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안상정청”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설치하여 주관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 따르면 1494년(성종 25) 공안상정소, 1501년(연산군 7)과 1604년(선조 37) 이 각기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선조 때는 관청만이 설치되었을 뿐 실제 공안의 개정을 이루지 못하였던...
  • 공부상정도감(貢賦詳定都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부상정도감 공부상정도감 貢賦詳定都監 공납(貢納) 공안(貢案) 공안상정소(貢案詳定所), () 경제재정/공물·진상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전기 태조 박도식 1392년(태조 1) 10월...
    상위어공납(貢納) | 하위어공안(貢案) | 관련어공안상정소(貢案詳定所), 공안상정청(貢案詳定廳)
  • 신유공안(辛酉貢案)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유공안 신유공안 辛酉貢案 공안(貢案) 인납(引納), 가정(加定), (), 상정청가행조례(詳定廳可行條例) 경제재정/공물·진상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전기 연산군 박도식 1501년(...
    상위어공안(貢案) | 관련어인납(引納), 가정(加定), 공안상정청(貢案詳定廳), 상정청가행조례(詳定廳可行條例)
  • 가정(加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비를 담당한 호조에서는 무엇보다도 공안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첨정의 직책에 있던 정담(鄭譚)은 각사에서 공물이 부족할 때마다 외방 각관에서 가정하는 민폐를 해결하고자 공안에 덧붙일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1501년(연산군 7) 4월에는 태평관에 (...
    상위어공물(貢物) | 동의어가정공물(加定貢物) | 관련어인납(引納), 공안(貢案), 횡간(橫看)
  • 공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리게 하였다. 1501년( 연산군 7)에는 을 설치하고 공부를 재조정하였다. 공부에는 상공‧별공의 두 종류가 있었는데, 그 구별기준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상공은 해마다 각 주‧현으로부터 일정한 양의 현물세를 받아들이는 것이고, 별공은 특수생산 장...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물의 부과·징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되었던 임시관서. 조선 초기 공부상정도감을 설치하여 그 업무를 주관, 공납제의 개선을 이룩한 성종 때부터는 공안상정소 또는 을 설치하여 주관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