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7,3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43)

사전(3,685)

  • 충훈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제(諸)을 대우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1434년(세종 16) 그 이전까지 책록된 개국(開國)‧정사(定社)‧좌명(佐命)을 대우하기 위하여 운영한 개국도감을 계승, 개칭한 도감을 이어받고, 이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가나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크게 배향(配享)과 훈봉(勳封 또는 勳號)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훈봉은 다시 정(正)과 원종(原從)으로 나누어진다. 임금이 죽어서 위패를 종묘에...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가나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정의국가나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ongsin | MR표기kongs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2_J_0028 관직 開國, 定社, 佐命, 靖難, 佐翼, 敵愾, 翊戴, 佐理, 靖國, 定難, 凡十起, 光國, 平難, 扈聖, 宣武, 靖難, 五起, 扈聖參勳, 醫官, 譯官, 內侍, 暬御 國初以來, 太祖, 恭靖, 太宗, 魯山, 世祖, 睿宗...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4795 인물 被執, 丹營, 駿馬, 㱕計, 無二心, 改節 丹主 麗史 D_20_04_09 대동운부군옥 20권 4장 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4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4)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4 - 관안, 별단, 성적표, 이력서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근호(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8.31.
    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
    화보 會盟軸 회맹축 准戶口‧戶口單子 준호구‧호구단자 官案 관안 職員表 직원표 別單 별단 成績表 성적표 履歷書
  • 강원지역 고문서, 고서 자료집성 1 (호적류 1) [강원지역 고서, 고문서의 소장처 조사 및 사료집 간행사업 | 강원대학교]
    저자 : 손승철(강원대학교 교수), 유재춘(강원대학교 교수), 엄찬호(강원대학교 HK연구교수), ... | 출판사 : 도서출판 산책 | 출판일 : 2010.02.26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천 평산신씨 문중 장절숭겸기념관 소장 자료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소장 자료 원주 무릉박물관 소장 자료 제3장 수록자료 목록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
    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序文 《棠岳遺事》解題 學生尹公爾久墓碣 通政大夫行忠淸道觀察使尹道碑幷序 己卯錄 黃兎記事 尹進士友衡衡之往海南, 付寄尹同年孝貞希參曁其子尹佐郞衢
  • (조선시대 궁중회화 1) 왕과 국가의 회화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5.9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궁중회화의 세계 (1) 궁중회화를 이해하는 첫걸음 (2) 왕실의 안위와 계승 - 어진, 상 (3) 국정의 운영과 실용 - 각종 시각적 문서와 실용화 (4) 기록과 보존 -

고서·고문서(3,291)

구술자료(8)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30에 이어서 공신여의 명칭 유래를 이야기하였다. *
    조사일시1979-08-08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일운면 | 제보자김두이
  • 임란 권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설화에 이어 계속 들려준 것인데, 여전히 발음이 부실하여 청취하기가 조금 힘이 들었다.*
    조사일시1982-08-06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 제보자김실동
  • 헌마 김만일(獻馬 金萬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요구하지 않았지만 월계 진좌수 얘기에 이어 들려 준 이야기다. 제보자는 이야기 도중에 이러한 말을 여러 곳에서 들었을 것이라면서 중단하려고 했 <page id="254"></page> 었지만 조사자의 간청으로 끝까지 얘기했다. *
    조사일시1981-05-17 | 조사장소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 | 제보자김재현
  • 개국(開國) 신숭겸(申崇謙)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산신씨[[平山申氏]] 시조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청하자 바로 구연했다.
    조사일시2009. 2. 9(월) | 조사장소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1리 54-2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신구순
  • 서울 20171108_서울시 강북구 수유동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다. 조사자가 제보자들에게 조사 취지를 설명하고 설화 구연을 요청하자 동순옥 제보자가 중국에서 만두 사업으로 성화를 이룬 고귀우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동순옥 제보자가 구연 도중 전화통화를 위해 자리를 떠 구연이 잠시 중단되자 권화 제보자가 자신의 이주생활담
    제보자권화 [중국(한국계), 여, 1972년생, 결혼이주 8년차] 동순옥 [중국(한국계), 여, 1971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3)

  • 漢代城隍紀信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동환, 게재일 : 2012
    07455 안동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中國人文科學 2012 漢代城隍紀信考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43658c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앙과 산섬상인의 발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화승, 게재일 : 2010
    38389 이화승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사학회 2010 관앙과 산섬상인의 발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신탁법의 관점에서 본 공탁법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연갑, 게재일 : 2014
    15545 이연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비교사법학회 2014 신탁법의 관점에서 본 공탁법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동독지역 제3공영 성화의 두 얼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배기정, 게재일 : 2007
    21512 배기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브레이트학회 2007 동독지역 제3공영 성화의 두 얼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다집단 분류 인경망 모형의 아키텍쳐 튜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철우, 게재일 : 2013
    40080 정철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과학회 2013 다집단 분류 인경망 모형의 아키텍쳐 튜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90)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象南(商店) 서울 李象南 商店 南大門通 3-30 식료품 - 생선(生魚) 소매 31.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象南(共信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생선(生魚)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朴聖圭(商會) 개성 朴聖圭 商會 南本町 141 - - 잡화업 - - 고무화 제조 겸업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朴聖圭(共信商會)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잡화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範成(商店) 서울 金範成 商店 彌生町 9-17 포백류 - 포목(布木) 소매 4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範成(共信商店)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포목(布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高丙琓(堂) 서울 高丙琓 堂 橋南町 23 복장품 - 귀금속 및 귀금속 세공 제작 59.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高丙琓(共信堂)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귀금속 및 귀금속 세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鄭亨碩(商會) 신의주 鄭亨碩 商會 老松町 6-1 - 도매 면포,인견 - 290 -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鄭亨碩(共信商會)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면포,인견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기타자료(42)

  • (특별 기획2 인간의 뇌연구와 교육의 과제) 뇌정보 처리에 기초한 인경회로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별 기획2 인간의 뇌연구와 교육의 과제) 뇌정보 처리에 기초한 인경회로망 (특별 기획2 인간의 뇌연구와 교육의 과제) 뇌정보 처리에 기초한 인경회로망 교육 문헌 교육총...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길이만 | 사료철명교육월보
  • (지상토론 학교생활기록부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학교생활기록부의 객관성, 력 제고 교육의 목적과 본질의 존중을 원칙으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지상토론 학교생활기록부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학교생활기록부의 객관성, 력 제고 교육의 목적과 본질의 존중을 원칙으로 (지상토론 학교생활기록부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학교생활기록부의 객관성, 력 제고 교육의 목적과 본질의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광효 | 사료철명충북교육
  • 강차분;姜且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3051 남한 경남 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2-49 一新 창간호 1927―12―24 0 강차분;姜且分 경남 남해군 창선면 리 150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일신여자고등보틍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하용;金荷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67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18면 김하용;金荷鏞 滿洲國 間島省 圖們中秋街 商會 제6회 191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봉흡;李鳳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833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29면 이봉흡;李鳳洽 부산부 초량정 221 부산사 제10회 192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162)

  • / [역사]

    국가나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크게 배향과 훈봉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훈봉은 다시 정과 원종으로 나누어진다.

  • 녹권 / 錄券 [역사/조선시대사]

    고려·조선시대에 을 책봉하고 이들의 공훈을 등재하여 수봉자에게 분급한 문권을 지칭하는 용어. 현존 최고본으로 이화(李和)에게 지급한 개국녹권이 있다. 고려시대는 위사(衛社)·연저수종(燕邸隨從), 그리고 공민왕대에 집단 인원별로 책봉된

  • 도감 / 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책록을 위하여 그 업적 등을 조사하던 임시관서. 을 정할 일이 있으면 임시로 도감을 설치하고, 여기서 의정부·삼사와 함께 봉군 대상자 훈공을 심사하여 1·2·3등으로 나누어 훈호를 내리게 하였다.

  • 전 / [경제·산업/경제]

    고려·조선시대에 국가 또는 왕실에 특별한 공훈이 있는 사람에게 수여한 토지. 조선시대 전의 연원은 고려 태조의 삼한과 개국에게 지급한 훈전(勳田)이다.

  • 광국 / 光國 [역사/조선시대사]

    (奏文)을 지은 공로가 뚜렷한 사람 19인을 선정, 세 등급으로 구분하여 논공한 뒤 에 책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