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해전” 에 대한 검색결과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5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에 관청의 공비(公費)에 충당하기 위해 지급된 토지. [내용] 1) 고려시대 『고려사』식화지(食貨志) 서문을 보면, 의 지급을 받은 관청은 장택(庄宅)‧궁원(宮院)‧백사(百司)‧주현(州縣)‧관역(館驛)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에 관청의 공비(公費)에 충당하기 위해 지급된 토지.
    정의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에 관청의 공비(公費)에 충당하기 위해 지급된 토지.[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onghaejeon | MR표기konghae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제재정/전세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전기 이장우 [정의] 중앙의 관사 근무자들에게 점심을 제공하거나 업무 수행에 필요한 종이·붓·먹 등과 같은 비품들을
  • 아록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고려 전시과의 외관(外官)에 기원을 두는데, 고려 말의 전제 개혁 과정에서 아록전으로 구분, 설정되었다. 조선 초기의 아록전은 세종 때 대체로 2만결(結) 정도 절수되어 있었다. 그것이 1445년(세종 27) 국용전제(國用田制)의 시행에 즈음해 유...
  • 부공수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공수정(副公須正)은 지방관청의 운영경비에 충당하기 위하여 각 관청에 지급된 ()-여기에는 공수전(公須田)‧지전(紙田)‧장전(長田)이 포함되어 있다-과 관계있는 것으로서, 을 파악, 관리하고 경작자로부터 일정한 전조(田租)를 거두어들이는 임무를 맡았다....

고서·고문서(2)

  • 之。○一, 前此各司, 竝皆革之, 而惟駙馬府二百五十結, 致仕耆老所一百結, 圖畫院三十結, 忠扈衛一百結, 惠民局二十結, 濟生院典醫監各三十結, 東活院二十五結, 西活院三十結, 司譯院八十結如舊。 凡各司點心, 皆分事務緊慢, 以國庫支給, 除駙馬府耆老所外, 上項各司公 ...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구당서 권8 본기8 현종 상_019 장일규 동국대학교(연구책임자 : 정병준 교수) [개원] 10년(722) 봄 정월 정사일 東都에 행차하였다. 갑자일 省 王公 이하 視品官 參佐와 京三品 以上官으로 伏身職員을 살폈다. 을축일 天下의 을 정지시키고, 官人 월급[料...
    권수구당서 권8 | 편명본기8 | 대표표제어현종 상_019

주제어사전(5)

  • /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부터 조선 전기에 관청의 공비에 충당하기 위해 지급된 토지. ≪고려사≫식화지 서문을 보면, 의 지급을 받은 관청은 장택·궁원·백사·주현·관역 등으로 되어 있다. 은 관청에 분급된 전시과의 특수형태로 이해되는데, 전형적인 것은 중앙 및 지방의 관청에

  • 궁원전 / 宮院田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왕족과 왕의 비빈들이 거주하던 궁원에 소속된 여러 토지의 총칭. 궁원전에는 궁원이 원래부터 소유하고 있던 토지, 국가·왕실로부터 받은 사급전 등의 사전과 궁원의 운영경비를 조달하기 위한 재원으로서 마련된 () 등의 공전이 있었다.

  • 내수사전 / 內需司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왕실 재정을 담당한 내수사에 소속된 토지. 내수사에서 관할하는 토지는 본래 본궁에 속한 토지 이외에도 내수사의 ()이 있었다. 1449년에 가속군자전(假屬軍資田)에서 2,000결을 떼어 내수소에서 수세하도록 했던 것이나, 1472년(성종 3)에도

  • 전시과 / 田柴科 [경제·산업/경제]

    고 하였다. 분급대상과 그 성격에 따라 크게 일반전시·공음전시(功蔭田柴)·시(柴)로 구분할 수 있다.

  • 부공수정 / 副公須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향리직. 1018년(현종 9)의 향리정원규정에는 공수사가 나타나므로 그 사이의 어느 때로 추정된다. 부공수정은 지방관청의 운영경비에 충당하기 위하여 각 관청에 지급된 을 파악, 관리하고 경작자로부터 일정한 전조를 거두어들이는 임무를 맡았다. 정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