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과의교위”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5품 상계(上階) 무신의 품계. [내용]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직후 처음으로 관제를 정할 때 충의교위(忠毅校尉)로 하였던 것을 1466년(세조 12) 로 개칭하였다. 교위급 위계의 상한이며 5위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5품(五品) 무관(武官), 무산계(武散階), 충의교위(忠毅校尉), 사직(司直) 정치사법/재판|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이미선 [정의] 무산계(武散...
    상위어5품(五品) | 관련어무관(武官), 무산계(武散階), 충의교위(忠毅校尉), 사직(司直)
  • 충의교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계의 충의교위는 ()로, 하계의 현의교위는 충의교위로 개칭되어『경국대전』에 그대로 법제화되었다. →무산계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초기(朝鮮初期) 양반(兩班) 연구(硏究)』(이성무, 일조각, 1980)
  • 신시로(信時老)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왜병을 유인해 온 공으로 용양위 사직(龍驤衛司直)에 제수되어 수직인이 되었고, 1612년 관복을 지급받았다. 1611년 11월에는 수직왜 마당고라‧세이소와 함께 서계와 문인(文引)을 지참하고 조선에 왔다. 그가 사망한 뒤 1623년에 아들 평신시(平信時...
    유형분류인물
  • 공인(恭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호(爵號). [내용] 문산계 정5품 통덕랑(通德郎)·통선랑(通善郎), 종5품 봉직랑(奉直郎)·봉훈랑(奉訓郎)의 아내와, 무산계 정5품 ()·충의교위(忠毅校尉), 종5품 현신교위(顯信校尉)·창신교위(彰信校尉)의 아내를 가리킨다. 조선 건국 초인 1...
    상위어오품(五品), 외명부(外命婦) | 관련어봉작(封爵), 작호(爵號)

고서·고문서(26)

  • 黃海道 庄土文績_제35책 : 黃海道交河郡石串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署文績類 29. 石串山北里居尹桔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2872 奎 19303 黃海道 庄土文績 제35책 : 黃海道交河郡石串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署文績類 35-029 29. 石串山北里居尹桔 소지 1 44.1x39.6cm 한지, 관인, 수령의 압과 뎨김 1장, 44.1x39....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104. 康熙拾捌年-己未-拾月拾捌日韓聖泰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5933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55-104 104. 康熙拾捌年-己未-拾月拾捌日韓聖泰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92-141 51.5x56.2 한지, 관인, 인장 ...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678년 윤이석(尹爾錫) 교첩(敎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678년(肅宗4) 1월에 임금의 명을 병조에서 받들어 윤이석을 행 충무위사용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748년 윤덕희(尹德熙) 교첩(敎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8년(英祖24) 2월에 임금의 명을 병조에서 받들어 윤덕희를 행 용양위 부사용에 임명한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479년 정옥견(鄭玉堅)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79년 7월 27일에 병조가 성종의 명을 받아 충찬위충의교위정옥견의 품계를 정5품 상계 로 올려주었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5품 상계 무신의 품계. 1466년(세조 12) 로 개칭하였다. 교위급 위계의 상한이며 5위의 사직(司直)이 이 직급에 속하였다.

  • 정오품 / 正五品 [정치·법제/법제·행정]

    위는 로, 하계의 현의교위는 충의교위로 개칭되어 수록되었다.

  • 충의교위 / 忠毅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의 정5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5품 상계는 충의교위, 하계는 현의교위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서는 무산계 상계의 충의교위는 로, 하계의 현의교위는 충의교위로 개칭되어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