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진창” 에 대한 검색결과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0칸의 창사를 마련하고 창고의 명칭을 이라 하였다. 11월에서 이듬해 1월 사이 목천‧연기‧천안‧온양‧전의‧청주 등 인근 고을의 세곡을 수납, 보관하였다가, 3월 10일 안으로 경창에 조운하였는데, 그 운송항로는 아산만에서 남양‧인천의 연해안을 지나 강화수...
    이칭별칭공세관창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창(官倉) 공세곶창(貢稅串倉), 공세창(貢稅倉) 조창(漕倉), 조운(漕運), 해운(海運), 아산(牙山), 해운판관(海運判官), 사선임운(私船任運), 감관(監官), 색리(色吏), 고직(庫直), 선직(船直) 경제...
    상위어관창(官倉) | 동의어공세곶창(貢稅串倉), 공세창(貢稅倉) | 관련어조창(漕倉), 조운(漕運), 해운(海運), 아산(牙山), 해운판관(海運判官), 사선임운(私船任運), 감관(監官), 색리(色吏), 고직(庫直), 선직(船直)
  • 삼남지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주 논의하였던 기록이 많이 나온다. 17세기 후반의 조운에 있어서 삼남지방이 전국의 87%를 차지하였는데, 마산창(馬山倉)ㆍ법성창(法聖倉)ㆍ() 등 이름 있는 해창(海倉)을 통하여 이들 세곡을 운반하였으므로 세곡 운반에 대한 규정이 엄하였다. 대원군...
    이칭별칭하삼도(下三道)
  • 공세곶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에 있었던 조선시대 조창(漕倉). [내용] ‘()’의 처음 명칭이다. 조선 초기 공세곶(貢稅串)‧범근내[犯斤川]‧오음안포(亏音安浦)‧추호포(推乎浦)‧이포(梨...
    이칭별칭공진창(貢津倉)
  • 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각각 배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영산창(榮山倉)에 53척, 법성포창(法聖浦倉)에 39척, 덕성창(德成倉)에 63척, 공세곶창(貢稅串倉)에 60척, 그리고 좌수참(左水站)에 51척, 우수참(右水站)에 20척을 배속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에 1...

고서·고문서(36)

  • 26396 B026396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3 충청도 公州 營衙 巡營本朝太祖四年設營於忠州 宣祖三十五年觀察使柳根移營于本州官員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公州牧使都事舊兼海運判官領納牙山縣稅穀 英宗壬(中軍留鎭雙樹山城城)午減中軍兼討捕使審藥 檢律各一員○右營仁祖...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6397 B026397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3 충청도 牙山 倉庫 邑倉 漕倉在西北十里大迺山之北貢移串稱倉舊在沔川 成宗九年移于此 仁祖九年築倉城周三百八十尺舊收十四邑田稅今收七邑舊以都事兼海運判官領納今則牙山縣監監捧領納每舡載一千石○近來各邑多賃舡以運納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6398 B026398 정치행정 忠淸道邑誌 牙州誌 牙山縣 水軍 領将撞破賊船乗勝追撃中丸而死入壬辰錄券縣人姜台廷殷烈公民瞻遺裔也戊申乨太守欲令别将領軍赴素沙時無可任者台廷奮然出曰事不辞乨職也死扵 王事豈不榮乎遂卛軍丁至竹山與官軍合勦滅賊兵而歸地主賞之不受欲報營亦不願吁亦烈㦲...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6399 B026399 정치행정 忠淸道邑誌 寧城郡誌 寧城郡 田稅 庚子條米二百九十三石十二斗九合五夕內稅米一百四十六石十一斗一升二合四勺位米二十四石九斗五升三手米二百二十一石十二斗六升四合四夕均廳免稅米十斗六升三合七夕太一百九十九石十四斗九升六合四夕內稅太六十七石二斗三升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6400 B026400 정치행정 忠淸道邑誌 牙州誌 牙山縣 倉庫 新増社倉 在縣西十里今之捧稅 東一倉 還米八百七十三石五斗南二倉 還米五百九十石十斗西三倉 還米四百八十九石十斗北四倉 還米五百七十五石五斗本倉 邑倉 還米七百十石一斗三升二合五夕軍案 與今不同 御營戶...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충청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설치하였던 조선시대의 조창. 처음에는 '공세관창'으로 불리다가 1523년(중종 18) 비로소 80칸의 창사를 마련하고 창고의 명칭을 이라 하였다.

  • 공세곶창 / 貢稅串倉 [정치·법제/법제·행정]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있었던 조선시대 조창. 조선 초기 공세곶·범근내·오음안포·추호포·이포·경양포·연천·패암 등 선박의 정박이 편리한 곳에서 충청도지방의 세곡을 각기 분납, 수송하였다.

  • 삼남지방 / 三南地方 [지리/인문지리]

    운에 있어서 삼남지방이 전국의 87%를 차지하였는데, 마산창(馬山倉)ㆍ법성창(法聖倉)ㆍ() 등 이름 있는 해창(海倉)을 통하여 이들 세곡을 운반하였으므로 세곡 운반에 대한 규정이 엄하였다.

  • 각영이정청등록 / 各營釐整廳謄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이정청에서 1703년에서 1705년 사이의 양역변통에 관하여 수록한 등록. 1책 88장. 필사본. 내용은 조선변통절목(漕船變通節目)·오군문개군제변통절목(五軍門改軍制變通節目) 등 여섯 부분으로 되어 있다. 첫째, 조선변통절목은 ()·성당창(聖堂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