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주시” 에 대한 검색결과 1,1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2)

사전(246)

  • (충청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은 940.36㎢이고, 인구는 12만 5,143명(2008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0개 면, 5개 동, 280개 리가 있다. 시청은 봉황동에 있다. [자연환경] 북쪽과 남쪽은 산지를 이루고 중앙부의 하천유역에는 평야가 전개된다....
    이칭별칭웅진|웅천
  • 황화방석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內樻一坐外匱一坐臺一坐倚几一坐襦座子二件黃花方席二立帕一坐裌覆巾一件竹皮方箱子一坐覆袱一件外結七尺槃一立, (국장1757/055ㄱ01~03)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공북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금성동에 있는 성문. [내용]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2층누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7호. 공산성을 감도는 금강가 나루터에 있다. 가의 동북단에 인접하여 거대한 문루(門樓)의 형태로 꾸며져...
    연계항목공북루(拱北樓)
  • 금강대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산성동에 있는 다리. [내용] 총연장 513.5m, 총폭 6.5m, 유효폭 5.8m이다. 상부구조는 최대 경간장이 50.0m인 14개 경간으로 이루어진 트러스(truss)형식이고, 하부구조는 구주식을 채택하였...
  • 공주중동석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웅진동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백제시대의 석조. [내용] 보물 제148호. 지름 1.34m, 높이 0.72m. 이 석조는 본래 반죽동 대통사(大通寺) 터에 보물 제149호 공주반죽동석조와 함께 있던 것으...
    연계항목공주중동석조(公州中洞石槽)

고서·고문서(654)

  • 공주 공산성 출토 ‘大通□牟’명 벼루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137공주 공산성 출토 ‘大通□牟’명 벼루5. 공주 공산성 출토 ‘大通’명 벼루.jpg [1면]  大通寺■■■대한민국6~7세기흙..충청남도 금성동 53-51(공주 공산성)충청남도 공주대학로56(공주대학교박물관)2011년에 시행된 성안마을 발굴조사에서 출...
    연대6~7세기 | 서체. | 소재지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56(공주대학교박물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20721 B020721 결성 結城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3 충청도 疆域 _ 川二十淸州周岸 公州沃川珍山疆域三十 文義二十九隔江燕岐 淸州十隔江 淸州文義二十 公州二十隔江 十 十五 三十 全義二十五 淸州十五全義 淸州十 十八 燕岐十八 公州二十 淸州德坪十五 天安小東十五木川十...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공주 무령왕릉 출토 “仗大”명 塼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108공주 무령왕릉 출토 “仗大”명 塼전면.jpg 전체.jpg [1면]  仗大대한민국6세기 초전길이 38.4cm.충청남도 금성동 송산리고분군(무령왕릉)충청남도 관광단지길34(국립공주박물관)무늬가 없는 塼으로, 단변에 仗大가 左書로 튀어나오도록 압출되어
    연대6세기 초 | 서체. | 소재지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34(국립공주박물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그림엽서 송 여자 충청남도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五常县) 오상현(五常县) 양상백화상점 4 1 그림...
    대표표제어그림엽서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엽서 송 여자 충청남도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五常县) 오상현(五常县) 양상백화상점 4 2 엽서,
    대표표제어엽서 | 성씨

구술자료(86)

  • 04_007 충남 충청남도 충청남도 _얼러를 가세 얼러를 가세 올러를 가세 충청남도 의당면 청룡리 1989.1.17 素89-1-17①B 김건대 김건대(1917년생. 남. 토민) 이소라 이소라 얼러가세 류 멕받형(선후창) 오호하, 얼러를, 가세 해는
    녹음지역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 | 녹음날짜1989.1.1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4_011 충남 충청남도 충청남도 _얼러를 가세 얼러를 가세 올러를 가세 충청남도 사곡면 고당2구 1987.4.9 素87-4-9②A 신창현 신창현(1908년생. 남. 토민) 이소라 이소라 얼러가세 류 멕받형(선후창) 어하 얼러를 가세 이 논배미를
    녹음지역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고당2구 | 녹음날짜1987.4.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4_012 충남 충청남도 충청남도 _긴 아하에헤 소리 긴 아하에헤 소리 만물소리 충청남도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1987.4.9 素87-4-9①B (메)박달식, (받)박달식, 박용태 박달식(1927년생.남.토민),박용태(1917년생.남.토민) 이
    녹음지역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 녹음날짜1987.4.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4_014 충남 충청남도 충청남도 _교창식 논매기 소리 교창식 논매기 소리 공주 신흥리 논매기 소리 충청남도 이인면 신흥리 1987.4.9 素87-4-9①A 임달수,김수웅 임달수(1923년생. 남. 토민), 김수웅(1923년생. 남. 토민) 이소
    녹음지역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신흥리 | 녹음날짜1987.4.9 | 가창방식교창(교환창)
  • 04_016 충남 충청남도 충청남도 _산아지 산아지 충청남도 유구면 신영리 1구 1989.1.16 素89-1-16②A 황판용 황판용(1916년생. 남. 토민) 이소라 이소라 산아지 곡풍 멕받형(선후창) 어이야 디야, 에헤헤 디야, 에헤디여루 산이
    녹음지역충청남도 공주시 유구면 신영리 1구 | 녹음날짜1989.1.1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1)

  • 한국중.소도시에 있어서의elite구조분석-사례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진, 게재일 : 2006
    05897 신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북아학회 2006 한국중.소도시에 있어서의elite구조분석-사례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5)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도셩에 토디가 극귀즁 종로에 식젼져와 나무바리가 셜곳이업난고로 광통교아로굽은다리지셕주셰우고관를고 흑을 둑겁게펴고 쟝시 만들어 식젼져와 나무쟝을 만들고 셰젼을 밧기로 당국자들이 외론되야 속히 시작되리라더라
    게재일1905년 6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谷面花田里居印致章이性本浮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谷面花田里居印致章이性本浮浪와入山爲僧渠之七寸叔母의如干田土을僞造文券야四方出債코져오니內外國人間切勿見欺홈 僧無常 告白
    게재일1907년 5월 29일 | 기사분류광고
  • 谷面花田里居印致章이性本浮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谷面花田里居印致章이性本浮浪와入山爲僧渠之七寸叔母의如干田土을僞造文券야四方出債코져오니內外國人間切物見欺홈 僧無常 告白
    게재일1907년 5월 30일 | 기사분류광고
  • 조선출판경찰월보 030호 동아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30호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1931년 2월 9일 미기재 송진우(宋鎭禹) 경성(京城) 조선_1931년 2월 9일 삭제 치안 한국어 , 철시 경찰의 엄중한...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30호 동아일보 | 출판물명동아일보(東亞日報) 1931년 2월 9일
  • 조선출판경찰월보 031호 동아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31호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1931년 3월 13일 미기재 송진우(宋鎭禹) 경성(京城) 조선_1931년 3월 12일 삭제 미기재 한국어 도청, 민 도청...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31호 동아일보 | 출판물명동아일보(東亞日報) 1931년 3월 13일

기타자료(30)

  • 공주 신기동‧금학동 백제 고려 고분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신기동 산 45-1‧충남 금학동 산 45번지 일대 충청남도 ㎡ 이 보고서는 금학동과 신기동에서 조사된 고분을 정리한 것이다. 공주대학교 박물관은 1989년 의 옥룡동과 금학동을 연결하는 우회도로 구간내에 건설되는 터널의 굴...
    발행연도1993 | 발굴기관공주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남도
  • 공주 신관 5지구 개발부지 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영섭 이현숙 공주대학교박물관 충남 신관동 산30-30 외 5필지 충청남도 15,105㎡ 충남 신관동 일원에 대한주택공사에서 시행하고자 하는 공주 신관(5)지구 사업예정부지에 대한 문화재 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지역은 대...
    발행연도2003/12/20 | 발굴기관공주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남도
  • 대학교박물관 (314-020) 충남 웅진동 223-2임 일원 충청남도 시굴조사:5,940/발굴조사:7,260㎡ 본 발굴은 충남 웅진동 32-22임, 223-2임 일대의 공동주택 신축사업 예정부지에 대한 문화재 발굴조사이다. ...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공주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남도
  • , 공주대학교박물관, 청 충남 금학동 산 95번지 일대 충청남도 에서 백제문화권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남혈사지의 학술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여 공주대학교 박물관에 조사를 의뢰하였다. 남혈사지는 계단상 3단으로 구분된...
    발행연도1993 | 발굴기관국립공주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남도
  • 반포면 봉암리 183-5,6번지 일대 충청남도 약 3,000여평 이번 발굴조사가 실시된 지역은 반포-봉암간 도로 확장공사 예정구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공사는 기존 도로의 늘어나는 교통체즐을 개선하고 원활한 물동량의 소통을 위해 계획된 것...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대전지방국토관리청 | 발굴지역충청남도

주제어사전(69)

  • / [지리/인문지리]

    1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9개 면, 6개 행정동(27개 법정동), 245개 행정리(161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봉황동에 있다. 내륙지역에 위치하므로 기후는 한서의 차가 큰 대륙성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 기온 13.9℃, 1월 평균

  • 공주 중동 석조 / 公州中洞石槽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된 삼국시대 백제의 석조.보물. 보물 제148호. 지름 1.34m, 높이 0.72m. 돌로 만든 물그릇으로, 원래 반죽동 대통사(大通寺)터에 공주 반죽동 석조(보물 제149호)와 함께 있었다. 곧 이 석조는 일제강점기에

  • 국도40호선 / 國道40號線 [경제·산업/교통]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에서 홍성군을 지나 에 이르는 일반 국도. 당진~공주선이라고도 한다.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을 기점으로 예산군, 홍성군, 보령시를 거쳐 부여군, 를 반원형으로 연결하는 도로이다. 원래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까지 연결하는 일반 국도였

  • 공주 계룡산 중악단 / 公州鷄龍山中嶽壇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계룡면 신원사(新元寺)에 있는 조선시대 계룡산 산신에게 제를 올리기 위해 건립된 산신각.단묘·제사터. 보물. 공주 계룡산 중악단(中嶽壇)은 충청남도 계룡면에 위치한 신원사 대웅전 뒤편에 자리잡은 산신각으로, 일명 중악전(中嶽殿) 또는 계룡단(鷄

  • 공주대학교 / 公州大學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신관동에 있는 국립종합대학교. 공주캠퍼스는 신관동에, 예산캠퍼스는 예산군 예산읍 예산리에 위치해 있다. 1948년 충남도립사범대학으로 설립인가 되었다. 1980년 교육대학원이 인가되었으며, 1990년 3월 공주사범대학에서 공주대학으로 개편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