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곶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6)
사전(89)
- 곶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껍질을 벗겨 말린 감. [내용] 곶감은 명절이나 제사 때 쓰는 과일의 하나이다.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건시(乾枾)’라고도 한다. 감은 ≪향약구급방≫에 기록되어 있어 고려시대부터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감를 말린
- 곶감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곶감에 호두를 박아 만든 음식. [내용] 조선시대 문헌에는 그 명칭이 보이지 않아 언제부터 생긴 음식인지 추측이 어렵다. 요즈음 가정에서 설날의 세찬이나 술안주로 많이 만드는 음식이다. 만드는 법은 곶감의 꼭지를 따고 한쪽에 칼...
- 호랑이와곶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어리석은 호랑이가 곶감을 자기보다 무서운 존재로 착각하고 도망하는 과정을 묘사한 설화. [개설] 동물담에 속하며, ‘범보다 무서운 곶감’‧‘호랑이를 잡은 도둑’ 등으로도 전한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동화로도 보급되어 있다.이칭별칭범보다 무서운 곶감|호랑이를 잡은 도둑
- 건시(乾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14 물품도구 건시(乾柿) 건시 乾柿 껍질을 벗기고 꼬챙이에 꿰어서 말린 감. 곶감. 생감을 가공하여 만든 건조과실로, 떫은맛이 있는 생감을 완숙되기 전에 따서 껍질을 얇게 벗기고 대꼬챙이나 싸리꼬챙이 같은 것에 꿰어 햇볕이 잘유형분류물품도구
- 시상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곶감 거죽에 돋은 하얀 가루. 姑未出柿霜 故只以五十送去 略略知味如何, 미상, 10-7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88)
- [內需司]庄土文績_제18책 : 圖書文績類 106. 信川加串監官徐百淳崔弼國等處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8700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18책 : 圖書文績類 18-106 106. 信川加串監官徐百淳崔弼國等處 도서패자 1 54.4x26.3 한지, 관인 무 1장, 54.4x26.3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저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제답안, 곶감, 영동군, 일어사전, 그곳, 18살처녀, 좋아하는물건, 문제정답, 곶감, 유명한곳, 충청북도, 영동군대표표제어저 | 성씨최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7_046_022 1567년1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7년 1월 22일 무인. ○당(堂)에 머물렀다. ○이민집(李敏楫)이 홍시‧곶감 등의 과일을 보냈다. 廾二日戊寅。 廾二日戊寅。 ○留。○李敏楫送紅柿、乾柿等果。 1567년 1월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7_046_009 1567년1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7년 1월 9일 을축. ○당(堂)에 머물렀다. ○이민건(李敏楗)이 와서 곶감 2속(束)을 주었다. 初九日乙丑。 初九日乙丑。 ○留。○李敏楗來遺乾柿二束。 1567년 1월 9일...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당(堂)에 머물렀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66_384_377 1566년12월 ○당(堂)에 머물렀다 1566년 12월 23일 기유. ○당(堂)에 머물렀다. ○희숙(希淑)이 와서 곶감 2속(束)을 주었다. 廾三日己酉。 廾三日己酉。 ○留。○希淑來遺乾柿二束。 1566년 12월 2...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구술자료(60)
- 곶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는 ‘호랑이보다 무서운 곶감’의 자료를 기대하였는데, 내용은 자료에 나타나 있듯이, 일제시대의 교과서에 실렸던 이야기 그대로여서 실망하였다. 그러나 기억력은 그런대로 좋은 편이었다.*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화도면 | 제보자이창범
- 곶감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야기하는 분위기가 무르익자, 박 화자는 연이어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09. 2. 5(목) | 조사장소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상곡2리 안골내미길 35번지 | 제보자박복현
- 곶감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의 직업인 지관일과 관련된 지명들의 내막을 이야기하다가 병에 앓아 누으신 어머님께 곶감을 봉양하는 지극한 효자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조사일시1982-07-17 | 조사장소경기도 옹진군 영종면 | 제보자최돈영
- 곶감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0-08-03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대곡면 | 제보자성경선
- 곶감 깎기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네노래를 부르고 난 뒤에, 곶감노래는 없는지 물었더니, 바로 이어서 불러주었다. 후렴구를 어랑타령으로 불러주었다.조사일시2009.07.26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 원구마을 | 제보자동선임(여,76세)
신문·잡지(8)
- 농검월보_1964_06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안희 6 긴급한 양잠경영의 개선 문제 김원경 7 건조과실 특히 곶감 제조에 대하여 유태종 11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4
- 가톨릭소년_1960_01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박기정 24 만화 소재, 훈련, 인내-무용을 배우려는 소년 소녀들에게 김상화 26 호랑이곶감 마해송 3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0
- 한양_1962_01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한국의 자연부원 편집부 89 한국의 명산-곶감 96 곽수동 방랑기 99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62
- 은하수_1985_03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미국의 한 젊은 교육기업가에 대한 이야기 25 곶감파는 선비 26 에펠철탑을 팔아먹은 이야기 27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5
- 달라스문학_2006_0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6 곶감, 늦둥이 배, 이민 가족 2-이민 1세 부모님 김정숙 20 갈베스톤, 문득, 접붙인 나무 박인애 23 ...발행국가미국 | 발행연도2006
멀티미디어(1)
- 18세기 중반 곶감[乾柿]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406_18세기_중반_곶감[乾柿] 경제_1406_18세기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3)
-
곶감 / [생활/식생활]
껍질을 벗겨 말린 감. 곶감은 명절이나 제사 때 쓰는 과일의 하나이다. 곶감은 조선시대에 많이 애용된 듯하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1682년(숙종 8) 중국에 보낸 예물목록 중에 보인다. 19세기 초의 문헌 ≪주영편 晝永編≫에는 종묘제사 때 바치던
-
호랑이와 곶감 / [문학/구비문학]
어리석은 호랑이가 곶감을 자기보다 무서운 존재로 착각하고 도망하는 과정을 묘사한 설화. 동물담에 속하며,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동화로도 보급되어 있다. 이 계통의 민담은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되어 있는데, 발단 부분에서 지붕에서 비가 새는 것을 걱정하는 말을 듣
-
장원서등록 / 掌苑暑謄錄 [경제·산업/산업]
생과색에서는 배·밤·살구·홍시·모과·석류·유자·귤을 담당하였으며, 건과색에서는 곶감·호도·잣·대추·밤·개암·비자를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