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상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
사전(7)
- 공상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옥색릉화공상지(玉色綾花供上紙), 즉 푸른빛 능화가 그려진 공상지가 쓰이고 있어 병풍의 마감용으로도 사용된 듯하다. 공상지도 동일한 것이 아니라 색깔과 무늬에 따라 구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공상지 중 두께와 질이 다소 떨어지는 공상초주지(供上草注紙)도 있었다....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我太宗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1_D_0081 我太宗 왕실 憂旱, 垂涕, 御膳, 止酒, 供上之獵 寶鑑 D_10_02_06 대동운부군옥 10권 2장 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2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豫收加斂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F3_D_0042 豫收加斂 조세 九妃, 三翁主, 供上之物, 倉庫 辛禑 本史 D_17_07_12 대동운부군옥 17권 7장 1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7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양이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많은 5척이 소요되고 영조정순후가례(英祖貞純后嘉禮)이후부터 다시 모단 1척 내외가 소요되었다. 양이엄(凉耳掩)은 가례가 이루어졌던 주로 3월과 10월에 착용되었고 천과 천 사이에 공상지(供上紙)를 대어 심지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汝火五皀羅戊戌姑減付標啓下凉耳掩五次冒...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근대신어 : 갈보(갈보)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위축, 소멸되었다. 갈보도 되얏다 갈보도 되었다 청춘 2 1914 11 124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4, 29면 유의어 恣女 자녀 其中工商之女與恣女補充軍驛女所産, 則臨時取旨施行, 永...출전청춘 | 계통분류 [사회생활] 성 [과학지식] 호칭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85)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4816 B054816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正祖 2年 閏6月 17日_030 之律, 蓋此賊之罪, 有關宗社, 則殿下奉承宗社, 不誅此賊, 而乃反以恐傷爲難耶? 斷以一律, 小不害於殿下繼述之德矣。 有何恐傷之端乎? 臣謂置辟, 然後王法快正, 輿憤可洩也。 行元曰, 殿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건석수어(乾石首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434 B018434 건석수어 乾石首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仁祖 26年 7月 18日_005 ○宋國澤, 以戶曹言啓曰, 司宰監貢案, 付乾魚等物, 常患不足, 其中乾石首魚數字缺貿得繼用, 而供上之用, 則貿得未易, 故波市坪數字缺石魚五十束, 卵醢一斗, 以補其不足之數矣。 卽接戶曹...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건어(乾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8497 B018497 건어 乾魚 수산물 承政院日記 仁祖 26年 7月 18日_005 ○宋國澤, 以戶曹言啓曰, 司宰監貢案, 付乾魚等物, 常患不足, 其中乾石首魚數字缺貿得繼用, 而供上之用, 則貿得未易, 故波市坪數字缺石魚五十束, 卵醢一斗, 以補其不足之數矣。 卽接戶曹移文,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小不害於殿下繼述之德矣。 有何恐傷之端乎? 臣謂置辟, 然後王法快正, 輿憤可洩也。 行元曰, 殿下雖以恐傷先王之意爲敎, 而此賊之罪, 旣關宗社, 則先王, 亦必陰誅矣。 殿下何難顯戮耶? 臣謂置辟之擧, 少無恐傷之嫌矣。 宇淳曰, 殿下今日之敎, 臣不敢奉承矣。 應淵曰, 此賊之罪, 萬戮猶輕,...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詩文門3_空桑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是也. 空桑, 山名. 《周禮ㆍ大司樂》云“孤竹之管、空桑之琴瑟、咸池之舞”, 可以驗矣. 干寶所記: “徵在生子空桑之地.” 《孔廟禮器碑》云: “顔育空桑.” 若但以《齊諧》志怪爲信, 奚特尹哉? 元 羅泌作《窮桑辨》謂: “空桑在陳, 非魯也.” 《呂氏春秋》、《古史考》俱言: “尹産空桑...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三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타자료(1)
- 신라가 보낸 조사(弔使)가 왜에서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耳 乃返之啓于大泊瀨皇子 皇子則悉禁固新羅使者 而推問 時新羅使者啓之曰 無犯采女 唯愛京傍之兩山而言耳 則知虛言 皆原之 於是 新羅人大恨 更減貢上之物色及船數 (『日本書紀』 13 允恭紀)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조사(弔使)가 왜에서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53년(癸巳/신라 눌지마립간 37/고구려 장수왕 41/백제 비유왕 27/劉宋 元嘉 30/倭 允恭 42)
주제어사전(1)
-
공상지 / 供上紙 [경제·산업]
조선 시대 각 지방에서 왕실에 상납하던 재질이 부드럽고 두터운 종이. 책례, 가례, 산릉표석영건, 산릉, 어용도사, 빈전 등 의례나 각종 공사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던 부드럽고 두터운 질 좋은 종이의 하나였다. 책례나 산릉표석영건에서 임금에게 올리는 초본을 정서하여