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세곶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8)
- 공세곶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에 있었던 조선시대 조창(漕倉). [내용] ‘공진창(貢津倉)’의 처음 명칭이다. 조선 초기 공세곶(貢稅串)‧범근내[犯斤川]‧오음안포(亏音安浦)‧추호포(推乎浦)‧이포(梨浦...이칭별칭공진창(貢津倉)
- 아산공세곶고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 에 있는 조선 중기 조창이 있었던 터. [내용] 충청남도 기념물 제21호. 공세곶창이 설치된 것은, 1478년(성종 9) 면천(沔川) 범근내포(犯斤乃浦)의 것을 폐지하...연계항목아산공세곶고지(牙山貢稅串庫址)
- 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각각 배속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영산창(榮山倉)에 53척, 법성포창(法聖浦倉)에 39척, 덕성창(德成倉)에 63척, 공세곶창(貢稅串倉)에 60척, 그리고 좌수참(左水站)에 51척, 우수참(右水站)에 20척을 배속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공진창(貢津倉)에 1...
- 공진창(貢津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공진창 공진창 貢津倉 관창(官倉) 공세곶창(貢稅串倉), 공세창(貢稅倉) 조창(漕倉), 조운(漕運), 해운(海運), 아산(牙山), 해운판관(海運判官), 사선임운(私船任運), 감관(監官), 색리(色吏), 고직(庫直), 선직(船直) 경제...상위어관창(官倉) | 동의어공세곶창(貢稅串倉), 공세창(貢稅倉) | 관련어조창(漕倉), 조운(漕運), 해운(海運), 아산(牙山), 해운판관(海運判官), 사선임운(私船任運), 감관(監官), 색리(色吏), 고직(庫直), 선직(船直)
- 조창(漕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1월 16일]. 그러나 지형과 비용 문제로 운하 계획이 실행되지는 못하였고, 대신 조운선을 띄우는 시기를 조정하고 과적재에 대한 단속을 실시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조운선의 패몰 사건은 종종 일어났으며 성종대에는 이들 조창 지역을 충청도 공세곶창(貢稅串倉) 등으...상위어조운(漕運) | 하위어통양창(通陽倉), 석두창(石頭倉), 해룡창(海龍倉), 장흥창(長興倉), 해릉창(海陵倉), 부용창(芙蓉倉), 안흥창(安興倉), 영풍창(永豊倉), 하양창(河陽倉), 덕흥창(德興倉), 안란창(安瀾倉), 흥원창(興元倉) 등 | 관련어관선 조운(官船漕運), 사선 조운(私船漕運), 전세(田稅), 조운선(漕運船), 조졸(漕卒)
고서·고문서(1)
- 결성(結城)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755 B020755 결성 結城 정치행정 新增東國輿地勝覽 忠淸道 牙山縣 倉庫 貢稅串倉 在縣西十里本縣及瑞山韓山連山林川定山公州洪州新昌結城保寧全義靑陽尼山大興石城海美泰安天安庇仁恩津木川沔川燕岐德山舒川稷山鴻山扶餘藍浦禮山唐津平澤溫陽淸州文義懷德鎭岑沃川懷仁等官之稅納于此漕至京師水路...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공세곶창 / 貢稅串倉 [정치·법제/법제·행정]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에 있었던 조선시대 조창. 조선 초기 공세곶·범근내·오음안포·추호포·이포·경양포·연천·패암 등 선박의 정박이 편리한 곳에서 충청도지방의 세곡을 각기 분납, 수송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