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야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0)
- 공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공조에 소속된 관서. [내용] 조선 초기에 중앙관서에서 소비되는 금은(金銀)‧주옥(珠玉) 등의 세공 및 동랍철(銅鑞鐵)의 주조(鑄造), 도자기‧기와류 등의 제작을 전담하였다. 또한 도량기(度量器)에 관한 사무도 관장하였다. ...
- 공야사(攻冶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공야사 공야사 攻冶司 공조(工曹), 수공업(手工業), 도량형(度量衡)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강석화 1405년(태종 5) 1894년(고종 31) 공조(工曹) [정의...관련어공조(工曹), 수공업(手工業), 도량형(度量衡)
- 산택사(山澤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산택사 산택사 山澤司 공조(工曹), 영조사(營造司), 공야사(功冶司)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강석화 1405년(태종 5) 공조(工曹) [정의] 조선시대 전국에...관련어공조(工曹), 영조사(營造司), 공야사(功冶司)
- 공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승, 확대 개편한 정2품 아문이다. 1392년(태조 1)에 설치되어, 1405년(태종 5) 관제 개편 때 이미 영조사(營造司)‧공야사(攻冶司)‧산택사(山澤司) 등 세 개 부서로 정비되었다. 영조사는 궁실‧성지‧관공서의 청사‧가옥‧토목공사‧피혁‧모포 등에 관한...이칭별칭동관(冬官)|수부(水府)|예작(例作)
- 공조(工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공조 공조 工曹 육조(六曹) 공야사(攻冶司), 공조서(供造署), 내공조(內工曹), 도염서(都染署), 동산색(東山色), 산택사(山澤司), 상림원(上林園), 영조사(營造司), 제언사(堤堰司) 사공(司空), 동관(冬官), 수부(水府), 수부(水部...상위어육조(六曹) | 하위어공야사(攻冶司), 공조서(供造署), 내공조(內工曹), 도염서(都染署), 동산색(東山色), 산택사(山澤司), 상림원(上林園), 영조사(營造司), 제언사(堤堰司) | 동의어사공(司空), 동관(冬官), 수부(水府), 수부(水部), 수조(水曹), 예작(例作)
고서·고문서(6)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曰: ‘隣國致祭於我有光, 累世遵行之例, 不可廢墜。’ 關白以纔已通報, 旋又更改爲難, 而不聽云。 問關白嗣位曲折, 則答以 ‘前關白不定後嗣而死, 執政秘不發喪。 初欲立關白姪子, 而爲有關白諸父與弟, 恐惹事端, 復欲立皇帝第三子。 關白有一女, ...출처전거肅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人事篇六]治道門三_墟市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로 되어 있다. 之使奢耶? 然不可全廢, 若又抑而廢 廢: 성균관대본(가)에는 ‘廢’ 뒤에 ‘之’가 있다. 성균관대본(나)에는 ‘癈’로 되어 있다. , 恐惹事端, 宜定爲法. 凡郡縣虛 虛: 규장각본ㆍ성균관대본(가)ㆍ성균관대본(나)ㆍ성호기념관본ㆍ연세대본(가)ㆍ연세대본(나)에...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宋羣臣賀呂蒙正爲宰相,每朝廷求賢,取之囊中,文武百官,各稱其職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親庶務,納田錫之十書。 身致太平,用趙普之半部。 竊惟羣工若使器之道, 必賴賢輔如取囊之謨。 苟能繩墨之量材,俱收裵左丞筆下。 不待纁玄之聘野,已在狄梁公籠中。 笏有記剡有書,唯先不遺所獲。 刀者削斤者斵,然後各適其能。 顧今勻軸上薦賢, 皆從夾帒中疏錄。 黃扉注署,幾見毛頴之脫錐。 素牘...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李彦仙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衆十萬圍陜公夜使人隧地焚其攻具營部囂亂縱兵乘之敵稍退建炎四年正月益生兵博壘晝夜進攻鵝車天橋火車衝車業進公隨機拒敵又爲金汁砲火藥所及糜爛無遺而圍不解曰慿堞須外援浚爲遣軍敵先阻雍不得進則令涇原曲端出鄜坊繞敵後端素嫉公聲績逾已幸其敗詭計不行丁已城䧟公扶親軍巷戰矢集身如蝟左臂中刃不殊戰逾力遂死之幷其家遇害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추안급국안 : 죄인 백낙관(白樂寬) 심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去者何歟 ○供矣身舁致東營而亂卒輩使矣身有所發令 云云故矣身諭以吾是忠直自處而豈可爲汝輩發 令乎 ○問軍卒是亂逆而旣爲汝放出則汝亦豈非亂逆乎 ○供矣身雖無亂逆之心渠輩成群脅出則當其處地 誰能免乎 ○問汝之疏語無非誣逼則豈非死罪乎 ○供若使矣身果爲誣逼雖死杖下焉敢恨乎 ○問聞使汝東別營發令云是何令乎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3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신문·잡지(1)
- 公耶私耶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대신이 관인셔임 쥬본안건을 졍부에졔츌면 그간에 공졍치못일도잇지 박참졍이 의례시지 아니고 뎡일이 만은고로 각대신이 참졍과은연즁갈등이 난모양이라더라게재일1906년 5월 9일 | 기사분류잡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