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6)
사전(70)
- 공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민족항일기와 미군정시대의 식량 부족에 대한 대책으로, 식량의 자유로운 유통을 통제하고 농민으로 하여금 할당받은 일정량의 농산물을 정부에 의무적으로 팔도록 한 제도. [내용] 민족항일기의 공출제도는 1939년 대흉작으로 식량 사정이 악화된...
- 공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39년부터 일제가 전쟁에 사용할 식량 확보를 위해 실시한 농산물 수탈 정책정의1939년부터 일제가 전쟁에 사용할 식량 확보를 위해 실시한 농산물 수탈 정책 | 문광부표기Gongchul | MR표기Kongch’u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紅朮紫蓴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D_0238 紅朮紫蓴 시 東峯 D_04_01_83 대동운부군옥 4권 1장 8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1장 8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근대신어 : 유한책임사원(有限責任社員)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4128 유한책임사원 아항 有限責任社員 有限責任社員은오직資本을供出이나 유한책임사원은 오직 자본을 공출할 뿐이나 朴承 희(釒熹)/ 朱定均 最新經濟學 普文社 1908 65 상공업출전最新經濟學[普文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상공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무한책임사원(無限責任社員)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8891 무한책임사원 마항 無限責任社員 無限責任社員은企業에要勞働과資本을供出이合名會社社員과無異야 무한책임사원은 기업에 요하는 노동과 자본을 공출함이 합명회사 사원과 다를 게 없어 朴承 희(釒熹)/ 朱定均 最新經...출전最新經濟學[普文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법상공업, 직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317)
- 대마공출예고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大麻供出豫告書 貴下今年度栽培シタル大麻ハ軍需用トシタ供出スルコトト相 成リタルニ付自家消費ヲ抑制シ左記ニ依リ本郡農會及本郡産 業組合ニ必ズ共同販賣ニ附セラレ度右通知ス 昭和 十六年 七月 十日 靑陽郡 靑陽郡農會 靑陽産業組合 木面 松岩里 崔炳夏 殿분야문학 | 유형문헌
- 대마공출통고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大麻供出通告書 貴下ノ本年度栽培シタル大麻中左記ノ通軍需用トシテ供出スル コト, 相成リタルニ付自家消費ヲ抑制シ指定數量ハ必ズ共同販 賣ニ附セラレ度右通告ス 記 昭和 十七年 七月 十日 木面長 面長久里 山本康正 殿분야문학 | 유형문헌
- 맥류공출에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昭和 十八年 七月 十五日 宮村福夏 長久洞 區長 殿 麥類供出에 件 首題件에 關하야는 其間雨天에 依하야 運搬不能이엿 스나 貴部落은 明十七日 檢査할 豫定으로 名日 又는 十七日 午前 四五時頃 運搬計劃으로 牛車를 交捗하 엿스니 玆以 諒知하시고 明日 午前中으로 運搬에...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인공출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靑木 第〃號 昭和 十九年 十二月 二十日 木面長 各 區 長 各 區分推職員 殿 籾供出에 關한 件 首題之件에 對하야는 本面供出成績이 郡內末等인바 貴里成績은 面內에셔도 末位이오니 國家의 興亡이 朝夕에 잇는 一大決戰下 貴職의 熱誠과 區民이 認識을 疑心치분야문학 | 유형문헌
- 군용대맥공출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靑木 第一二六八號 昭和 十六年 七月 十一日 木面長 國民總力木面聯盟理事長 各 部落聯盟理事長 殿 軍用大麥供出에 關한 件 首題件에 關하야는 各位됴 充分留意 中으로 思料하오 나 本年度에는 左記에 意하야 供出할 予定이니 此旨 充分周知하야 供出上 萬全을 期하시기...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42)
- 공출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옛날에 시집살이가 워낙 고되어서, 시어머니가 어디론가 가기를 원하고, 반대로 신랑을 절대 어디로 가서는 안 된다는 내용을 담은 노래를 불러 주었다. 시어머니를 욕하는 노래이기 때문에 함부로 크게 부를 수 없는 노래여서인지 속삭이듯이 불러주었다.조사일시2009.07.26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 원구마을 | 제보자동선임(여,76세)
- 나라공출 보리공출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청중들의 박수를 받으며 적극적으로 불러주었다.조사일시2009.02.22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사안리 사안마을 | 제보자양오만(여,73세)
- 일제 시대 공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박복현 화자는 서너 편의 이야기를 구연하고는, 주방 쪽으로 가서 한 잔의 소주를 마시고 오곤 하였다. 그러한 분위기에서 이야기는 계속되었 다.조사일시2009. 2. 5(목) | 조사장소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상곡2리 안골내미길 35번지 | 제보자박복현
- 남편의 꾀병으로 피난 한번 가지 않은 전쟁 살이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정선이 고향이다. 화자는 전쟁 중에도 피난을 한 번도 가지 않았다. 덕분에 정선이 전쟁 당시 어 떠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일제시대 때 산골에 살아서 훈련 받거나 하지 않고 농사를 짓고 살았다. 공출을 피해 열 아홉 에 정선으로 시집을 갔다. 건달인 아버지조사지역강원 평창 | 조사일2014년 5월 20일
- 빨치산 치하의 힘들었던 날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딸 둘을 두었고 빨치산이 자주 출몰했던 고향 마을이어서 그 고생도 힘들었다고 한다. 일제시대 공출이 심했다. 아무리 양식을 숨겨놓아도 모두 찾아 가져가버렸다. 해방이 되어도 먹 을 것이 없어서 소나무 껍데기, 도토리 등을 주워다 먹었다. 반란군이 왔을 당시 남편은 방조사지역경남 하동 | 조사일2012년 1월 10일
신문·잡지(361)
- 전국농민신문_1947_013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제 그 1례를 든다면 수원군 오산에 있는 박동수란 지주는 수원경찰서의 오산지서장으로 있는 자인데 삼미리에 사는 소작인을 (尹)씨에게 5활 이상의 소작교를 현물로 빼앗여갓다. 그런데 그후 면의 직원이 이 박 지주에게 공출을 활당하자 그는 『관리도 공출하느냐』고 큰소리를...대표표제어전국농민신문_1947_0130_02
- 투사신문_1948_1008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서울신문 10월 2일부 서울신문에 의하면 친일파와 민족반역자들로서 된 괴뢰 『리승만 정부』서는 미제 일제와 “삼위일체”가 되어 미제의 조종 밑에 남조선 농민들에게 과거 일제 시처럼 일제를 위한 가마니 공출을...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008_03 | 책임주필한효
- 강원인민보_1947_071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7월 11일 234 원산시 철산리 16번지 강원인민보사 진정숙(김화인민학교) 남조선, 김화, 경성 김화인민학교, 경성자유신문, 중앙청 공출 (7일 평양발 북조선통신) 5일부 경성자유신문이 보도하는 바에 의하면 중앙청에서는 식...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711_02 | 날짜1947년 7월 11일
- 민세안재홍전집 : 年內로搬穀許可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590 1947 12 18 1 1 安長官談 年內로搬穀許可 必要量以上供出엔還元 신문 경향신문 2면 3단 담화 경제 직접자료 선집외 食糧問題, 朝鮮銀行券, 農家問題 A19471218경향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황해로동신문_1947_0711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59 이영조 해주시 황해노동신문사 )7일 북조선통신) 5일부 경성자유신문이 보도하는 바에 의하면 중앙청에서는 식량규측 제4호로 금년도 하곡 수집에 있어서 수확고의 5분지 1을 공출시키기로 결정하였다 하는데 중앙과 지방과의 수확량 사정이 균형을 일었...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11_04 | 책임주필이영조
기타자료(16)
- 천공출;千公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044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53면 천공출;千公出 전북 海南;경성부 견지동 28 재학생 제1학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천공출;千公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8187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34 108면 1. 제6편. 생도일람;1) 1. 在籍생도 명부;(4) 제1학년 천공출;千公出 (원적)전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천형복(공출);千炯福(公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1797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48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2) 제30회 142명(1934년 3월 졸업) 천형복(공출);千炯福(公出)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천형복(공출);千炯福(公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6342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48면 (32) 제30회 142명(1934년 3월 졸업) 천형복(공출);千炯福(公出) 전남 해남읍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11. Instruction for summer grain collection program:비망록/Chairman of Committee of Federation of Farmer's Union in Kyeng Sang Pukdo 발신;Chairman of Committee of Gun Farmer's Unions 수신, 1946.07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in Kyeng Sang Pukdo Chairman of Committee of Gun Farmer's Unions 숙명여자대학교 농민조합전국총연맹 경상북도지부에서 경상북도 각 군 농민위원회에 보낸 미 군정의 하곡 공출계획에...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hairman of Committee of Federation of Farmer's Union in Kyeng Sang Pukdo | 수신자Chairman of Committee of Gun Farmer's Unions
연구과제(1)
-
일제 말(1937~1945) 조선인 국방헌납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인호 | 동의대학교 | 2022 | 국내 | 부산
주제어사전(4)
-
공출 / 供出 [경제·산업/경제]
1월 식량의 유통을 재통제하기 위하여 '미곡수집령'을 공포, 미곡공출제도와 배급제로의 환원 및 그 담당기관으로 ‘중앙식량행정처’를 설치하였다.
-
문병전 / 文秉栓 [역사/근대사]
되던 즈음 일제의 탄압이 가혹해지고, 곡물의 공출량도 많아지자 일본 경찰에게 항의를 하기도 했는데, 이 때문에 항상 감시를 받는 몸이 되었다. 1927년 2월 늑룡리 앞 개천에서, 별다른 이유 없이 일본 경찰이 그를 불러 세워, 공출에 협조하라고 협박하였다. 이에 격분
-
보리밥 / [생활/식생활]
거쳐 일제강점기에도 변함이 없었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경작한 쌀은 농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거의 팔아야 하였고 강제 공출을 하여야 하였으므로 봄철인 3, 4월에 이르면 양식이 떨어져 보리의 수확을 애타게 기다려야 하였다. 이 시기를 보릿고개라 하며 보리가 익을 때까지
-
김시용 / 金時容 [역사/근대사]
金時範)·김평원(金平遠)·안세훈(安世勳) 등과 함께 결의하여 소비조합(消費組合)을 활성화하는 데 주력하였다. 1937년 8월 농민조합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각종 강습회를 통한 민족의식 고취와 일제의 강압적인 각종 부담금 및 군수물자공출에 대한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