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역서” 에 대한 검색결과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역마를 관장하던 관서. [내용] 처음 설치된 연대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늦어도 문종 때는 직제상 확립을 본 것 같다. 이 때의 정원은 종7품의 영(令) 2인, 종8품의 승(丞) 2인과 이속으로 사(史) 4인, 기관(記官) 2인...
  • TD_E2_D_0269 관직 驛馬, 日減, 諸道, 司憲, 鋪馬, 私所, 移文, 請託, 驛卒, 日散, 公廳, 都堂, 公牒, 印給 麗初, 恭讓二年 百官志 D_12_08_03 대동운부군옥 12권 8장 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8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2_D_0365 관직 程驛, 鋪馬, 起發, 幕士, 上書, 軍簿司 諸道 文宗, 恭讓王, 趙浚 百官志 D_13_06_12 대동운부군옥 13권 6장 1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6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승여사(乘輿司)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고려~조선초기 고려~조선초기 이석규 고려 문종 1405년(태종 5)경 [정의] 고려부터 조선초기에 역참을 관장하던
    관련어승여사(乘輿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刀筆之任 : 문서의 기록)을 담당하였으며 대묘서(大廟署)ㆍ장야서(掌冶署)ㆍ내원서(內園署)ㆍ()ㆍ도염서(都染署)ㆍ잡직서(雜織署)ㆍ사의서(司儀署)ㆍ내고(內庫)에 각각 4인, 경시서(京市署)ㆍ전구서(典廐署)ㆍ대영서(大盈署)ㆍ전생서(典牲暑)에 각 3인, 제릉서(諸...

고서·고문서(6)

  • 。辭以疾。宋綏來見天章, 傳說牧伯奇。天章卽去。○咸陽倅瑞卿氏歷見, 畢推刷而歸云云。無酒未酌, 可恨。卽辭去。○權守伻人書喩“其妻胸痛往來, 四肢及腹浮腫, 上氣, 當藥惠及“云, 又求大腹皮、半夏等材矣。求材於醫生而送之, 答以可用五苓散之意。○士遇令問子婦治藥。答以五苓散可用之意。治濕湯...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靖國爲元思與天下更始于是公由奉常博士擢左司諫自以不世之遇進見拳拳不敢不盡有所聞見言之惟恐不及而于遠便佞敦友睦消黨與容受直言尤極反復致意上往往開納會姦人得柄公旋即補外竄貶流落以死天下惜之乃紹興四禩有詔追錄贈諫議大夫制詞有曰惟世道之多變致國論之靡常是非或出于愛憎夷險獨持于一節權寵日忌竄斥莫遑嗚呼幾...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추안급국안 : 계유년(1693, 숙종 19) 연최적(延最績) 신문기록{推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不及之差認則延 敷在寬痛迪寮之屬四維之氓觀感於斯取則於是時可▣ 敢不一於正面若玄駒之步綺毛之雊鼓槖於鑪冶中發號施令百度亨 貞擧善慮惡庶明勵翼物各付物丕能諴和紀綱得以振而無侵撓之患 政事得以修而無阿私之失矣自古人辟無智愚賢不肖莫不思揀賢以 輔政求忠以賁治然僨國敗家相接跡比轍而於變時雍累世不睹者其...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1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高麗史 【鄭麟趾撰】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宜先遣使問諸高麗,然後行之。” 帝然之。九月,元遣洪君祥來,命我護送日本人還其國。君祥以帝旨問征日本事,王對曰:“臣旣隣不庭之俗庶,當躬自致討,以效微勞。” 十月,以太僕尹金有成爲護送日本人,令郭麟爲書狀官,仍致書日本國。【書卽勸日本納款大元者也,今不錄】 ○十九年七月,鎭邊萬戶韓希愈捕漂風倭...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日本考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萬年不可改也I何至屢更而屢變一年之頃 斗轉星廻二十八宿有同旋磨凡曰日在斗幾度云者驗之有頃刻之異則所差 有尋丈之間一行亦安能積萬年之算哉!一行之言曰乾度虛盈與時消息譴 告於經數之表變常於潛遯之中則聖人且猶不質非籌算之所能及矣斯言其 何訾! 太史曰大餘日也小餘月也玫之曆書與諸史曆志大餘未有 盈六十...
    서명諸家曆象集 | 저자이순지(李純之, ?~1465)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역마를 관장하던 관서. 처음 설치된 연대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늦어도 문종 때는 직제상 확립을 본 것 같다. 주요기능은 역마를 관장, 통제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