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잉색”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치하게 된 것이다. 이로부터 선혜 각 청은 공잉미를 으로 이송하고, 그 것을 수합하여 각 청의 운영비를 일원적으로 지급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을 각 청에서 윤번제로 맡았으나 1763년부터 강원청(江原廳)에서 전담하게 하였다. ...
  • 구채(丘債)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을 징수하였다. 이렇게 조성된 자금은 선혜청 직원들의 봉급[月料]과 하인들을 부리는 구종가[驅價], 서리와 하례(下隷)들의 급료[朔下], 기타 잡비로 사용되었다. 선혜청의 공잉을 관리하는 ()은 처음에는 각 청에서 돌아가며 차례대로 맡았으나 1763년(영조...
    동의어구가(驅價), 구직(丘直), 구채(驅債) | 관련어구종(驅從), 급료(給料), 잉미(剩米), 공잉(公剩)
  • 선혜청(宣惠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선혜청 선혜청 宣惠廳 대동법(大同法) 경기청(京畿廳), 강원청(江原廳), 호서청(湖西廳), 호남청(湖南廳), 영남청(嶺南廳), 해서청(海西廳), 삼도대동청(三道大同廳), () 대동청(大同廳) 선혜청정례(宣惠廳定例), 선혜청봉상...
    상위어대동법(大同法) | 하위어경기청(京畿廳), 강원청(江原廳), 호서청(湖西廳), 호남청(湖南廳), 영남청(嶺南廳), 해서청(海西廳), 삼도대동청(三道大同廳), 공잉색(公剩色) | 동의어대동청(大同廳) | 관련어선혜청정례(宣惠廳定例), 선혜청봉상책(宣惠廳捧上冊), 이원익(李元翼), 공가(貢價), 공물(貢物), 공인(貢人), 선혜법(宣惠法), 대동세(大同稅), 대동미(大同米), 대동포(大同布), 대동목(大同木), 대동전(大同錢), 대동사목(大同事目), 상정사목(詳定事目)
  • 선혜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배치하였다. 또한 여러 청을 수용하면서 각 청의 남은 경비를 모아 선혜청 직원에게 삭료(朔料 : 月給)를 지급하고, 소요경비를 보조하는 ()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선혜청의 업무 전체를 지휘, 감독하는 당상(堂上)도 두었다. 이처럼 선혜청은...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에 설치된 선혜청의 한 부서. 선혜청 내의 잡비 조달과 지출을 담당하였다. 1759년(영조 35) 처음 설치되었으며, 담당 낭청과 회계원이 임명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