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관동별곡” 에 대한 검색결과 1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6)

사전(7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병욱, 『사상계』 3권 1호, 1955) 근재집 / ≪근재집≫ 권2에 실린 . 은 1330년(충숙왕 17) 안축이 지은 경기체가로 작자가 44세 때 강원도존무사로 있다가 돌아오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벽부 赤壁賦> 등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후인들은 이 작품을 매우 칭찬했는데, 김만중(金萬重)이 ≪서포만필 西浦漫筆≫에서 ‘동방의 이소(離騷)’라고 찬양한 것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후대의 작품에 영향을 주어 <>을 모방하여 지어진 작품도 많이 나타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330년 안축(安軸, 1287-1348)이 지은 경기체가.
    정의1330년 안축(安軸, 1287-1348)이 지은 경기체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wandong byeolgok | MR표기Kwandong pyŏlg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80년 정철(鄭澈, 1536-1593)이 지은 가사.
    정의1580년 정철(鄭澈, 1536-1593)이 지은 가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wandong byeolgok | MR표기Kwandong pyŏlg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재영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 내용은 「매호별곡(梅湖別曲)」‧「자도사(自悼詞)」‧「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출새곡(出塞曲)」‧「속서(續序)」‧「출새곡서(出塞曲序)」의 차례로 가사 4편과 그 중 2편에 대한 서문이 수록되어 있다. 국문학사상 귀중한 자료의 하나로서, 당...

고서·고문서(20)

  • 04414 잡가 가집 16002 1934년 이후 이왕직 아악부 필사본 [2] 江湖에 病이 깁퍼 竹林에 누엇드니 關東 八百里에 方面을 맛디시니 어와 聖恩이야 가지록 罔極다 延秋門 드리다라 慶會南門 라보며 下直고 믈너나니 玉節이...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 아악부
  • 03628 잡가 고금가곡 13027 1764 송계연월옹 [4] { }드러 □林의 누엇더니 關東(관동) 八百里(팔니)을 方面(방면)으로 맛져시니 어와 聖㤙(□은)이야 가지록 罔極(망극)다 { }라 慶會南门(□회□문) 라보고 ...
    구분잡가 | 편저자송계연월옹
  • 03672 잡가 청구영언 육당본 13031 1852 [14] 江湖의 病이 깁퍼 竹林의 누엇던니 關東八百里을 方面으로 맛지시니 어와 聖恩이아 가지록 罔極하다 延秋門 드리다라 慶會南門 바라보며 下直고 물너나니 玉節이 압희 셧다 平丘역 말 가...
    구분잡가
  • 03698 잡가 槿花樂府 全 13036 〈p〉心板刻改訂〈/p〉 [6] 江湖의 病이 들어「c깁퍼」 竹林의 누엇더니 關東八白里에 方面으로「c을」 맛기시니 어와 聖恩이여 가지록 罔極다 연쥬(延秋)門 드리라 慶會南門 라보「c며] 下直고...
    구분잡가
  •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4361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295] 江湖에 病이 드러 竹林에 누엇더니 關東 八百里을 方面으로 맛지시니 어와 聖恩이야 가지록 罔極다 延秋門 드리다라 慶會南門 바라보고 下直고 물...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기초학문(2)

  • 〉의 형상화와 鄭澈의 신선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성호경, 게재일 : 2010
    31095 성호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회 2010 〈〉의 형상화와 鄭澈의 신선의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고전 제재의 교과서 수용 시각 검토 (1) - 〈홍길동전〉과 〈〉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희정, 게재일 : 2005
    04152 조희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5 고전 제재의 교과서 수용 시각 검토 (1) - 〈홍길동전〉과 〈〉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24)

  • / [문학/고전시가]

    1330년(충숙왕 17)안축(安軸)이 지은 경기체가. 전체 9장으로, 1장은 작품의 서사(序詞)로서 위풍당당한 순찰(巡察)의 정경을, 2장은 학성(鶴城)을, 3장은 총석정(叢石亭)을, 4장은 삼일포(三日浦)를, 5장은 영랑호(永郎湖)를, 6장은 양양(襄陽)의 풍경을,

  • 관동무 / 關東舞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헌종 때 정철(鄭澈)의 「 」을 주제로 하여 만든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정재는 조선시대 대궐 안에서 잔치가 있을 때 공연하던 춤과 노래를 말한다. 「」은 정철이 1580년(선조 13) 강원도관찰사로 부임할 때 금강산과 동해안의 수

  • 관동속별곡 / 關東續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210구이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조를 이루고 2·3조, 2·4조, 4·4조 등도 보인다. 『이재영언(頤齋詠言)』에 전편이 서(序)와 함께 전하며, 서에는 ‘속(續)’이라고 되어

  • 경포도립공원 / 鏡浦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저동·강문동·초당동에 걸쳐 있는 공원. 경포해수욕장은 약 6㎞에 이르는 백사장이 송림과 어우러져 도립공원의 백미(白眉)를 이루며, 이 밖에도 안목·송정·사천·연곡 등의 해수욕장이 가까이에 있다. 강원도 관찰사를 지냈던 정철(鄭徹)의 「」 전문이

  • 관동팔경 / 關東八景 [지리/자연지리]

    월송정 대신 흡곡의 시중대(侍中臺)를 넣기도 한다. 고려 말의 문인 안축(安軸)은 경기체가인 「」에서 총석정·삼일포·낙산사 등의 경치를 읊었고, 조선 선조 때의 문인이자 시인인 정철(鄭澈)은 가사인 「」에서 금강산일대의 산수미와 더불어 관동팔경의 경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