兩帙「」高𠪕睿宗與郭輿等酬唱所著 動安居士集一帙「」李承休著 中順堂集一帙「」羅興儒著 息影庵集一帙「」僧人所著不知名氏 竹「」集一帙「」懶翁弟子僧宏演與歐陽玄危素遊 兩學士作序而詩最健 一帙「」安景㤗關東按廉時所著 牧隱詩文集〈幾〉 灮의 약자(?)(자필본, 나진옥본...
    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 후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를 유람하면서 지은 시를 가지고 와서 발문을 부탁하기에 고사하다가 짓는다고 하였다. 高麗安謹齋詩板後題 (27) 고려 謹齋 安軸의 詩板 말미에 쓴 글. 안축이 관동을 按察할 때 지은 시편이 『』에 실려 있는데, 歙谷을 읊은 절구 2수를 板刻하여 梅竹軒에 걸어두...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 문인 안축(安軸)의 시집. 저자가 47세(1328년) 때 강릉도존무사(江陵道存撫使)가 되어 그 이듬해까지 관동 명승지를 살펴보고, 그 감회를 한시로 읊은 기행시들이다. ≪≫가 실린 ≪근재집 謹齋集≫ 함주본 권1에 실려있다. 모두 145수로 오언율시

  • 근재집 / 謹齋集 [문학/한문학]

    고려 말기의 문인 안축(安軸)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안축의 사위 정양생(鄭良生)이 1364년(공민왕 13)청주에서 판각한 『 』를 현손 안숭선(安崇善)이 보유를 붙여 1445년(세종 27) 목판으로 중간한 후, 후손 경운(慶運)과 필선(弼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