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신회맹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12)
- 공신회맹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공신회맹록 공신회맹제란 조선시대 공신을 녹훈한 뒤 구리쟁반에 담은 피를 마시며 맹세하는 의식을 말한다. 공신책록이 있을 때...
- 회맹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인 1628년(인조 6)부터 1728년(영조 4) 사이에 있었던 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에 대한 기록을 수록한 책. [내용] 1책. 필사본. 회맹제는 함께 녹훈된 공신들이 한 자리에 모여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공신 상호간의 단...
- 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공신회맹제 공신회맹제 功臣會盟祭 정치의례(政治儀禮) 공신연(功臣宴), 삽혈동맹(歃血同盟), 혈맹(血盟), 원훈(元勳), 감훈단자(勘勳單子), 구공신(舊功臣), 신공신(新功臣), 찬만(饌幔), 혈반안(血盤案), 혈반(血盤), 독서문관(讀誓文官) ...상위어정치의례(政治儀禮) | 하위어공신연(功臣宴), 삽혈동맹(歃血同盟), 혈맹(血盟), 원훈(元勳), 감훈단자(勘勳單子), 구공신(舊功臣), 신공신(新功臣), 찬만(饌幔), 혈반안(血盤案), 혈반(血盤), 독서문관(讀誓文官) | 동의어회맹제(會盟祭), 삽혈동맹의식(歃血同盟儀式), 혈맹의식(血盟儀式) | 관련어회맹록(會盟錄), 맹단(盟壇), 북단(北壇), 회맹단(會盟壇), 회맹일(會盟日), 사맹(司盟), 정공신(正功臣), 원종공신(原從功臣), 공신적장(功臣嫡長), 녹훈도감(錄勳都監), 공신도감(功臣都監), 충훈사(忠勳司), 충훈부(忠勳府), 공신교서(功臣敎書), 공신녹권(功臣錄券), 공신초상화(功臣肖像畫), 맹족(盟簇), 맹서문(盟書文),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공신도감의궤(功臣都監儀軌), 공신호(功臣號)
- 맹족(盟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맹족 맹족 盟簇 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 맹서문(盟誓文), 재서(載書) 정치인사/녹훈 물품 도구 대한민국 고려~조선 신명호 [정의] 공신회맹제에서 사용된 맹서문과 동일한 내용을 족자 형식으로...상위어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 | 관련어맹서문(盟誓文), 재서(載書)
- 평난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일에 임금은 이들에게 교서를 내리고, 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를 열어 특전을 베풀었다.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태천집(苔泉集)』
고서·고문서(2)
- 1590년 십이공신회맹제문(十二功臣會盟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공신회맹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공신회맹문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수중금환(守中金丸)에 녹각상(鹿角霜)을 가미해서 먹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직되어 知中樞府事, 예조판서 등을 거쳤다. 명종 초에 윤원형의 입장에 반대하다가 삭주에 유배되어 죽었다. 영공의 삼촌 조카이다. ○만수(萬守)가 손님이 왔을 때 문간에서 소란을 피워, 손님이 떠난 후에 회초리로 징계했다. ○들으니 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를 물리어 3년...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1)
-
공신회맹제 / 功臣會盟祭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공신을 녹훈한 뒤 구리쟁반에 담은 피를 마시며 맹세하는 의식. 조선에서 이 제도가 최초로 실시된 것은 1398년(정종 즉위년)이다. 제1차왕자의 난에 공을 세운 익안군 방의(芳毅) 등 29인을 정사공신으로 책록, 회맹제를 지낸 뒤 경복궁 근정전에서 연회를 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