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진원”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7∼1943. 독립운동가. [개설] 일명 고운기(高雲起). 호는 학은(鶴隱). 아버지는 창준(昌俊)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중국 하얼빈(哈爾濱)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북만주로 가서 청년운동과 교육사업에 주력하였다....
    이칭별칭 학은(鶴隱)
  • 신동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활약하였다. 그 뒤 의군부(義軍府)에 가입하는 한편, 1935년 중국 군관학교 뤄양분교(洛陽分校)를 졸업하고,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 특파원으로 지하공작을 전개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황학수(黃學秀)‧() 등과 더불어...
    이칭별칭조운산(趙雲山)
  • 지달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중앙위원 겸 쑤이위안성(綏遠省) 당위원장을 역임하다가 1940년 9월 한국광복군 편성에 참여하였으다. 1941년 2월에는 광복군 제2지대 2구대장으로 임명되어 활약하였다. 지대장 () 및 유해준(兪海濬) 등 간부와 더불어 장자커우(張家口)시내에 침입해 1...
    이칭별칭이달수(李達洙)
  • 경박호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때 간도 지방에서 활동하던 중국의용군인 길림구국군과 힘을 모아 일제와 싸우는 방안도 논의되었다. 그리하여 한국독립군에서는 1933년 1월경 강진해(姜振海)‧()‧심만호(沈萬湖) 등을 동녕현(東寧縣)에 있는 길림구국군 사령부에 파견, 합작을 교섭하였으나 별 성...
  • 광복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에 김학규(金學奎), 제3 지대장에 (), 제5 지대장에 나월환(羅月煥)이 임명되었다. 그런데 나월환은 1942년 3월 시안(西安)에서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당시의 부하들에게 암살당하였다. 그리고 광복군은 병력 모집을 위한 기구로 5개의 징모분처(徵募分...

고서·고문서(5)

  • 嘲絅堂 尹承旨【正鎭】有約不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r.kr/inLink?DCI=ITKC_MP_0597A_0060_020_1340_2014_001_XML 001 帶方太守足風騷,約伴江湖意氣豪。湍邑又逢郰曼父,海翁今作尾生高。石林水榭,鍾寺煙蘿翠色韜。最愛東樊超俗累,烏紗半岸獨揮毫。【尹時爲長湍府使,獲先世已失之塚,以故不能來...
    권차명詩集 卷六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藻鑑丹巌閔相誌其墓曰積學于躬不輕去就淑後學振儒風以扶植世教古所謂隐君子公非其人歟李堯臣字汝欽號栗里徳水人楓岩孫也中 宣廟司馬篤志力學律己甚嚴甞從退溪李先生受業先生嘉其篤實寫贈朱子白鹿洞賦以勉之李芬字馨甫號默軒楓岩曽孫也中 宣庙文科官至正郞持身以禮秉心公直早失怙恃庐于墓側晨月上塚有乕跟随而不害人...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733 B018733 검동도 黔同島 도서 평안북도 平安道邑誌 龍灣誌 卷之上 軍器 ... 北改鑄鐘銘曰猗彼海東防關有律體圓宏量小大應一節以晨夕民自動息一鎭雷轟關鑰壯肅縣鱗之功庸傳萬億 淸馬廊 在府西鴨綠江邊 肅廟甲午巡使閔尹李公裕元改作瓦家二百二十八間有庫直一名 以格監考輪差給雇...
    출처전거平安道邑誌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處士墓碣銘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明習國朝掌故, 士大夫吉凶禮疑, 遠近考質者, 踵相接焉. 弱冠北學, 最受知於金三淵·李陶菴諸先生, 而閔文忠·李奉朝賀秉常, 皆許以國士, 趙相國道彬嘗薦其才行于朝. 及辛丑誣獄起, 遂謝世自放山澤之間. 英宗四年, 凶賊鄭希亮起安義, 連陷傍數郡, 最忌處士, 跡之甚急. 處士直夜半逃去...
    대표표제어李處士墓碣銘 | 목차煙湘閣選本○墓誌銘
  • 감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佛寺之約, 和權公晉-來訪余余適有海上行留韻語而去因次之, 小孫兒呼其兄第二第三客有非之者余解之, 歲赤鼠六月與平廬漢寶-鼎炅-南廬望道-鼎儼-自彦亨遠諸族聯轡到鶴城遊松亭華山鷗亭三一堂, 三一堂-蔚倅朴宗民新創, 戱次李勳甫-運恊, 次石溪韻贈李聖應, 又次花庵韻, 與南鳴應南遊唱酬-丙子,...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1907-1943. 독립운동가. 일명 고운기(高雲起). 호는 학은(鶴隱). 창준(昌俊)의 아들이다. 중국 하얼빈(哈爾濱)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북만주로 가서 청년운동과 교육사업에 주력하였다. 1930년 7월에 결성된 한국독립당에 가입하였고, 이 당에서 조직한 한국독립

  • 광복군 / 光復軍 [정치·법제/국방]

    1940년 중국 충칭(重慶)에서 창설되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대. 광복군은 3개의 지대(支隊)로 편성, 제1지대장에 이준식, 제2지대장 , 제3지대장 김학규가 취임하였다. 또, 1941년 1월에는 제5지대가 편성되어 나월환이 통솔, 제5지대는 원래 전지 공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