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곽재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0)
사전(309)
- 곽재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황해감사(黃海監司) 곽월(郭越)의 아들이다. 자는계수(季綏),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문무(文武)를 겸비하였다. 아버지 월이 의주목사로 있을때 3년 동안 모시면서 한 번도 여색을 가까이 하지 않는다. 아버지를 따라 중국에서 관상쟁이에게 천하에 이름이 가득할 것이라 듣...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곽재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경상도에서 의병을 일으킨 명장으로, 전장에 나갈 때 붉은 옷을입어 적군이 홍의장군이라 부른다. 적군이 전라도로 넘어가려 할 때 부하들에게 붉은 옷을입혀 적군을 혼란케 하여 대승을 거둔다. 그러나 적군 십여 만 명이 전주를 공격하매 수적열세로 패하고 만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곽재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영남의 의병장으로, 황진과 함께 상주에서 왜적과 수차례 싸워승리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곽재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조선의 장수이다. 경상도 합천에서 일본 군사를 깨뜨리고 명나라 군사와 협력해 크게 승전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곽재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선조 25년 9월 13일에 왜병이 내침하자 군사 2만 명을 거느려 조령관을 지킨다. 평수길과 접전하기에 이르러서는 세가 불리하자 하산화왕산에 올라 싸울 채비를 하자 왜장 북지가 영취산에게서 도착하였다. 비장 안택을 시켜 붉은 옷을 입고 산봉우리들에 올라가 기다리고 있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41)
- 망우선생문집(忘憂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관음사(觀音寺)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650 B026650 관음사 觀音寺 문화 大東地誌 권4 경상도 昌寧 山水 火王山東四里山形高峻中有九泉三池壬辰倭亂郭再祐拒倭于此○觀音寺玉泉寺文房山西北三十里孝子庵山南二十五里合山西北二十里琵瑟山北三十里大邱玄風界○蓮華寺龍興寺楡南山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使, 郭再祐爲安東府使, 洪瑞鳳【尊崇鄭澈, 以得美官。】爲星州牧使, 林得義爲忠淸虞候, 辛景行爲長興府使, 鄭大海爲咸鏡北道評事, 奇汝獻爲南海縣令。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두모포(豆毛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8160 B078160 두모포 豆毛浦 군사교통 慶尙道邑誌 延日郡邑誌 延日郡 人物 ... 銘(本朝人登第官至參議) 安宙(登第官至宻陽府使) 姜徳佑(事母至孝偶失火冒入火中救母而自燒死事 聞㫌閭) 新增金見龍(壬辰倭亂與金宇净金宇灝金元龍金宇潔一門五從傾財聚衆倡義討賊與郭再佑權應銖㑹盟大...출처전거慶尙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3719 B033719 남산 南山 산악 大東地誌 권4 경상도 昌寧 山水 火王山東四里山形高峻中有九泉三池壬辰倭亂郭再祐拒倭于此○觀音寺玉泉寺文房山西北三十里孝子庵山南二十五里合山西北二十里琵瑟山北三十里大邱玄風界○蓮華寺龍興寺楡南山北十里貫珠山火王山東南於山昌樂面麥山西十五里牛項山西四十...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4)
- 곽재우 일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1-07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남경
- 곽재우 홍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1-1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제보자공병덕
- 곽재우와 말무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1-03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지정면 | 제보자김원석
- 곽재우(郭再祐)장군 일화 (1)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6]에 이어서 제보자가 정암(鼎岩) 솥바위에 대해서 설명하다가 그곳이 곽재우 장군의 전승지이므로 성역화해야 한다고 강조해서 그곳 전투의 일화가 없는냐고 유도하여 이 설화를 들었다.*조사일시1982-01-07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허백영
- 곽재우(郭再祐)장군 일화 (2)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7]뒤에 허백영씨가 ‘명경대와 행정 은행나무의 유래’를 설명하고, 제보자가 ‘낮 퇴계 밤 퇴계’를 구술하고, 이전 기록에 있을지도 모른다고 하며 서두를 꺼내어서 조사자가 기록에 없다고 유도하여 들었다.*조사일시1982-01-07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남경
신문·잡지(5)
- 민세안재홍전집 : 哭譜(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106 1925 8 22 9 2 民世學人 安在鴻 哭譜(二) 신문 조선일보 1면3단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朴堤上, 郭再祐, 魯山君, 鄭蘊, 階伯 A19250822조선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은하수_2001_19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김양호 65 바다건너 구름나라 (2) 리상각 66 웃음마당 73 망우당 곽재우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1
- 신천지_1948_03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선어의 받침법칙 이희승 140 곽재우 평전 김종렬 146 한아(韓俄) 교섭 잡화 홍이섭 15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8
- 통일평론_1977_14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歴史の中の女性像-郭再祐将軍の妻,李氏 219 ドラジ短信 220 婦人の健康手帖 朴美子 220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7
- 계간삼천리_1978_1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82 ぼくの人びとを求めて 黑田勝弘 190 研究の一と義兵将 郭再祐-任辰義兵の評価をめぐって 貫井正之 199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78
기타자료(1)
- 창녕 신당산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르고 있어 산성Ⅱ가 곽재우장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가 신당산성에 진을 치고 성을 수축하여 주둔해 마을을 지켰다고 한다. 이후 신당에 곽재우 영정을 걸어두고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셨다고 한다. 또 목마성(牧馬城)이라고도 부르는데 계성현청에서...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창녕군/창녕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20)
-
곽재우 / 郭再祐 [종교·철학/유학]
1552(명종 7)∼1617(광해군 9). 조선 중기의 의병장. 할아버지는 부사 곽지번, 아버지는 황해도관찰사 곽월, 어머니는 진주강씨이다. 조식의 외손서이며, 김우옹과는 동서 사이이다. 1585년(선조 18) 34세의 나이로 별시의 정시 2등으로 뽑혔다. 임진왜란시
-
곽재우설화 / 郭再祐說話 [문학/구비문학]
임진왜란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곽재우(郭再祐)에 관한 설화. 곽재우설화는 구전설화와 문헌설화에서 서술자의 시각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구전설화에서는 민중들의 절대적 지지와 응원에 힘입어서 임진왜란에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고 전하는 반면, 문헌설화
-
곽재우 유물 일괄 / 郭再祐遺物一括 [예술·체육/공예]
조선 후기의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일괄 유물. 보물 제671호. 곽재우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으로, 그의 호는 망우당이다. 이 유물들은 임진왜란 당시 그가 사용했다고 전하는 장검과 마구, 그리고 평소에 쓰던 벼루, 연적, 철인, 갓끈 등의 일괄품이다. 장검은
-
이도순 / 李道純 [종교·철학/유학]
1585년(선조 18)∼1625년(인조 3). 증조부는 이유온, 조부는 이엄이다. 부는 이숭경이다. 한강 정구의 문인으로, 문장과 필법이 뛰어났으며, 인품이 고상하여 곽재우의 추중을 받았다. 문집으로『모재집』이 전한다.
-
제말 / 諸沫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장. 제씨의 시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김해·정암 등지에서 대승하였다. 곽재우와 함께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그 뒤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