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과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3)
사전(92)
- 裹足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0_J_0002 裹足 의례(기타) 婦人, 鈿尺, 裁量, 狐精, 成俗 中朝 杜樊川, 妲己 格致叢書 J_16_01_01 지봉유설 16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6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과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름이 바뀌고 한주(漢州: 지금의 서울 일대)에 속하게 되었다. 940년(태조 23) 과주로 고치고, 지금의 이름인 과천은 1413년(태종 13) 각 고을의 이름을 정비할 때 이름 끝에 ‘주(州)’가 붙은 고을 가운데 도호부 이하는 ‘산(...이칭별칭동사힐현(冬斯肸縣|율목군(栗木郡)|율진군(栗津郡)|과천(果川)
- 롯데제과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67년에 설립된, 껌‧초콜릿‧캔디‧아이스크림‧비스킷 등 과자제품을 주로 생산하는 기업체. [연원 및 변천] 롯데그룹의 모기업으로서 설립 당시 자본금 3000만 원으로 시작하였다. 1969년에는 서울에 영등포공장을 개설하였고, 1970...
- 동양제과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86년 12월 에는 상호를 동양제과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1987년 6월 에는 미국 Pepsico사와 합작하여 오리온프리토레이(주)를, 1990년 6월 에는 동양마트(주)를, 1994년 12월 에는 (주)오리온카툰네트워크를 설립하였으며, 1995년...
- 법성게과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정조 때의 승려 유문(有聞)이 의상(義湘)의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에 대하여 과단(科段)을 나누고 주해한 책. [내용] 1권. 원판본은 없어지고 필사본이 전한다. 칠언삼십구(七言三十句)의 「법성게」를 3단으로 나누어 설명하...
논문(1)
- 불공정 피로사회, 비상식 투명사회의 폭력구조 - 오징어 게임, 지옥론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저자 : 안숭범 | 게재정보 : 문화콘텐츠연구
고서·고문서(494)
- 過舟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20 詩集 卷二 ITKC_MP_0597A_0020_010_0210 過舟橋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권차명詩集 卷二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過族父主簿公【述祖】 宗簿寺直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0140 過族父主簿公【述祖】 宗簿寺直廬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過族父承旨公【範祖】法泉山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0190 過族父承旨公【範祖】法泉山居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고등상업학교내국실천과주요상품매매관습취조보고 생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분류민사 | 소장처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化資料 | 출판사高等商業学校(東京)
- 雖疏食菜羹,瓜祭,必齊如也。【陸云:“《魯論》,瓜作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90 論語古今注 卷五 ITKC_MP_0597A_0390_010_0090 雖疏食菜羹,瓜祭,必齊如也。【陸云:“《魯論》,瓜作必。”】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권차명論語古今注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5)
- 비기대이익과 초과주가수익률의 측정(논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봉희, 게재일 : 200105699 한봉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증권학회 2001 비기대이익과 초과주가수익률의 측정(논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평가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윤호, 게재일 : 200721790 강윤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거버넌스학회 2007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평가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관한 FGI 분석과 진단 : ‘무규범적 성과주의’의 실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용개, 게재일 : 201516242 조용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관한 FGI 분석과 진단 : ‘무규범적 성과주의’의 실재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누가 결과주의적 결정을 내리는가? 권력이 윤리적/정책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은경, 게재일 : 201357202 정은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심리학회 2013 누가 결과주의적 결정을 내리는가? 권력이 윤리적/정책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무표를 통해 본 초기 부파불교의 윤리적 성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황순일, 게재일 : 2006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0339&local_id=10009730 동기주의와 결과주의의 측면에서 본 인도 초기부파불교의 윤리적 성격: 드러나지 않은 행위(avijJapti, 무표)와 그 부작용 https://www.kr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91)
- 過酒則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북촌 모대관의 질이 나이 지금 이십셰가량인 작일 오후륙시경에 진사립과 학실오슈경을쓰고 인력거를타고 슐이 대취야 가난모양이 실로장관인 로변역군들이보고 말이 져러코야 엇지 량반이라 리오며 욕셜이 비상더라더라게재일1907년 10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과주)기신론일심이문대의((科註)起信論一心二門大意)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과주)기신론일심이문대의((科註)起信論一心二門大意) (科註)起信論一心二門大意 (과주)기신론일심이문대의 형태서지 義城 木版本 1891年(明治 24) 1冊 26 ...대표표제어(과주)기신론일심이문대의((科註)起信論一心二門大意) | 대표서명(科註)起信論一心二門大意 | 한글서명(과주)기신론일심이문대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과주)천태사교의((科註)天台四敎儀)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과주)천태사교의((科註)天台四敎儀) 1 (科註)天台四敎儀 (과주)천태사교의 형태서지 [從義 注] 延暦寺 1603年(慶長 8) 6卷 無 古版展覽會目錄, p...대표표제어(과주)천태사교의((科註)天台四敎儀) 1 | 대표서명(科註)天台四敎儀 | 한글서명(과주)천태사교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과주)천태사교의((科註)天台四敎儀)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과주)천태사교의((科註)天台四敎儀) 2 (科註)天台四敎儀 (과주)천태사교의 형태서지 從義 註, 亮憲 書 [日本] [日本] 京都 風月宗智 1640年(寬永...대표표제어(과주)천태사교의((科註)天台四敎儀) 2 | 대표서명(科註)天台四敎儀 | 한글서명(과주)천태사교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 (과주)천태사교의((科註)天台四敎儀)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과주)천태사교의((科註)天台四敎儀) 3 (科註)天台四敎儀 (과주)천태사교의 형태서지 木版本 1640年(寛永 17) 3冊 薬師寺 金藏院 無 無 藥師寺經...대표표제어(과주)천태사교의((科註)天台四敎儀) 3 | 대표서명(科註)天台四敎儀 | 한글서명(과주)천태사교의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107)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한국의공업화》는1960~80년대한국의공업화과정과주요공업의발전과정을살펴보는과목이다.1960년대초이래한국은장기간강좌제목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 강의자주익종 교수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한국의공업화》는1960~80년대한국의공업화과정과주요공업의발전과정을살펴보는과목이다.1960년대초이래한국은장기간강좌제목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 강의자주익종 교수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한국의공업화》는1960~80년대한국의공업화과정과주요공업의발전과정을살펴보는과목이다.1960년대초이래한국은장기간강좌제목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 강의자주익종 교수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한국의공업화》는1960~80년대한국의공업화과정과주요공업의발전과정을살펴보는과목이다.1960년대초이래한국은장기간강좌제목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 강의자주익종 교수
-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경제개발기한국의공업화》는1960~80년대한국의공업화과정과주요공업의발전과정을살펴보는과목이다.1960년대초이래한국은장기간강좌제목경제개발기 한국의 공업화 | 강의자주익종 교수
기타자료(3)
- 당나라가 남생의 입조를 요구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帝詔遣子 即遼水勞賜 / 還 進右衛大將軍卞國公 / 年四十六卒 男生純厚有禮 奏對敏辯 善射藝 其初至 伏斧鑕待罪 世以此稱焉 (三國史記 49 列傳 9 蓋蘇文 附 男生) 【원문】 明年 召入朝 / 詔所過州縣傳舍作鼓吹 右羽林將軍李同以飛騎仗廷寵 遷遼東大都督玄菟郡公 賜第京師/...대표표제어당나라가 남생의 입조를 요구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7년(丁卯/신라 문무왕 7년/고구려 보장왕 26/唐 乾封 2/倭 天智 6)
- 당나라가 남생에게 집 한 채를 주었으며 왕을 사로잡고 돌아오자 시녀 2명과 말 80필을 내렸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善射藝 其初至 伏斧鑕待罪 世以此稱焉 (『三國史記』 49 列傳 9 蓋蘇文 附 男生) 【원문】 明年 召入朝 詔所過州縣傳舍作鼓吹 右羽林將軍李同以飛騎仗廷寵 遷遼東大都督玄菟郡公 賜第京師 因詔還軍 與李勣攻平壤 使浮屠信誠內間 引高麗銳兵潛入 禽高藏 詔遣子齎手制金皿 卽遼水勞賜 還進右...대표표제어당나라가 남생에게 집 한 채를 주었으며 왕을 사로잡고 돌아오자 시녀 2명과 말 80필을 내렸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7년(丁卯/신라 문무왕 7년/고구려 보장왕 26/唐 高宗 乾封 2/倭 天智天皇 6)
- 울산 신천동 냉천유적 II -울산 신천동 141번지 일원 아파트건설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유적 2의 조사면적은 32,420㎡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면적은 유구가 확인된 지역과주변지역까지 포함한 것이다. 시굴조사 결과, 유구가 곡부를 경계로 두 개의 구릉에 분포하여 조사의 편의를 위해 가지구나 나지구로 구분하여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의 남쪽에 위치...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주식회사 씨티하우스/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주제어사전(2)
-
과주 / 果州 [지리/인문지리]
속하게 되었다. 940년(태조 23) 과주로 고치고, 지금의 이름인 과천은 1413년(태종 13) 각 고을의 이름을 정비할 때 이름 끝에 ‘주(州)’가 붙은 고을 가운데 도호부 이하는 ‘산(山)’ 또는 ‘천(川)’을 붙이는 관례에 따라 과천이 되었다.
-
부원 / 富原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용산과 마포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과주(果州)에 속하였던 용산처(龍山處)였는데, 1285년(충렬왕 11) 부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현으로 승격시켰다. 1394년(태조 3) 감무를 설치하고, 행주(幸州)ㆍ황조향(荒調鄕)과 함께 고봉현(高峯縣)에 예속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