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관각당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6)
- 관각당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홍문관‧예문관‧규장각 소속의 당상관. [내용] 홍문관의 대제학‧제학‧부제학, 예문관의 대제학‧제학‧직제학, 규장각의 제학‧직제학을 말한다. 이 가운데 홍문관부제학 외에는 모두 다른 관직으로써 겸직시켰다. 홍문관‧예문관은 보통 한...
- 옥당선생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적으로 본관록(本館錄)을 만들고, 다시 이를 바탕으로 의정부대신ㆍ이조당상ㆍ관각당상(館閣堂上)들이 모여 권점으로 선발하여 도당록(都堂錄)을 만드는 두 절차를 거쳤다. 이 책의 작성경위를 전하는 서문은 없고, 다만 제2책 첫줄에 1624년(인조 2) 이후만을 수정한...
- 어압(御押)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立)’ 자, 숙종은 ‘수(守)’ 자, 영조는 ‘통(通)’ 자, 사도세자는 ‘달(達)’ 자로 어압을 만들었다. 실물 자료로 태조·세조·성종·현종·숙종·영조·사도세자·정조·고종·순종의 어압이 전해지고 있다. [용례] 許積等與政府堂上六曹參判以上館閣堂上 相議御押 守容宣...상위어국새(國璽) | 동의어어서(御署), 어함(御銜) | 관련어서명(署名), 수결(手決), 압(押), 압인(押印), 어보(御寶), 착명(着名), 착서(着署), 착압(着押), 화압(花押)
- 대사성(大司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를 대상으로 임용하여 사유록(師儒錄)을 작성하는데, 사유록은 의정부와 이조, 관각당상(館閣堂上) 등이 모여 의논해서 사유에 적합한 자를 선정하여 작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유록은 당시 학문이 뛰어나고 행실이 모범이 될 만한 자들의 명부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 등재...상위어성균관(成均館) | 동의어반장(泮長), 사장(師長) | 관련어가대사성(假大司成), 겸대사성(兼大司成), 사유록(師儒錄)
- 소시(召試)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직 사관이 자천한 대상자를 전임 사관이 모여 권점(圈點)하고, 이를 대신이나 관각당상(館閣堂上)이 가부를 논하는 것이었다. 분향은 회천 이후 사관 후보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것을 말하였다. 이러한 사관의 자천제는 붕당 형성 이후 자신의 붕당 구성원을 중심으로 추...상위어과거(科擧) | 하위어추소시(追召試) | 관련어예문관(藝文館), 회권(會圈), 사관(史官)
고서·고문서(3)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敎文, 辭不達意, 而更命貴榮, 率館閣諸臣改撰故事, 論代撰事體之不當。 藥房入診時, 閔黯請令與大臣及館閣堂上議撰, 錫冑曰: “敎文措辭, 若一如云云之語, 則是與當初所謂告廟一也。 何必與館閣堂上議撰乎? 只以憑藉宗統之說, 爲此逆亂爲言, 不可以議禮諸臣, 盡歸參謀之地也。” 敎文撰進,...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1692 B01169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52年 3月 19日_034 ? 上命書傳敎曰, 旣已廣詢, 僉議循同, 今日大臣館閣堂上應參諸臣, 一倂命招, 議孝章廟謚號。 上曰, 吏批催促。 承命出傳, 命善進前。 浩修讀奏大臣政望, 王妃父母封爵啓辭。 命書批答, 又命...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988 B00998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52年 3月 19日_034 ? 上命書傳敎曰, 旣已廣詢, 僉議循同, 今日大臣館閣堂上應參諸臣, 一倂命招, 議孝章廟謚號。 上曰, 吏批催促。 承命出傳, 命善進前。 浩修讀奏大臣政望, 王妃父母封爵啓辭。 命書批答, 又命書...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議號進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쟝례원에셔 비궁시호뎐호원호의뎡하데시원임대신 졍부당샹 부부협판이상 관각당상 봉샹도졔 졔죠가 회의에진참하엿더라게재일1904년 11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掌禮院奏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음력칠월 쵸일 황뎨 상호의뎡시에 원임의졍 각대신 궁부대신 협판각셔긔관쟝 각부차관과 관각당상 쟝례원 당상이 모다 회동의뎡 으로 쟝례원에셔 쥬본을 들여하되얏더라게재일1907년 8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1)
-
관각당상 / 館閣堂上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홍문관·예문관·규장각 소속의 당상관. 홍문관의 대제학·제학·부제학, 예문관의 대제학·제학·직제학, 규장각의 제학·직제학을 말한다. 홍문관·예문관은 보통 한 사람이 겸직하여 양관대제학이라 칭하였으며, 예문관의 직제학은 도승지가 당연직으로 겸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